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 이용자, 대부 기간 늘고 액수 커져
입력 2022.11.06 (10:38)
수정 2022.11.06 (10: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부업 이용자들의 평균 대부 기간이 길어지고 액수도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융감독원 등이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평균 대부액은 508만 2천 원, 평균 대부 기간은 43.3개월이었습니다.
평균 대부액의 경우 2017년 454만 2천 원에서 2018년 485만 5천 원, 2019년 461만 3천 원, 2020년 472만 4천 원이었고 지난해 522만 7천 원으로 500만 원대를 넘더니 올해 상반기는 653만 원으로 600만 원을 넘어섰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올해 상반기에 50대의 평균 대부액이 771만 1천 원으로 최다였고 40대(757만 4천 원), 30대(707만 원), 60대(653만 원), 20대(564만 9천 원) 순이었습니다.
평균 대부 기간 또한 2017년 44.7개월, 2018년 45.4개월로 정점을 찍었다가 2019년 41.9개월, 2020년 41.4개월로 낮아졌지만, 지난해 42.1개월, 올해 상반기 44.3개월로 증가 추세로 돌아섰습니다.
평균 대부 기간은 40대가 49.1개월로 가장 길었고 50대(48.3개월), 30대(47.8개월)가 뒤를 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처럼 급전이 필요한 서민의 대부업 이용 속에 2016년부터 올해 8월까지 금감원에 등록된 535개 대부업체에 접수된 총 민원은 1만 6천98건이었습니다.
금융감독원 등이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평균 대부액은 508만 2천 원, 평균 대부 기간은 43.3개월이었습니다.
평균 대부액의 경우 2017년 454만 2천 원에서 2018년 485만 5천 원, 2019년 461만 3천 원, 2020년 472만 4천 원이었고 지난해 522만 7천 원으로 500만 원대를 넘더니 올해 상반기는 653만 원으로 600만 원을 넘어섰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올해 상반기에 50대의 평균 대부액이 771만 1천 원으로 최다였고 40대(757만 4천 원), 30대(707만 원), 60대(653만 원), 20대(564만 9천 원) 순이었습니다.
평균 대부 기간 또한 2017년 44.7개월, 2018년 45.4개월로 정점을 찍었다가 2019년 41.9개월, 2020년 41.4개월로 낮아졌지만, 지난해 42.1개월, 올해 상반기 44.3개월로 증가 추세로 돌아섰습니다.
평균 대부 기간은 40대가 49.1개월로 가장 길었고 50대(48.3개월), 30대(47.8개월)가 뒤를 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처럼 급전이 필요한 서민의 대부업 이용 속에 2016년부터 올해 8월까지 금감원에 등록된 535개 대부업체에 접수된 총 민원은 1만 6천98건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부업 이용자, 대부 기간 늘고 액수 커져
-
- 입력 2022-11-06 10:38:04
- 수정2022-11-06 10:39:05

대부업 이용자들의 평균 대부 기간이 길어지고 액수도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융감독원 등이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평균 대부액은 508만 2천 원, 평균 대부 기간은 43.3개월이었습니다.
평균 대부액의 경우 2017년 454만 2천 원에서 2018년 485만 5천 원, 2019년 461만 3천 원, 2020년 472만 4천 원이었고 지난해 522만 7천 원으로 500만 원대를 넘더니 올해 상반기는 653만 원으로 600만 원을 넘어섰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올해 상반기에 50대의 평균 대부액이 771만 1천 원으로 최다였고 40대(757만 4천 원), 30대(707만 원), 60대(653만 원), 20대(564만 9천 원) 순이었습니다.
평균 대부 기간 또한 2017년 44.7개월, 2018년 45.4개월로 정점을 찍었다가 2019년 41.9개월, 2020년 41.4개월로 낮아졌지만, 지난해 42.1개월, 올해 상반기 44.3개월로 증가 추세로 돌아섰습니다.
평균 대부 기간은 40대가 49.1개월로 가장 길었고 50대(48.3개월), 30대(47.8개월)가 뒤를 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처럼 급전이 필요한 서민의 대부업 이용 속에 2016년부터 올해 8월까지 금감원에 등록된 535개 대부업체에 접수된 총 민원은 1만 6천98건이었습니다.
금융감독원 등이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평균 대부액은 508만 2천 원, 평균 대부 기간은 43.3개월이었습니다.
평균 대부액의 경우 2017년 454만 2천 원에서 2018년 485만 5천 원, 2019년 461만 3천 원, 2020년 472만 4천 원이었고 지난해 522만 7천 원으로 500만 원대를 넘더니 올해 상반기는 653만 원으로 600만 원을 넘어섰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올해 상반기에 50대의 평균 대부액이 771만 1천 원으로 최다였고 40대(757만 4천 원), 30대(707만 원), 60대(653만 원), 20대(564만 9천 원) 순이었습니다.
평균 대부 기간 또한 2017년 44.7개월, 2018년 45.4개월로 정점을 찍었다가 2019년 41.9개월, 2020년 41.4개월로 낮아졌지만, 지난해 42.1개월, 올해 상반기 44.3개월로 증가 추세로 돌아섰습니다.
평균 대부 기간은 40대가 49.1개월로 가장 길었고 50대(48.3개월), 30대(47.8개월)가 뒤를 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처럼 급전이 필요한 서민의 대부업 이용 속에 2016년부터 올해 8월까지 금감원에 등록된 535개 대부업체에 접수된 총 민원은 1만 6천98건이었습니다.
-
-
박일중 기자 baikal@kbs.co.kr
박일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