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윤 대통령 “北 도발 대비태세 구축…대적관·헌법수호정신 확립해야”

입력 2022.10.14 (10:21) 수정 2022.10.14 (10: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북한의 연이은 도발에 "우려도 많이 있지만, 정부는 출범 이후 북의 도발에 대해서 나름 빈틈없이 최선을 다해 대비태세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오늘(14일)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 문답에서 "북한이 어제도 오늘 새벽까지 우리 군에서 설정한 남방 조치선을 넘어서 공군력으로 무력시위도 하고, 순항미사일에 탄도미사일에 무차별 도발을 해오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또 "(북한의) 물리적인 도발에는 반드시 정치 공세와 대남 적화통일을 위한 사회적 심리 공세가 따르게 돼 있다"며 "우리 국군 장병, 안보 관계자를 비롯해서 국민 여러분께서 일치된 마음으로 확고한 대적관과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겠다는 헌법 수호 정신을 확실하게 갖는 것이 안보에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이 동·서해 해상완충 구역에 방사포 사격을 한 데 대해서는 "9·19 남북합의 위반인 건 맞다"며 "저희도 하나하나 (조치를) 다 검토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북한의 도발 수준이 높으면 선제타격을 할 계획이냐'는 질문에는 "그런 얘기를 하느냐"고 일축한 뒤, "'3축 체계'라는 것을 언론에서는 '굉장히 무기력해졌다'는 평가도 하는데, 그건 우려가 반영된 거라고 본다. 3축 체계는 유효한 방어 체계"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세계 어느 나라도 적이 먼저 선제 공격을 할 때 그걸 완벽하게 사전에 대응하거나 100% 요격할 수는 없다"며 "참혹한 결과를 각오하고 (공격)해야 하기 때문에 '대량 응징 보복'이라고 하는, 3축 체계의 마지막 단계도 사전에 전쟁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상당한 심리적, 사회적 억제 수단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이 순항미사일을 발사한 것과 관련해서는 "언론의 우려가 많이 있지만, NSC에서는 순항미사일을 쏜 경우에는 발표 자체를 안 한다"며 "(유엔) 안보리에서도 순항미사일까지 대북 제재를 해야 하는데, 탄도(미사일)만 지금 하고 있지 않으냐"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순항미사일은 저고도로 비행을 하다 보니까 감시 정찰에서 적발될 가능성이 작다'고 하지만 우리 방어체계로서, 우리 레이더망으로서 얼마든지 적발을 한다"며 "비행기 정도의 느린 속도이기 때문에 요격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김문수, 노동현장 가장 잘 안다고 생각해 인선"

윤 대통령은 문재인 전 대통령을 '김일성주의자'라고 하는 등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장에 대해서는 "노동현장을 가장 잘 안다고 생각해 인선했다"고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인선 배경에 대한 질문에 "제도에 해박한 분은 많지만, 김 위원장은 70년대 말~80년대 노동현장을 뛴 분이라 진영에 관계없이 네트워크를 갖고 있고 현장을 잘 아는 분"이라며 "다른 것을 고려하지 않고 인선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그러나, 김 위원장이 최근 논란의 발언을 한 데 대해서는 별도의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김 위원장은 앞서 지난 12일 "문재인 전 대통령은 김일성주의자"라는 발언으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 퇴장당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이후에도 "(문 전 대통령은) '내가 가장 존경하는 한국의 사상가는 신영복'이라고 공개적으로 공포했다"며 "그런 발언을 공개적으로 했으니 김일성주의자"라는 주장을 이어가 논란이 됐습니다.

대통령실은 어제(13일) 이러한 김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김문수 위원장께서 스스로 설명할 기회를 가져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밝혔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관련, 감사원이 지난 정부 인사들을 대거 수사 요청한 데 대해서는 "바빠서 중간 발표한다는 보도를 봤는데, 기사나 이런 것들을 꼼꼼히 챙겨보지 못했다"며 "결과는 방송자막으로 봤다. 챙겨보겠다"고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습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6일 출근길에도 '대통령실이 감사원 감사에 관여하고 있다'는 야권의 비판에 대해 "그 정도 관여할 만큼의 시간적 여유도 저는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영상] 윤 대통령 “北 도발 대비태세 구축…대적관·헌법수호정신 확립해야”
    • 입력 2022-10-14 10:21:00
    • 수정2022-10-14 10:28:01
    현장영상

