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울산 여성 청년 비중 매년 감소…일자리 부족 주원인
입력 2022.10.12 (23:32) 수정 2022.10.12 (23:41) 뉴스9(울산)
일자리 부족 등으로 울산에 사는 여성 청년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울산여성가족개발원 조사 결과 울산의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인구 21만 5천여 명 중에서 여성은 9만 5천여 명으로 전체 청년 인구의 44.3%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00년에 50.1%를 차지한 여성 청년인구 비중은 2010년 46.8%, 2020년 44.4% 등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이는 청년 여성의 타 지역 이주가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남성 중심 산업 구조와 여성 일자리 부족, 낮은 임금 등이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울산여성가족개발원 조사 결과 울산의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인구 21만 5천여 명 중에서 여성은 9만 5천여 명으로 전체 청년 인구의 44.3%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00년에 50.1%를 차지한 여성 청년인구 비중은 2010년 46.8%, 2020년 44.4% 등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이는 청년 여성의 타 지역 이주가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남성 중심 산업 구조와 여성 일자리 부족, 낮은 임금 등이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 울산 여성 청년 비중 매년 감소…일자리 부족 주원인
-
- 입력 2022-10-12 23:32:57
- 수정2022-10-12 23:41:20

일자리 부족 등으로 울산에 사는 여성 청년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울산여성가족개발원 조사 결과 울산의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인구 21만 5천여 명 중에서 여성은 9만 5천여 명으로 전체 청년 인구의 44.3%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00년에 50.1%를 차지한 여성 청년인구 비중은 2010년 46.8%, 2020년 44.4% 등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이는 청년 여성의 타 지역 이주가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남성 중심 산업 구조와 여성 일자리 부족, 낮은 임금 등이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울산여성가족개발원 조사 결과 울산의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인구 21만 5천여 명 중에서 여성은 9만 5천여 명으로 전체 청년 인구의 44.3%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00년에 50.1%를 차지한 여성 청년인구 비중은 2010년 46.8%, 2020년 44.4% 등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이는 청년 여성의 타 지역 이주가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남성 중심 산업 구조와 여성 일자리 부족, 낮은 임금 등이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뉴스9(울산)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공웅조 기자 salt@kbs.co.kr
공웅조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