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 사이버 공격 대비 중앙부처 소프트웨어 총점검”
입력 2022.10.17 (10:18)
수정 2022.10.17 (13: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친러시아 성향 해커의 공격을 받은 일본 정부가 중앙부처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막기 위해 내년에 소프트웨어를 총점검해 대책을 마련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오늘 보도했습니다.
일본 정부가 전 중앙부처 소프트웨어를 총점검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점검 대상은 정부 기관 통신 단말기로 개인이 사용하는 것을 포함해 수십만 대 규몹니다.
중앙부처의 통신 환경은 내각 사이버보안센터가 중심이 돼 감시하지만, 직원의 단말기까지 관리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수상한 움직임을 감시해도 사례를 공유할 수 없는 경우도 많아 대응이 지연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습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각 부처 단말기에 자국 기업이 만든 특정 보안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수집한 정보를 분석해 정부 전체가 공유하기로 했습니다.
앞서 지난달 6일 일본 정부가 운영하는 행정정보 포털사이트(e-Gov)와 총무성 소관의 지방세 포털사이트(eLTAX) 등 4개 부처, 23개 사이트와 도쿄와 오사카 지하철 사이트 등이 친러시아 성향의 해커 그룹인 ‘킬넷’(Killnet)으로부터 사이버 공격을 받았습니다.
일본 정부가 전 중앙부처 소프트웨어를 총점검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점검 대상은 정부 기관 통신 단말기로 개인이 사용하는 것을 포함해 수십만 대 규몹니다.
중앙부처의 통신 환경은 내각 사이버보안센터가 중심이 돼 감시하지만, 직원의 단말기까지 관리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수상한 움직임을 감시해도 사례를 공유할 수 없는 경우도 많아 대응이 지연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습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각 부처 단말기에 자국 기업이 만든 특정 보안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수집한 정보를 분석해 정부 전체가 공유하기로 했습니다.
앞서 지난달 6일 일본 정부가 운영하는 행정정보 포털사이트(e-Gov)와 총무성 소관의 지방세 포털사이트(eLTAX) 등 4개 부처, 23개 사이트와 도쿄와 오사카 지하철 사이트 등이 친러시아 성향의 해커 그룹인 ‘킬넷’(Killnet)으로부터 사이버 공격을 받았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 정부, 사이버 공격 대비 중앙부처 소프트웨어 총점검”
-
- 입력 2022-10-17 10:18:58
- 수정2022-10-17 13:35:23

지난달 친러시아 성향 해커의 공격을 받은 일본 정부가 중앙부처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막기 위해 내년에 소프트웨어를 총점검해 대책을 마련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오늘 보도했습니다.
일본 정부가 전 중앙부처 소프트웨어를 총점검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점검 대상은 정부 기관 통신 단말기로 개인이 사용하는 것을 포함해 수십만 대 규몹니다.
중앙부처의 통신 환경은 내각 사이버보안센터가 중심이 돼 감시하지만, 직원의 단말기까지 관리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수상한 움직임을 감시해도 사례를 공유할 수 없는 경우도 많아 대응이 지연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습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각 부처 단말기에 자국 기업이 만든 특정 보안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수집한 정보를 분석해 정부 전체가 공유하기로 했습니다.
앞서 지난달 6일 일본 정부가 운영하는 행정정보 포털사이트(e-Gov)와 총무성 소관의 지방세 포털사이트(eLTAX) 등 4개 부처, 23개 사이트와 도쿄와 오사카 지하철 사이트 등이 친러시아 성향의 해커 그룹인 ‘킬넷’(Killnet)으로부터 사이버 공격을 받았습니다.
일본 정부가 전 중앙부처 소프트웨어를 총점검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점검 대상은 정부 기관 통신 단말기로 개인이 사용하는 것을 포함해 수십만 대 규몹니다.
중앙부처의 통신 환경은 내각 사이버보안센터가 중심이 돼 감시하지만, 직원의 단말기까지 관리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수상한 움직임을 감시해도 사례를 공유할 수 없는 경우도 많아 대응이 지연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습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각 부처 단말기에 자국 기업이 만든 특정 보안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수집한 정보를 분석해 정부 전체가 공유하기로 했습니다.
앞서 지난달 6일 일본 정부가 운영하는 행정정보 포털사이트(e-Gov)와 총무성 소관의 지방세 포털사이트(eLTAX) 등 4개 부처, 23개 사이트와 도쿄와 오사카 지하철 사이트 등이 친러시아 성향의 해커 그룹인 ‘킬넷’(Killnet)으로부터 사이버 공격을 받았습니다.
-
-
정지주 기자 jjcheong@kbs.co.kr
정지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