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내가 ‘서시’를 좋아하는 이유는요?”…첫 한국어 시낭송 대회 열려
입력 2022.10.10 (07:37) 수정 2022.10.10 (07:56) 뉴스광장(경인)
[앵커]
제 576돌 한글날을 맞아 미국에서 온라인으로 한국어 시낭송 대회가 열렸습니다.
2백 명이 넘는 현지인들이 참가했는데 이들이 한국 시와 한국어에 얼마나 진심인지 직접 보시면 깜짝 놀라실 겁니다.
로스앤젤레스 이영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이 참가자는 배경 음악도 직접 연주했습니다.
[수잔나 클라크/유타주/'흔들리며 피는 꽃' - 도종환 :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꽃들도 다 흔들리며 피었나니."]
시 구절을 노래로 만들어 부른 참가자도 있습니다.
[사스와티 고쉬/캘리포니아주/'알 수 없어요' - 한용운 : "푸른 하늘은 누구의 얼굴입니까? 알 수 없어요."]
한 편의 뮤직비디오처럼 다양한 효과와 그래픽으로 리듬과 감성을 살렸습니다.
시를 선택한 이유와 자신의 해석도 담았습니다.
[엘리자베타 야노브스카야/뉴욕주 : "우크라이나계 미국인으로서 한용운 시인의 시 “님의 침묵”은 저에게 큰 의미가 있습니다. 잃어버린 조국을 상징하지만 화자는 슬픔을 희망으로 전환했습니다."]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미 전역에서 242명의 참가자들이 이렇게 진심을 담아 한국어 시 낭송 동영상을 보내왔습니다.
[정상원/LA 한국 문화원장 : "미국인들이 한국시에 큰 관심과 열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느꼈고 미국의 소도시에서도 한국어를 혼자서 열심히 공부하는 미국인들이 많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주최 측은 대상 1명과 최우수상 2명 등 모두 48명의 입상자를 선정했습니다.
[엘리자베타 야노브스카야/뉴욕 주/대상 : "감사드립니다. 왜냐하면 한국 문화원 덕분에 이 시에 대해서 알게 됐으니까요."]
[사라 알콸라프/콜로라도 주/우수상 : "3등 받게 돼서 정말 영광이고 정말 좋습니다. 그래서 내년에도 꼭 참석하겠습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KBS 뉴스 이영현입니다.
영상촬영:유원규/영상편집:장수경/자료조사:이지은
제 576돌 한글날을 맞아 미국에서 온라인으로 한국어 시낭송 대회가 열렸습니다.
2백 명이 넘는 현지인들이 참가했는데 이들이 한국 시와 한국어에 얼마나 진심인지 직접 보시면 깜짝 놀라실 겁니다.
로스앤젤레스 이영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이 참가자는 배경 음악도 직접 연주했습니다.
[수잔나 클라크/유타주/'흔들리며 피는 꽃' - 도종환 :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꽃들도 다 흔들리며 피었나니."]
시 구절을 노래로 만들어 부른 참가자도 있습니다.
[사스와티 고쉬/캘리포니아주/'알 수 없어요' - 한용운 : "푸른 하늘은 누구의 얼굴입니까? 알 수 없어요."]
한 편의 뮤직비디오처럼 다양한 효과와 그래픽으로 리듬과 감성을 살렸습니다.
시를 선택한 이유와 자신의 해석도 담았습니다.
[엘리자베타 야노브스카야/뉴욕주 : "우크라이나계 미국인으로서 한용운 시인의 시 “님의 침묵”은 저에게 큰 의미가 있습니다. 잃어버린 조국을 상징하지만 화자는 슬픔을 희망으로 전환했습니다."]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미 전역에서 242명의 참가자들이 이렇게 진심을 담아 한국어 시 낭송 동영상을 보내왔습니다.
[정상원/LA 한국 문화원장 : "미국인들이 한국시에 큰 관심과 열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느꼈고 미국의 소도시에서도 한국어를 혼자서 열심히 공부하는 미국인들이 많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주최 측은 대상 1명과 최우수상 2명 등 모두 48명의 입상자를 선정했습니다.
[엘리자베타 야노브스카야/뉴욕 주/대상 : "감사드립니다. 왜냐하면 한국 문화원 덕분에 이 시에 대해서 알게 됐으니까요."]
[사라 알콸라프/콜로라도 주/우수상 : "3등 받게 돼서 정말 영광이고 정말 좋습니다. 그래서 내년에도 꼭 참석하겠습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KBS 뉴스 이영현입니다.