윤석열 대통령이 북한의 연이은 도발에 "우려도 많이 있지만, 정부는 출범 이후 북의 도발에 대해서 나름 빈틈없이 최선을 다해 대비태세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오늘(14일)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 문답에서 "북한이 어제도 오늘 새벽까지 우리 군에서 설정한 남방 조치선을 넘어서 공군력으로 무력시위도 하고, 순항미사일에 탄도미사일에 무차별 도발을 해오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또 "(북한의) 물리적인 도발에는 반드시 정치 공세와 대남 적화통일을 위한 사회적 심리 공세가 따르게 돼 있다"며 "우리 국군 장병, 안보 관계자를 비롯해서 국민 여러분께서 일치된 마음으로 확고한 대적관과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겠다는 헌법 수호 정신을 확실하게 갖는 것이 안보에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이 동·서해 해상완충 구역에 방사포 사격을 한 데 대해서는 "9·19 남북합의 위반인 건 맞다"며 "저희도 하나하나 (조치를) 다 검토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북한의 도발 수준이 높으면 선제타격을 할 계획이냐'는 질문에는 "그런 얘기를 하느냐"고 일축한 뒤, "'3축 체계'라는 것을 언론에서는 '굉장히 무기력해졌다'는 평가도 하는데, 그건 우려가 반영된 거라고 본다. 3축 체계는 유효한 방어 체계"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세계 어느 나라도 적이 먼저 선제 공격을 할 때 그걸 완벽하게 사전에 대응하거나 100% 요격할 수는 없다"며 "참혹한 결과를 각오하고 (공격)해야 하기 때문에 '대량 응징 보복'이라고 하는, 3축 체계의 마지막 단계도 사전에 전쟁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상당한 심리적, 사회적 억제 수단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이 순항미사일을 발사한 것과 관련해서는 "언론의 우려가 많이 있지만, NSC에서는 순항미사일을 쏜 경우에는 발표 자체를 안 한다"며 "(유엔) 안보리에서도 순항미사일까지 대북 제재를 해야 하는데, 탄도(미사일)만 지금 하고 있지 않으냐"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순항미사일은 저고도로 비행을 하다 보니까 감시 정찰에서 적발될 가능성이 작다'고 하지만 우리 방어체계로서, 우리 레이더망으로서 얼마든지 적발을 한다"며 "비행기 정도의 느린 속도이기 때문에 요격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김문수, 노동현장 가장 잘 안다고 생각해 인선"

윤 대통령은 문재인 전 대통령을 '김일성주의자'라고 하는 등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장에 대해서는 "노동현장을 가장 잘 안다고 생각해 인선했다"고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인선 배경에 대한 질문에 "제도에 해박한 분은 많지만, 김 위원장은 70년대 말~80년대 노동현장을 뛴 분이라 진영에 관계없이 네트워크를 갖고 있고 현장을 잘 아는 분"이라며 "다른 것을 고려하지 않고 인선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그러나, 김 위원장이 최근 논란의 발언을 한 데 대해서는 별도의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김 위원장은 앞서 지난 12일 "문재인 전 대통령은 김일성주의자"라는 발언으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 퇴장당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이후에도 "(문 전 대통령은) '내가 가장 존경하는 한국의 사상가는 신영복'이라고 공개적으로 공포했다"며 "그런 발언을 공개적으로 했으니 김일성주의자"라는 주장을 이어가 논란이 됐습니다.

대통령실은 어제(13일) 이러한 김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김문수 위원장께서 스스로 설명할 기회를 가져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밝혔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관련, 감사원이 지난 정부 인사들을 대거 수사 요청한 데 대해서는 "바빠서 중간 발표한다는 보도를 봤는데, 기사나 이런 것들을 꼼꼼히 챙겨보지 못했다"며 "결과는 방송자막으로 봤다. 챙겨보겠다"고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습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6일 출근길에도 '대통령실이 감사원 감사에 관여하고 있다'는 야권의 비판에 대해 "그 정도 관여할 만큼의 시간적 여유도 저는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