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준위 방폐물 지상 저장 시설 추진”…지역 반발
입력 2022.10.04 (21:42)
수정 2022.10.04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고리원전 땅에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보관하는 시설 건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달 말 한국수력원자력 이사회 상정을 앞두고 있는데요.
정부는 한시적인 시설이라고 말하지만, 고리원전이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이 될 수 있다며 지역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 고리원자력발전소입니다.
사용하고 남은 핵연료인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수조 형태의 습식 저장시설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모두 6천9백여 다발로, 저장 시설은 85% 넘게 찼습니다.
2031년에는 가득 찰 것으로 보이는데, 고리원전 땅 위에 한시적으로 고준위 방폐물을 보관하는 건식 저장시설을 지을 예정입니다.
이달 말, 한국수력원자력 이사회에 안건 상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지역 탈핵단체는 부산시가 저장시설 건립을 막아야 한다며 곧바로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임미화/탈핵부산시민연대 집행위원 : "말이 임시저장이지, 영구처분장의 해결 능력도, 의지도 없기에, 사실상 영구처분시설입니다."]
정부는 2060년까지 고준위 방폐물 영구 처분시설 설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1983년부터 땅을 찾고 있지만, 번번이 실패했고, 2015년 경주에 중저준위 방폐장이 겨우 들어섰습니다.
정부는 고리원전에 짓는 건식 저장시설은 사용후핵연료 포화로, 한시적으로 사용하는 시설이라고 밝혔습니다.
[박태현/산업통상자원부 원전환경과장 :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건식 저장시설을 인허가할 때 처음부터 사용 연한을 50년으로 제한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애초부터 영구 보관을 목적으로는 사용할 수가 없다."]
정부는 또 세계적으로 쓰이는 저장법인 데다 관련 기술도 확보가 끝난 만큼 주민과 소통하며 건식 저장시설 확충을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촬영기자:류석민/영상편집:이동훈
정부가 고리원전 땅에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보관하는 시설 건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달 말 한국수력원자력 이사회 상정을 앞두고 있는데요.
정부는 한시적인 시설이라고 말하지만, 고리원전이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이 될 수 있다며 지역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 고리원자력발전소입니다.
사용하고 남은 핵연료인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수조 형태의 습식 저장시설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모두 6천9백여 다발로, 저장 시설은 85% 넘게 찼습니다.
2031년에는 가득 찰 것으로 보이는데, 고리원전 땅 위에 한시적으로 고준위 방폐물을 보관하는 건식 저장시설을 지을 예정입니다.
이달 말, 한국수력원자력 이사회에 안건 상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지역 탈핵단체는 부산시가 저장시설 건립을 막아야 한다며 곧바로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임미화/탈핵부산시민연대 집행위원 : "말이 임시저장이지, 영구처분장의 해결 능력도, 의지도 없기에, 사실상 영구처분시설입니다."]
정부는 2060년까지 고준위 방폐물 영구 처분시설 설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1983년부터 땅을 찾고 있지만, 번번이 실패했고, 2015년 경주에 중저준위 방폐장이 겨우 들어섰습니다.
정부는 고리원전에 짓는 건식 저장시설은 사용후핵연료 포화로, 한시적으로 사용하는 시설이라고 밝혔습니다.
[박태현/산업통상자원부 원전환경과장 :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건식 저장시설을 인허가할 때 처음부터 사용 연한을 50년으로 제한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애초부터 영구 보관을 목적으로는 사용할 수가 없다."]
정부는 또 세계적으로 쓰이는 저장법인 데다 관련 기술도 확보가 끝난 만큼 주민과 소통하며 건식 저장시설 확충을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촬영기자:류석민/영상편집:이동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준위 방폐물 지상 저장 시설 추진”…지역 반발
-
- 입력 2022-10-04 21:42:28
- 수정2022-10-04 22:02:39

[앵커]
정부가 고리원전 땅에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보관하는 시설 건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달 말 한국수력원자력 이사회 상정을 앞두고 있는데요.
정부는 한시적인 시설이라고 말하지만, 고리원전이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이 될 수 있다며 지역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 고리원자력발전소입니다.
사용하고 남은 핵연료인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수조 형태의 습식 저장시설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모두 6천9백여 다발로, 저장 시설은 85% 넘게 찼습니다.
2031년에는 가득 찰 것으로 보이는데, 고리원전 땅 위에 한시적으로 고준위 방폐물을 보관하는 건식 저장시설을 지을 예정입니다.
이달 말, 한국수력원자력 이사회에 안건 상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지역 탈핵단체는 부산시가 저장시설 건립을 막아야 한다며 곧바로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임미화/탈핵부산시민연대 집행위원 : "말이 임시저장이지, 영구처분장의 해결 능력도, 의지도 없기에, 사실상 영구처분시설입니다."]
정부는 2060년까지 고준위 방폐물 영구 처분시설 설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1983년부터 땅을 찾고 있지만, 번번이 실패했고, 2015년 경주에 중저준위 방폐장이 겨우 들어섰습니다.
정부는 고리원전에 짓는 건식 저장시설은 사용후핵연료 포화로, 한시적으로 사용하는 시설이라고 밝혔습니다.
[박태현/산업통상자원부 원전환경과장 :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건식 저장시설을 인허가할 때 처음부터 사용 연한을 50년으로 제한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애초부터 영구 보관을 목적으로는 사용할 수가 없다."]
정부는 또 세계적으로 쓰이는 저장법인 데다 관련 기술도 확보가 끝난 만큼 주민과 소통하며 건식 저장시설 확충을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촬영기자:류석민/영상편집:이동훈
정부가 고리원전 땅에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보관하는 시설 건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달 말 한국수력원자력 이사회 상정을 앞두고 있는데요.
정부는 한시적인 시설이라고 말하지만, 고리원전이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이 될 수 있다며 지역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 고리원자력발전소입니다.
사용하고 남은 핵연료인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수조 형태의 습식 저장시설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모두 6천9백여 다발로, 저장 시설은 85% 넘게 찼습니다.
2031년에는 가득 찰 것으로 보이는데, 고리원전 땅 위에 한시적으로 고준위 방폐물을 보관하는 건식 저장시설을 지을 예정입니다.
이달 말, 한국수력원자력 이사회에 안건 상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지역 탈핵단체는 부산시가 저장시설 건립을 막아야 한다며 곧바로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임미화/탈핵부산시민연대 집행위원 : "말이 임시저장이지, 영구처분장의 해결 능력도, 의지도 없기에, 사실상 영구처분시설입니다."]
정부는 2060년까지 고준위 방폐물 영구 처분시설 설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1983년부터 땅을 찾고 있지만, 번번이 실패했고, 2015년 경주에 중저준위 방폐장이 겨우 들어섰습니다.
정부는 고리원전에 짓는 건식 저장시설은 사용후핵연료 포화로, 한시적으로 사용하는 시설이라고 밝혔습니다.
[박태현/산업통상자원부 원전환경과장 :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건식 저장시설을 인허가할 때 처음부터 사용 연한을 50년으로 제한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애초부터 영구 보관을 목적으로는 사용할 수가 없다."]
정부는 또 세계적으로 쓰이는 저장법인 데다 관련 기술도 확보가 끝난 만큼 주민과 소통하며 건식 저장시설 확충을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촬영기자:류석민/영상편집:이동훈
-
-
김영록 기자 kiyuro@kbs.co.kr
김영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