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40년 만에 최저 성장”…시진핑 3연임 되자마자 걸림돌 산적
입력 2022.10.24 (19:50)
수정 2022.10.24 (20: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국 정부가 시진핑 주석의 3연임이 결정된 당 대회가 끝나자마자 연기됐던 3분기 경제 성장률을 기습 발표했습니다.
2분기 성장률보다 높아졌지만 최근 2년 사이 2번째로 낮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코로나가 발생한 첫 해인 2020년을 제외하고 40년 만에 최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측됩니다.
베이징 김민성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시진핑 주석의 3연임이 결정되는 당 대회 이틀째 열린 기자회견.
올 여름 가뭄과 전력난, 코로나 19 봉쇄가 있었지만 3분기 경제를 낙관했습니다.
[자오천신/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부주임 : "3분기 경제는 현저히 반등하고 전 세계적으로 중국 경제의 실적도 여전히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예정됐던 3분기 경제 성장률 발표는 무기 연기됐는데 시 주석 3연임 결정 하루만인 오늘 예고 없이 발표됐습니다.
3분기 성장률은 3.9%, 상하이 봉쇄가 있었던 2분기를 제외하면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내수경기 가늠자라 할 수 있는 소매 판매도 큰 폭으로 떨어졌고 수출도 두 달 연속 부진을 면치 못했습니다.
새 지도부 구성을 앞두고 3분기의 나쁜 성적표 발표를 미룬 게 아니냐는 분석입니다.
봉쇄 일변도인 '제로 코로나' 정책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지만 중국은 여전히 방역 정책을 바꿀 의사가 없어 보입니다.
[쑨예리/중공 중앙선전부 부부장/지난 15일 : "우리의 방역전력과 조치는 점점 더 과학적이고, 정밀하며, 효과적일 것입니다."]
세계 주요기관들은 중국의 올해 성장률을 3% 내외로 예측해 중국 목표치인 5.5%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3분기까지 누적 성장률은 3.0%인데 이런 추세라면 코로나 19 팬데믹 첫 해인 2020년을 제외하면 개혁개방 이후 40여 년 만에 최저 성장이 예상됩니다.
개혁과 친시장주의자로 분류되는 인사들이 이번 시진핑 3기 새 지도부에 포함되지 못했습니다.
내년에도 중국 경제를 낙관할 수 없는 요인 가운데 하납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민성입니다.
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노경일/자료조사:이지은
중국 정부가 시진핑 주석의 3연임이 결정된 당 대회가 끝나자마자 연기됐던 3분기 경제 성장률을 기습 발표했습니다.
2분기 성장률보다 높아졌지만 최근 2년 사이 2번째로 낮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코로나가 발생한 첫 해인 2020년을 제외하고 40년 만에 최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측됩니다.
베이징 김민성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시진핑 주석의 3연임이 결정되는 당 대회 이틀째 열린 기자회견.
올 여름 가뭄과 전력난, 코로나 19 봉쇄가 있었지만 3분기 경제를 낙관했습니다.
[자오천신/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부주임 : "3분기 경제는 현저히 반등하고 전 세계적으로 중국 경제의 실적도 여전히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예정됐던 3분기 경제 성장률 발표는 무기 연기됐는데 시 주석 3연임 결정 하루만인 오늘 예고 없이 발표됐습니다.
3분기 성장률은 3.9%, 상하이 봉쇄가 있었던 2분기를 제외하면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내수경기 가늠자라 할 수 있는 소매 판매도 큰 폭으로 떨어졌고 수출도 두 달 연속 부진을 면치 못했습니다.
새 지도부 구성을 앞두고 3분기의 나쁜 성적표 발표를 미룬 게 아니냐는 분석입니다.
봉쇄 일변도인 '제로 코로나' 정책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지만 중국은 여전히 방역 정책을 바꿀 의사가 없어 보입니다.
[쑨예리/중공 중앙선전부 부부장/지난 15일 : "우리의 방역전력과 조치는 점점 더 과학적이고, 정밀하며, 효과적일 것입니다."]
세계 주요기관들은 중국의 올해 성장률을 3% 내외로 예측해 중국 목표치인 5.5%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3분기까지 누적 성장률은 3.0%인데 이런 추세라면 코로나 19 팬데믹 첫 해인 2020년을 제외하면 개혁개방 이후 40여 년 만에 최저 성장이 예상됩니다.
개혁과 친시장주의자로 분류되는 인사들이 이번 시진핑 3기 새 지도부에 포함되지 못했습니다.
내년에도 중국 경제를 낙관할 수 없는 요인 가운데 하납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민성입니다.
