美, 차량호출 서비스 우버 해킹 공격 당해
입력 2022.09.16 (23:47)
수정 2022.09.17 (00: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최대 차량호출 서비스 업체 우버가 또 해킹 공격을 당했습니다.
1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와 CNBC방송 등에 따르면 우버는 전날 밤 트위터를 통해 성명을 내고 "현재 사이버보안 사건에 대응하고 있다"며 "법 집행 당국과 접촉하고 있으며 추가로 업데이트되는 상황이 있으면 게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우버는 해커가 전날 오후 한 직원의 기업용 메신저 '슬랙' 계정에 침투해 회사 내부 시스템들을 장악했다고 밝혔습니다.
해커는 이 직원의 슬랙 계정을 이용해 다른 직원들과 대화를 주고받은 뒤 우버의 이메일, 클라우드 스토리지, 소스코드 저장소, 내부 금융 정보 등에 접근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사이버 공격에는 시스템의 취약점이 아니라 개인의 취약점을 노려 필요한 정보를 빼낸 뒤 시스템에 침투하는 사회공학적 해킹 방식이 동원됐다고 미 언론들은 전했습니다.
해커는 NYT에 자신이 18세이며, 우버의 보안이 취약하기 때문에 회사 시스템에 침투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해커는 워싱턴포스트에 자신이 "재미로" 우버 시스템에 침입했으며 몇 달 안에 우버의 소스코드를 유출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1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와 CNBC방송 등에 따르면 우버는 전날 밤 트위터를 통해 성명을 내고 "현재 사이버보안 사건에 대응하고 있다"며 "법 집행 당국과 접촉하고 있으며 추가로 업데이트되는 상황이 있으면 게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우버는 해커가 전날 오후 한 직원의 기업용 메신저 '슬랙' 계정에 침투해 회사 내부 시스템들을 장악했다고 밝혔습니다.
해커는 이 직원의 슬랙 계정을 이용해 다른 직원들과 대화를 주고받은 뒤 우버의 이메일, 클라우드 스토리지, 소스코드 저장소, 내부 금융 정보 등에 접근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사이버 공격에는 시스템의 취약점이 아니라 개인의 취약점을 노려 필요한 정보를 빼낸 뒤 시스템에 침투하는 사회공학적 해킹 방식이 동원됐다고 미 언론들은 전했습니다.
해커는 NYT에 자신이 18세이며, 우버의 보안이 취약하기 때문에 회사 시스템에 침투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해커는 워싱턴포스트에 자신이 "재미로" 우버 시스템에 침입했으며 몇 달 안에 우버의 소스코드를 유출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차량호출 서비스 우버 해킹 공격 당해
-
- 입력 2022-09-16 23:47:41
- 수정2022-09-17 00:14:08

미국 최대 차량호출 서비스 업체 우버가 또 해킹 공격을 당했습니다.
1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와 CNBC방송 등에 따르면 우버는 전날 밤 트위터를 통해 성명을 내고 "현재 사이버보안 사건에 대응하고 있다"며 "법 집행 당국과 접촉하고 있으며 추가로 업데이트되는 상황이 있으면 게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우버는 해커가 전날 오후 한 직원의 기업용 메신저 '슬랙' 계정에 침투해 회사 내부 시스템들을 장악했다고 밝혔습니다.
해커는 이 직원의 슬랙 계정을 이용해 다른 직원들과 대화를 주고받은 뒤 우버의 이메일, 클라우드 스토리지, 소스코드 저장소, 내부 금융 정보 등에 접근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사이버 공격에는 시스템의 취약점이 아니라 개인의 취약점을 노려 필요한 정보를 빼낸 뒤 시스템에 침투하는 사회공학적 해킹 방식이 동원됐다고 미 언론들은 전했습니다.
해커는 NYT에 자신이 18세이며, 우버의 보안이 취약하기 때문에 회사 시스템에 침투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해커는 워싱턴포스트에 자신이 "재미로" 우버 시스템에 침입했으며 몇 달 안에 우버의 소스코드를 유출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1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와 CNBC방송 등에 따르면 우버는 전날 밤 트위터를 통해 성명을 내고 "현재 사이버보안 사건에 대응하고 있다"며 "법 집행 당국과 접촉하고 있으며 추가로 업데이트되는 상황이 있으면 게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우버는 해커가 전날 오후 한 직원의 기업용 메신저 '슬랙' 계정에 침투해 회사 내부 시스템들을 장악했다고 밝혔습니다.
해커는 이 직원의 슬랙 계정을 이용해 다른 직원들과 대화를 주고받은 뒤 우버의 이메일, 클라우드 스토리지, 소스코드 저장소, 내부 금융 정보 등에 접근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사이버 공격에는 시스템의 취약점이 아니라 개인의 취약점을 노려 필요한 정보를 빼낸 뒤 시스템에 침투하는 사회공학적 해킹 방식이 동원됐다고 미 언론들은 전했습니다.
해커는 NYT에 자신이 18세이며, 우버의 보안이 취약하기 때문에 회사 시스템에 침투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해커는 워싱턴포스트에 자신이 "재미로" 우버 시스템에 침입했으며 몇 달 안에 우버의 소스코드를 유출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
사정원 기자 jwsa@kbs.co.kr
사정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