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울산서 새 활성단층 확인…대책 마련 시급
입력 2022.10.24 (07:24)
수정 2022.10.24 (07: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2016년,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이 난 경주 내남단층 근처에서 지진 가능성이 큰 새 단층이 두 곳이나 발견됐습니다.
최근 전국 곳곳에서 지진 발생이 잦아지고 있는 만큼 피해를 막을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해졌습니다.
이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낙동강 하구를 시작으로 경북 경주를 거쳐 영덕으로 이어지는 긴 골짜기.
180km에 달하는 양산단층입니다.
이 골짜기를 따라 경부고속도로가 놓였고, 빽빽하게 도로와 도시가 만들어졌습니다.
그런데 2016년, 이 양산 단층과 인접한 내남단층에서 관측 사상 최대 규모의 강진이 발생했습니다.
규모 5.8의 경주 지진입니다.
이를 계기로 정부가 추가 지진 가능성이 있는지 단층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도로 건설 전 항공사진과 수풀까지 투과하는 라이다 장치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양산단층 경주 월산리와 울산 인보리 두 구간에서 지진 가능성이 큰 활성단층이 확인됐습니다.
경주 지진을 일으킨 내남단층과 불과 10km 거리입니다.
그동안 양산단층에서는 20여 곳의 활성단층이 보고되긴 했지만, 경주 부근에서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최진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활성지구조연구센터장 : "'제4기 단층 운동(활성단층)이 있었다'라고 하면 지금 지진 환경에서 지진이 있었기 때문에 이제 또다시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거죠."]
문제는 앞으로입니다.
언제든 지진이 날 수 있는 만큼 건물과 시설에 대한 내진 설계 기준을 마련하고, 보강 작업을 서둘러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단층 면적 분석 등 추가 정밀 조사도 이뤄져야 합니다.
[김영주/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의원 : "정부는 활성단층을 발견한 연구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주변 건축물에 대한 내진 보강 등의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또, 기존 양산단층에만 집중됐던 조사를 전국으로 확대해 정확한 지진 정보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신선미/그래픽:서수민
2016년,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이 난 경주 내남단층 근처에서 지진 가능성이 큰 새 단층이 두 곳이나 발견됐습니다.
최근 전국 곳곳에서 지진 발생이 잦아지고 있는 만큼 피해를 막을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해졌습니다.
이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낙동강 하구를 시작으로 경북 경주를 거쳐 영덕으로 이어지는 긴 골짜기.
180km에 달하는 양산단층입니다.
이 골짜기를 따라 경부고속도로가 놓였고, 빽빽하게 도로와 도시가 만들어졌습니다.
그런데 2016년, 이 양산 단층과 인접한 내남단층에서 관측 사상 최대 규모의 강진이 발생했습니다.
규모 5.8의 경주 지진입니다.
이를 계기로 정부가 추가 지진 가능성이 있는지 단층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도로 건설 전 항공사진과 수풀까지 투과하는 라이다 장치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양산단층 경주 월산리와 울산 인보리 두 구간에서 지진 가능성이 큰 활성단층이 확인됐습니다.
경주 지진을 일으킨 내남단층과 불과 10km 거리입니다.
그동안 양산단층에서는 20여 곳의 활성단층이 보고되긴 했지만, 경주 부근에서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최진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활성지구조연구센터장 : "'제4기 단층 운동(활성단층)이 있었다'라고 하면 지금 지진 환경에서 지진이 있었기 때문에 이제 또다시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거죠."]
문제는 앞으로입니다.
언제든 지진이 날 수 있는 만큼 건물과 시설에 대한 내진 설계 기준을 마련하고, 보강 작업을 서둘러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단층 면적 분석 등 추가 정밀 조사도 이뤄져야 합니다.
[김영주/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의원 : "정부는 활성단층을 발견한 연구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주변 건축물에 대한 내진 보강 등의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또, 기존 양산단층에만 집중됐던 조사를 전국으로 확대해 정확한 지진 정보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신선미/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주·울산서 새 활성단층 확인…대책 마련 시급
-
- 입력 2022-10-24 07:24:59
- 수정2022-10-24 07:32:56

[앵커]
2016년,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이 난 경주 내남단층 근처에서 지진 가능성이 큰 새 단층이 두 곳이나 발견됐습니다.
