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기후변화로 인한 통신 인프라 피해 위험 미리 막는다

입력 2022.09.20 (09:47) 수정 2022.09.20 (09: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이 기후 변화로 인해 통신 장비가 손실될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응 체계 마련에 나섰습니다.

SK텔레콤은 고려대학교 오정리질리언스 연구원과 함께 미래의 기후변화가 통신 인프라에 끼칠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을 수립했다고 오늘(20일) 밝혔습니다.

SKT는 이번 리스크 평가가 통상적인 자연재해의 수준을 넘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2050년까지 이상 기후 발생 확률을 예측하고, 통신 인프라의 피해 위험을 사전적으로 분석한 것에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리스크 평가는 전국에 있는 기지국, 중계기를 포함한 모든 통신 장비를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산불, 산사태, 폭염, 폭설, 폭우와 같은 5가지 이상 기후로 인한 물리적 피해를 2021년부터 2050년까지 10년 단위로 분석했습니다.

평가 결과 폭설을 제외한 산불, 산사태, 폭염, 폭우 등 4가지의 이상 기후 발생 확률은 2050년까지 증가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정 지역의 경우 한 가지 이상의 이상기후 발생 확률이 높아 통신장비 피해 위험이 복합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산간 지방은 산불뿐 아니라 폭우 발생 확률도 높아지고 있어 통신장비 손실에 대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KT는 이러한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해 지도 위에 이상 기후 발생 시나리오를 시각적으로 표시한 ‘SKT 기후변화 물리적 리스크 지도’를 구축한 뒤, 통신장비에 대한 기후 영향도를 지속적 분석 및 업데이트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SKT는 ‘공통사회경제경로(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시나리오를 활용해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체계를 고도화할 것이며, 향후에는 통신 장비를 설계하고 현장에 구축할 때도 이러한 기후 변화의 영향도를 반영해 나갈 계획입니다.

공통사회경제경로(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란 2100년까지 세계의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예상한 시나리오로 미래 사회-경제변화뿐 아니라, 미래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 인구통계, 경제발달, 복지, 생태계 요소, 자원, 제도, 기술발달, 사회적 인자, 정책까지 다각도로 고려합니다.

이준호 SKT ESG 추진담당은 “SKT는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서 한발 더 나아가 기후변화에 따른 통신 인프라 손실 피해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ESG 경영 활동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SKT, 기후변화로 인한 통신 인프라 피해 위험 미리 막는다
    • 입력 2022-09-20 09:47:04
    • 수정2022-09-20 09:49:23
    기후
SK텔레콤이 기후 변화로 인해 통신 장비가 손실될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응 체계 마련에 나섰습니다.

SK텔레콤은 고려대학교 오정리질리언스 연구원과 함께 미래의 기후변화가 통신 인프라에 끼칠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을 수립했다고 오늘(20일) 밝혔습니다.

SKT는 이번 리스크 평가가 통상적인 자연재해의 수준을 넘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2050년까지 이상 기후 발생 확률을 예측하고, 통신 인프라의 피해 위험을 사전적으로 분석한 것에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리스크 평가는 전국에 있는 기지국, 중계기를 포함한 모든 통신 장비를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산불, 산사태, 폭염, 폭설, 폭우와 같은 5가지 이상 기후로 인한 물리적 피해를 2021년부터 2050년까지 10년 단위로 분석했습니다.

평가 결과 폭설을 제외한 산불, 산사태, 폭염, 폭우 등 4가지의 이상 기후 발생 확률은 2050년까지 증가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정 지역의 경우 한 가지 이상의 이상기후 발생 확률이 높아 통신장비 피해 위험이 복합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산간 지방은 산불뿐 아니라 폭우 발생 확률도 높아지고 있어 통신장비 손실에 대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KT는 이러한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해 지도 위에 이상 기후 발생 시나리오를 시각적으로 표시한 ‘SKT 기후변화 물리적 리스크 지도’를 구축한 뒤, 통신장비에 대한 기후 영향도를 지속적 분석 및 업데이트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SKT는 ‘공통사회경제경로(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시나리오를 활용해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체계를 고도화할 것이며, 향후에는 통신 장비를 설계하고 현장에 구축할 때도 이러한 기후 변화의 영향도를 반영해 나갈 계획입니다.

공통사회경제경로(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란 2100년까지 세계의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예상한 시나리오로 미래 사회-경제변화뿐 아니라, 미래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 인구통계, 경제발달, 복지, 생태계 요소, 자원, 제도, 기술발달, 사회적 인자, 정책까지 다각도로 고려합니다.

이준호 SKT ESG 추진담당은 “SKT는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서 한발 더 나아가 기후변화에 따른 통신 인프라 손실 피해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ESG 경영 활동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