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뉴스] 빈곤 퇴치의 날 30주년, 빈곤은 줄어들었나?

입력 2022.10.19 (19:22) 수정 2022.10.19 (19: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10월 17일은 UN이 공인한 '세계 빈곤 퇴치의 날'이었는데요.

빈곤과 기아 근절을 위한 국제적 관심을 촉구하기 위해 기념일로 정한지 올해로 벌써 30주년이 됐습니다.

지난 30년간 과연 빈곤층은 많이 줄었을까요?

코로나19 대유행에 이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곡물 가격을 비롯한 전 세계 물가 상승 압박이 심해지면서 빈곤층의 어려움은 더 커졌죠.

세계적인 경제 위기로 올해 아동 4백만 명이 추가로 빈곤에 빠졌다는 유니세프 분석 결과도 있는데요.

강대국 미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이 교회의 경우, 생활고를 겪는 미국인들이 늘면서 무료 급식을 받기 위한 차량 행렬이 하루 최대 3천 대까지 늘어선다고 하는데요.

[브라이언트/침례교회 목사 : "얼마나 많은 분들이 (가족을 먹이지 못하고) 침묵 속에 고통 받고 있는지 모릅니다."]

우리나라 상황은 어떨까요?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발굴된 복지 위기대상자는 107만 명.

2018년 34만 명보다도 3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위기 가구 조사는 두 달에 한 번씩, 1년에 6차례 이뤄지는데요.

지난해 두 번 이상 위기 가구 명단에 오른 사람도 전체 20%인 20만여 명에 이릅니다.

특히 전라남도의 경우 두 번 이상 위기 가구로 발굴된 비율이 17%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두 번 이상 발굴됐다는 것은 그만큼 사정이 나아지지 않고 가난이 고착화된 경우라고 볼 수 있겠죠.

위기 가구로 발굴된 이후에도 지자체 현장방문이나 상담 등 조치가 취해지지 않아 미처리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미처리 비율이 높은 전국 20개 시군구에는 전남 강진과 영광, 신안군도 이름을 올렸는데요.

어렵게 발굴해놓고도 지자체 인력과 예산 부족으로 사후 조치가 잘 되지 않고 있는 겁니다.

홀로 쓸쓸히 죽음을 맞는 고독사는 빈곤의 상징처럼 여겨지죠.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고독사로 추정되는 무연고 사망자는 3천 6백여 명으로 3년 전 대비 47%나 늘었습니다.

광주와 전남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아 지난해 118명으로 3년 전 대비 50% 가까이 늘었는데요.

무연고 사망자들의 경제 상황을 살펴봤더니, 의료급여 수급자 비율이 전체 10명 중 7명꼴로 나타났습니다.

그만큼 경제적 어려움이 고독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건데요.

지난해부터 고독사 예방과 관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고, 예방사업도 시작되긴 했지만, 한계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김원이/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 "문제는 이게 (고독사 예방사업이) 긴급복지, 정신건강 복지사업과 크게 다르지 않아서, 고독사 문제에 대해서 좀 더 집중적으로 관심을 갖고, 연령별·지역별 특성에 맞는 세밀한 접근과 정책이 필요하다 이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웃의 쓸쓸한 죽음을 방관할 수 없다며 주민들이 발 벗고 나선 곳도 있는데요.

광주시 동구 충장동의 '무연고사망자 마을 상주단'입니다.

마을 상주단은 무연고 사망자의 장례부터 영락공원 안치까지, 모든 과정을 함께 하는데요.

지금까지 모두 6명이 상주단의 도움으로 쓸쓸하지 않게 장례를 치렀는데, 안타까운 사연이 많다고 합니다.

[고지남/광주시 충장동사무소 주무관 : "(고인의 가족들께) 연락 닿기도 굉장히 힘들고, 설령 연락이 닿는다 하더라도 장례를 거부하시는 분들이 꽤 있어요, 그런데 이제 이게 앞으로 가면 갈수록 더 많아질 겁니다."]

지난 8월 기록적인 폭우로 서울 신림동의 반지하에서는 일가족이 한순간에 목숨을 잃는 참사가 있었죠.

기후 위기가 빈곤층을 더 큰 위기로 몰아넣고 사회 불평등도 심화시키고 있는 모양샙니다.

고령화가 빨라지면서 노인 빈곤층 비율도 커지고 있는데요.