최근 전국 곳곳에서 지진 발생이 잦아지고 있는 만큼 피해를 막을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해졌습니다.
이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낙동강 하구를 시작으로 경북 경주를 거쳐 영덕으로 이어지는 긴 골짜기.
180km에 달하는 양산단층입니다.
이 골짜기를 따라 경부고속도로가 놓였고, 빽빽하게 도로와 도시가 만들어졌습니다.
그런데 2016년, 이 양산 단층과 인접한 내남단층에서 관측 사상 최대 규모의 강진이 발생했습니다.
규모 5.8의 경주 지진입니다.
이를 계기로 정부가 추가 지진 가능성이 있는지 단층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도로 건설 전 항공사진과 수풀까지 투과하는 라이다 장치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양산단층 경주 월산리와 울산 인보리 두 구간에서 지진 가능성이 큰 활성단층이 확인됐습니다.
경주 지진을 일으킨 내남단층과 불과 10km 거리입니다.
그동안 양산단층에서는 20여 곳의 활성단층이 보고되긴 했지만, 경주 부근에서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최진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활성지구조연구센터장 : "'제4기 단층 운동(활성단층)이 있었다'라고 하면 지금 지진 환경에서 지진이 있었기 때문에 이제 또다시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거죠."]
문제는 앞으로입니다.
언제든 지진이 날 수 있는 만큼 건물과 시설에 대한 내진 설계 기준을 마련하고, 보강 작업을 서둘러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단층 면적 분석 등 추가 정밀 조사도 이뤄져야 합니다.
[김영주/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의원 : "정부는 활성단층을 발견한 연구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주변 건축물에 대한 내진 보강 등의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또, 기존 양산단층에만 집중됐던 조사를 전국으로 확대해 정확한 지진 정보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신선미/그래픽:서수민
2016년,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이 난 경주 내남단층 근처에서 지진 가능성이 큰 새 단층이 두 곳이나 발견됐습니다.
최근 전국 곳곳에서 지진 발생이 잦아지고 있는 만큼 피해를 막을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해졌습니다.
이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낙동강 하구를 시작으로 경북 경주를 거쳐 영덕으로 이어지는 긴 골짜기.
180km에 달하는 양산단층입니다.
이 골짜기를 따라 경부고속도로가 놓였고, 빽빽하게 도로와 도시가 만들어졌습니다.
그런데 2016년, 이 양산 단층과 인접한 내남단층에서 관측 사상 최대 규모의 강진이 발생했습니다.
규모 5.8의 경주 지진입니다.
이를 계기로 정부가 추가 지진 가능성이 있는지 단층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도로 건설 전 항공사진과 수풀까지 투과하는 라이다 장치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양산단층 경주 월산리와 울산 인보리 두 구간에서 지진 가능성이 큰 활성단층이 확인됐습니다.
경주 지진을 일으킨 내남단층과 불과 10km 거리입니다.
그동안 양산단층에서는 20여 곳의 활성단층이 보고되긴 했지만, 경주 부근에서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최진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활성지구조연구센터장 : "'제4기 단층 운동(활성단층)이 있었다'라고 하면 지금 지진 환경에서 지진이 있었기 때문에 이제 또다시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거죠."]
문제는 앞으로입니다.
언제든 지진이 날 수 있는 만큼 건물과 시설에 대한 내진 설계 기준을 마련하고, 보강 작업을 서둘러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단층 면적 분석 등 추가 정밀 조사도 이뤄져야 합니다.
[김영주/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의원 : "정부는 활성단층을 발견한 연구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주변 건축물에 대한 내진 보강 등의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또, 기존 양산단층에만 집중됐던 조사를 전국으로 확대해 정확한 지진 정보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신선미/그래픽:서수민
-
-
이정훈 기자 skyclear@kbs.co.kr
이정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