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총리 “강제동원 합의점 찾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
입력 2022.09.20 (19:36)
수정 2022.09.20 (20: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강제동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일 간 합의점을 찾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 총리는 오늘(20일) 국회 대정부질문 외교·국방·통일 분야 질의에서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우리 정부가 강제동원 문제는 외면하고 일본과의 관계개선에만 지나치게 집중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이 같이 답했습니다.
한 총리는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려면 미국과 한국, 일본이 특정한 분야에서 협력하는 게 현실적으로 필요하다”며, “우리의 유엔사령부라는 것에 지원하는 기제들이 일본에 있다. 그러니까 우리의 북한에 대한 안보를 위해서도 한미일간 긴밀한 관계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한 총리는 “그러나 현실적으로 그걸 어렵게 하는 한일 간의 과거사 문제가 있다는 것을 저희가 왜 모르겠느냐”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언가 하나의 합의점을 찾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허 의원은 질의에 앞서 강제동원 피해자인 양금덕 할머니가 박진 외교부 장관에게 쓴 손편지를 공개했습니다.
양 할머니의 손편지에는 ‘돈 때문이라면 진작 포기했다. 나는 일본에서 사죄받기 전에는 죽어도 죽지 못하겠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한편, 대통령실이 유엔총회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한 것과 관련해 한 총리는 “현재로서는 확인을 해드리거나 확정을 해드리기는 어렵다”며, “그러나 뭔가 그런 쪽에 대화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에 허 의원은 “합의가 안 된 것을 국민들에게 합의했다고 속이는 상황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비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 총리는 오늘(20일) 국회 대정부질문 외교·국방·통일 분야 질의에서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우리 정부가 강제동원 문제는 외면하고 일본과의 관계개선에만 지나치게 집중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이 같이 답했습니다.
한 총리는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려면 미국과 한국, 일본이 특정한 분야에서 협력하는 게 현실적으로 필요하다”며, “우리의 유엔사령부라는 것에 지원하는 기제들이 일본에 있다. 그러니까 우리의 북한에 대한 안보를 위해서도 한미일간 긴밀한 관계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한 총리는 “그러나 현실적으로 그걸 어렵게 하는 한일 간의 과거사 문제가 있다는 것을 저희가 왜 모르겠느냐”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언가 하나의 합의점을 찾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허 의원은 질의에 앞서 강제동원 피해자인 양금덕 할머니가 박진 외교부 장관에게 쓴 손편지를 공개했습니다.
양 할머니의 손편지에는 ‘돈 때문이라면 진작 포기했다. 나는 일본에서 사죄받기 전에는 죽어도 죽지 못하겠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한편, 대통령실이 유엔총회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한 것과 관련해 한 총리는 “현재로서는 확인을 해드리거나 확정을 해드리기는 어렵다”며, “그러나 뭔가 그런 쪽에 대화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에 허 의원은 “합의가 안 된 것을 국민들에게 합의했다고 속이는 상황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비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 총리 “강제동원 합의점 찾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
-
- 입력 2022-09-20 19:36:31
- 수정2022-09-20 20:22:57

한덕수 국무총리가 강제동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일 간 합의점을 찾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 총리는 오늘(20일) 국회 대정부질문 외교·국방·통일 분야 질의에서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우리 정부가 강제동원 문제는 외면하고 일본과의 관계개선에만 지나치게 집중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이 같이 답했습니다.
한 총리는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려면 미국과 한국, 일본이 특정한 분야에서 협력하는 게 현실적으로 필요하다”며, “우리의 유엔사령부라는 것에 지원하는 기제들이 일본에 있다. 그러니까 우리의 북한에 대한 안보를 위해서도 한미일간 긴밀한 관계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한 총리는 “그러나 현실적으로 그걸 어렵게 하는 한일 간의 과거사 문제가 있다는 것을 저희가 왜 모르겠느냐”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언가 하나의 합의점을 찾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허 의원은 질의에 앞서 강제동원 피해자인 양금덕 할머니가 박진 외교부 장관에게 쓴 손편지를 공개했습니다.
양 할머니의 손편지에는 ‘돈 때문이라면 진작 포기했다. 나는 일본에서 사죄받기 전에는 죽어도 죽지 못하겠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한편, 대통령실이 유엔총회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한 것과 관련해 한 총리는 “현재로서는 확인을 해드리거나 확정을 해드리기는 어렵다”며, “그러나 뭔가 그런 쪽에 대화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에 허 의원은 “합의가 안 된 것을 국민들에게 합의했다고 속이는 상황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비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 총리는 오늘(20일) 국회 대정부질문 외교·국방·통일 분야 질의에서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우리 정부가 강제동원 문제는 외면하고 일본과의 관계개선에만 지나치게 집중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이 같이 답했습니다.
한 총리는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려면 미국과 한국, 일본이 특정한 분야에서 협력하는 게 현실적으로 필요하다”며, “우리의 유엔사령부라는 것에 지원하는 기제들이 일본에 있다. 그러니까 우리의 북한에 대한 안보를 위해서도 한미일간 긴밀한 관계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한 총리는 “그러나 현실적으로 그걸 어렵게 하는 한일 간의 과거사 문제가 있다는 것을 저희가 왜 모르겠느냐”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언가 하나의 합의점을 찾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허 의원은 질의에 앞서 강제동원 피해자인 양금덕 할머니가 박진 외교부 장관에게 쓴 손편지를 공개했습니다.
양 할머니의 손편지에는 ‘돈 때문이라면 진작 포기했다. 나는 일본에서 사죄받기 전에는 죽어도 죽지 못하겠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한편, 대통령실이 유엔총회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한 것과 관련해 한 총리는 “현재로서는 확인을 해드리거나 확정을 해드리기는 어렵다”며, “그러나 뭔가 그런 쪽에 대화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에 허 의원은 “합의가 안 된 것을 국민들에게 합의했다고 속이는 상황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비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홍진아 기자 gina@kbs.co.kr
홍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