빈곤이 곧 불행이 되지 않도록, 사회 안전망 강화와 함께 지역사회 관심이 절실합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친절한 뉴스] 빈곤 퇴치의 날 30주년, 빈곤은 줄어들었나?
    • 입력 2022-10-19 19:22:46
    • 수정2022-10-19 19:46:41
    뉴스7(광주)
지난 10월 17일은 UN이 공인한 '세계 빈곤 퇴치의 날'이었는데요.

빈곤과 기아 근절을 위한 국제적 관심을 촉구하기 위해 기념일로 정한지 올해로 벌써 30주년이 됐습니다.

지난 30년간 과연 빈곤층은 많이 줄었을까요?

코로나19 대유행에 이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곡물 가격을 비롯한 전 세계 물가 상승 압박이 심해지면서 빈곤층의 어려움은 더 커졌죠.

세계적인 경제 위기로 올해 아동 4백만 명이 추가로 빈곤에 빠졌다는 유니세프 분석 결과도 있는데요.

강대국 미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이 교회의 경우, 생활고를 겪는 미국인들이 늘면서 무료 급식을 받기 위한 차량 행렬이 하루 최대 3천 대까지 늘어선다고 하는데요.

[브라이언트/침례교회 목사 : "얼마나 많은 분들이 (가족을 먹이지 못하고) 침묵 속에 고통 받고 있는지 모릅니다."]

우리나라 상황은 어떨까요?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발굴된 복지 위기대상자는 107만 명.

2018년 34만 명보다도 3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위기 가구 조사는 두 달에 한 번씩, 1년에 6차례 이뤄지는데요.

지난해 두 번 이상 위기 가구 명단에 오른 사람도 전체 20%인 20만여 명에 이릅니다.

특히 전라남도의 경우 두 번 이상 위기 가구로 발굴된 비율이 17%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두 번 이상 발굴됐다는 것은 그만큼 사정이 나아지지 않고 가난이 고착화된 경우라고 볼 수 있겠죠.

위기 가구로 발굴된 이후에도 지자체 현장방문이나 상담 등 조치가 취해지지 않아 미처리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미처리 비율이 높은 전국 20개 시군구에는 전남 강진과 영광, 신안군도 이름을 올렸는데요.

어렵게 발굴해놓고도 지자체 인력과 예산 부족으로 사후 조치가 잘 되지 않고 있는 겁니다.

홀로 쓸쓸히 죽음을 맞는 고독사는 빈곤의 상징처럼 여겨지죠.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고독사로 추정되는 무연고 사망자는 3천 6백여 명으로 3년 전 대비 47%나 늘었습니다.

광주와 전남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아 지난해 118명으로 3년 전 대비 50% 가까이 늘었는데요.

무연고 사망자들의 경제 상황을 살펴봤더니, 의료급여 수급자 비율이 전체 10명 중 7명꼴로 나타났습니다.

그만큼 경제적 어려움이 고독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건데요.

지난해부터 고독사 예방과 관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고, 예방사업도 시작되긴 했지만, 한계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김원이/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 "문제는 이게 (고독사 예방사업이) 긴급복지, 정신건강 복지사업과 크게 다르지 않아서, 고독사 문제에 대해서 좀 더 집중적으로 관심을 갖고, 연령별·지역별 특성에 맞는 세밀한 접근과 정책이 필요하다 이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웃의 쓸쓸한 죽음을 방관할 수 없다며 주민들이 발 벗고 나선 곳도 있는데요.

광주시 동구 충장동의 '무연고사망자 마을 상주단'입니다.

마을 상주단은 무연고 사망자의 장례부터 영락공원 안치까지, 모든 과정을 함께 하는데요.

지금까지 모두 6명이 상주단의 도움으로 쓸쓸하지 않게 장례를 치렀는데, 안타까운 사연이 많다고 합니다.

[고지남/광주시 충장동사무소 주무관 : "(고인의 가족들께) 연락 닿기도 굉장히 힘들고, 설령 연락이 닿는다 하더라도 장례를 거부하시는 분들이 꽤 있어요, 그런데 이제 이게 앞으로 가면 갈수록 더 많아질 겁니다."]

지난 8월 기록적인 폭우로 서울 신림동의 반지하에서는 일가족이 한순간에 목숨을 잃는 참사가 있었죠.

기후 위기가 빈곤층을 더 큰 위기로 몰아넣고 사회 불평등도 심화시키고 있는 모양샙니다.

고령화가 빨라지면서 노인 빈곤층 비율도 커지고 있는데요.

빈곤이 곧 불행이 되지 않도록, 사회 안전망 강화와 함께 지역사회 관심이 절실합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