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노경일/자료조사:이지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中 40년 만에 최저 성장”…시진핑 3연임 되자마자 걸림돌 산적
-
- 입력 2022-10-24 19:50:05
- 수정2022-10-24 20:06:00

[앵커]
중국 정부가 시진핑 주석의 3연임이 결정된 당 대회가 끝나자마자 연기됐던 3분기 경제 성장률을 기습 발표했습니다.
2분기 성장률보다 높아졌지만 최근 2년 사이 2번째로 낮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코로나가 발생한 첫 해인 2020년을 제외하고 40년 만에 최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측됩니다.
베이징 김민성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시진핑 주석의 3연임이 결정되는 당 대회 이틀째 열린 기자회견.
올 여름 가뭄과 전력난, 코로나 19 봉쇄가 있었지만 3분기 경제를 낙관했습니다.
[자오천신/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부주임 : "3분기 경제는 현저히 반등하고 전 세계적으로 중국 경제의 실적도 여전히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예정됐던 3분기 경제 성장률 발표는 무기 연기됐는데 시 주석 3연임 결정 하루만인 오늘 예고 없이 발표됐습니다.
3분기 성장률은 3.9%, 상하이 봉쇄가 있었던 2분기를 제외하면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내수경기 가늠자라 할 수 있는 소매 판매도 큰 폭으로 떨어졌고 수출도 두 달 연속 부진을 면치 못했습니다.
새 지도부 구성을 앞두고 3분기의 나쁜 성적표 발표를 미룬 게 아니냐는 분석입니다.
봉쇄 일변도인 '제로 코로나' 정책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지만 중국은 여전히 방역 정책을 바꿀 의사가 없어 보입니다.
[쑨예리/중공 중앙선전부 부부장/지난 15일 : "우리의 방역전력과 조치는 점점 더 과학적이고, 정밀하며, 효과적일 것입니다."]
세계 주요기관들은 중국의 올해 성장률을 3% 내외로 예측해 중국 목표치인 5.5%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3분기까지 누적 성장률은 3.0%인데 이런 추세라면 코로나 19 팬데믹 첫 해인 2020년을 제외하면 개혁개방 이후 40여 년 만에 최저 성장이 예상됩니다.
개혁과 친시장주의자로 분류되는 인사들이 이번 시진핑 3기 새 지도부에 포함되지 못했습니다.
내년에도 중국 경제를 낙관할 수 없는 요인 가운데 하납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민성입니다.
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노경일/자료조사:이지은
중국 정부가 시진핑 주석의 3연임이 결정된 당 대회가 끝나자마자 연기됐던 3분기 경제 성장률을 기습 발표했습니다.
2분기 성장률보다 높아졌지만 최근 2년 사이 2번째로 낮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코로나가 발생한 첫 해인 2020년을 제외하고 40년 만에 최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측됩니다.
베이징 김민성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시진핑 주석의 3연임이 결정되는 당 대회 이틀째 열린 기자회견.
올 여름 가뭄과 전력난, 코로나 19 봉쇄가 있었지만 3분기 경제를 낙관했습니다.
[자오천신/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부주임 : "3분기 경제는 현저히 반등하고 전 세계적으로 중국 경제의 실적도 여전히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예정됐던 3분기 경제 성장률 발표는 무기 연기됐는데 시 주석 3연임 결정 하루만인 오늘 예고 없이 발표됐습니다.
3분기 성장률은 3.9%, 상하이 봉쇄가 있었던 2분기를 제외하면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내수경기 가늠자라 할 수 있는 소매 판매도 큰 폭으로 떨어졌고 수출도 두 달 연속 부진을 면치 못했습니다.
새 지도부 구성을 앞두고 3분기의 나쁜 성적표 발표를 미룬 게 아니냐는 분석입니다.
봉쇄 일변도인 '제로 코로나' 정책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지만 중국은 여전히 방역 정책을 바꿀 의사가 없어 보입니다.
[쑨예리/중공 중앙선전부 부부장/지난 15일 : "우리의 방역전력과 조치는 점점 더 과학적이고, 정밀하며, 효과적일 것입니다."]
세계 주요기관들은 중국의 올해 성장률을 3% 내외로 예측해 중국 목표치인 5.5%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3분기까지 누적 성장률은 3.0%인데 이런 추세라면 코로나 19 팬데믹 첫 해인 2020년을 제외하면 개혁개방 이후 40여 년 만에 최저 성장이 예상됩니다.
개혁과 친시장주의자로 분류되는 인사들이 이번 시진핑 3기 새 지도부에 포함되지 못했습니다.
내년에도 중국 경제를 낙관할 수 없는 요인 가운데 하납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민성입니다.
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노경일/자료조사:이지은
-
-
김민성 기자 kims@kbs.co.kr
김민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