영상촬영:유원규/영상편집:장수경/자료조사:이지은
- “내가 ‘서시’를 좋아하는 이유는요?”…첫 한국어 시낭송 대회 열려
-
- 입력 2022-10-10 07:37:23
- 수정2022-10-10 07:56:19

[앵커]
제 576돌 한글날을 맞아 미국에서 온라인으로 한국어 시낭송 대회가 열렸습니다.
2백 명이 넘는 현지인들이 참가했는데 이들이 한국 시와 한국어에 얼마나 진심인지 직접 보시면 깜짝 놀라실 겁니다.
로스앤젤레스 이영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이 참가자는 배경 음악도 직접 연주했습니다.
[수잔나 클라크/유타주/'흔들리며 피는 꽃' - 도종환 :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꽃들도 다 흔들리며 피었나니."]
시 구절을 노래로 만들어 부른 참가자도 있습니다.
[사스와티 고쉬/캘리포니아주/'알 수 없어요' - 한용운 : "푸른 하늘은 누구의 얼굴입니까? 알 수 없어요."]
한 편의 뮤직비디오처럼 다양한 효과와 그래픽으로 리듬과 감성을 살렸습니다.
시를 선택한 이유와 자신의 해석도 담았습니다.
[엘리자베타 야노브스카야/뉴욕주 : "우크라이나계 미국인으로서 한용운 시인의 시 “님의 침묵”은 저에게 큰 의미가 있습니다. 잃어버린 조국을 상징하지만 화자는 슬픔을 희망으로 전환했습니다."]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미 전역에서 242명의 참가자들이 이렇게 진심을 담아 한국어 시 낭송 동영상을 보내왔습니다.
[정상원/LA 한국 문화원장 : "미국인들이 한국시에 큰 관심과 열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느꼈고 미국의 소도시에서도 한국어를 혼자서 열심히 공부하는 미국인들이 많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주최 측은 대상 1명과 최우수상 2명 등 모두 48명의 입상자를 선정했습니다.
[엘리자베타 야노브스카야/뉴욕 주/대상 : "감사드립니다. 왜냐하면 한국 문화원 덕분에 이 시에 대해서 알게 됐으니까요."]
[사라 알콸라프/콜로라도 주/우수상 : "3등 받게 돼서 정말 영광이고 정말 좋습니다. 그래서 내년에도 꼭 참석하겠습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KBS 뉴스 이영현입니다.
영상촬영:유원규/영상편집:장수경/자료조사:이지은
제 576돌 한글날을 맞아 미국에서 온라인으로 한국어 시낭송 대회가 열렸습니다.
2백 명이 넘는 현지인들이 참가했는데 이들이 한국 시와 한국어에 얼마나 진심인지 직접 보시면 깜짝 놀라실 겁니다.
로스앤젤레스 이영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이 참가자는 배경 음악도 직접 연주했습니다.
[수잔나 클라크/유타주/'흔들리며 피는 꽃' - 도종환 :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꽃들도 다 흔들리며 피었나니."]
시 구절을 노래로 만들어 부른 참가자도 있습니다.
[사스와티 고쉬/캘리포니아주/'알 수 없어요' - 한용운 : "푸른 하늘은 누구의 얼굴입니까? 알 수 없어요."]
한 편의 뮤직비디오처럼 다양한 효과와 그래픽으로 리듬과 감성을 살렸습니다.
시를 선택한 이유와 자신의 해석도 담았습니다.
[엘리자베타 야노브스카야/뉴욕주 : "우크라이나계 미국인으로서 한용운 시인의 시 “님의 침묵”은 저에게 큰 의미가 있습니다. 잃어버린 조국을 상징하지만 화자는 슬픔을 희망으로 전환했습니다."]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미 전역에서 242명의 참가자들이 이렇게 진심을 담아 한국어 시 낭송 동영상을 보내왔습니다.
[정상원/LA 한국 문화원장 : "미국인들이 한국시에 큰 관심과 열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느꼈고 미국의 소도시에서도 한국어를 혼자서 열심히 공부하는 미국인들이 많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주최 측은 대상 1명과 최우수상 2명 등 모두 48명의 입상자를 선정했습니다.
[엘리자베타 야노브스카야/뉴욕 주/대상 : "감사드립니다. 왜냐하면 한국 문화원 덕분에 이 시에 대해서 알게 됐으니까요."]
[사라 알콸라프/콜로라도 주/우수상 : "3등 받게 돼서 정말 영광이고 정말 좋습니다. 그래서 내년에도 꼭 참석하겠습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KBS 뉴스 이영현입니다.
영상촬영:유원규/영상편집:장수경/자료조사:이지은
- 기자 정보
-
-
이영현 기자 leeyoung@kbs.co.kr
이영현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