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 제한 아니라고요?…‘전용기 배제’ 논란 따져보니

입력 2022.11.10 (13:31) 수정 2022.11.10 (13: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해외순방 출발 이틀 전날 밤, 대통령실이 MBC에 '대통령 전용기' 탑승을 불허한다고 통보했습니다.대통령실은 "대통령 전용기 탑승은 외교·안보 이슈와 관련해 취재 편의를 제공해 오던 것"이라며 "최근 MBC의 외교 관련 왜곡·편파 보도가 반복되어 온 점을 고려해 취재 편의를 제공하지 않기로 했다"고 이유를 밝혔습니다.

MBC는 "이번 조치는 언론의 취재를 명백히 제약하는 행위"라고 반발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당선인 시절 대변인을 지낸 국민의힘 배현진 의원은 이에 대해 "취재 자체를 불허한 것이 아니고 전용기 탑승만 제공하지 않겠다는 것이니, 순방 취재에 큰 어려움은 없으리라 생각한다"며 "(대통령 전용기 탑승은) 취재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지, 언론사 타이틀 달았다고 받는 당연한 좌석은 아닌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 '순방 취재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대통령실의 통보는 윤석열 대통령의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G20 정상회의' 순방 출발 30여 시간을 앞둔, 9일 밤 9시쯤 이뤄졌습니다.

대통령 전용기를 탑승하지 못하는 취재진은, 순방 동행 취재를 포기하지 않는 이상 민항기를 예매해야 합니다.

이번 윤 대통령 해외 순방은 '인천→캄보디아 프놈펜', '프놈펜→인도네시아 발리', '발리→인천' 세 번의 여정을 거칩니다. 취재진 4명(취재기자 2명, 영상기자 2명)의 민항기 좌석을, 그것도 세 번의 여정 모두를 순방 일정에 맞춰서, 사실상 하루도 안 되는 시간 안에 구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진 것입니다.

캄보디아 프놈펜은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인기 있는 관광지는 아니어서, 민항기 편이 많지 않습니다. 프놈펜에서 인도네시아 발리로 이동하는 비행편은 직항이 없습니다. 경유를 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됩니다.

게다가 현재 확정된 이번 다자회의 계기 한미일 정상회담은, 13일 오후 프놈펜에서 열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윤 대통령은 13일 저녁 프놈펜을 떠나 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인도네시아 발리로 이동할 예정입니다. 14일부터는 '경제 외교' 일정이 연이어 계획돼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민항기를 탑승하는 취재진은 13일 한미일 정상회담 취재를 포기하고 일찌감치 발리로 향하거나, 한미일 정상회담 취재를 마친 뒤 14일 '경제 외교' 일정 취재를 일부 포기해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미일 정상회담은 최근 도발 수위를 높이는 북한 대응 문제가 주요 의제로, 이번 순방 여러 일정 가운데 상당한 의미를 지니는 일정입니다.

이런 사정을 감안해보면, '취재 자체를 불허한 것은 아니니, 순방 취재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는 말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 '전용기 탑승은 취재 편의 제공'이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 등을 비롯한 대부분 나라의 경우 대통령 정상 외교에 동행하는 취재진은 전용기에 함께 탑승합니다.

대통령은 전용기에서 취재진과 대화를 나누거나 기내 간담회를 열기도 하고, 참모들은 순방이나 현안 관련 입장을 밝히기도 합니다. 해외 순방 때의 전용기는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니라, 취재의 장이고 국민들에게 입장을 밝히는 '공적인 장소'인 것입니다.

대통령 전용기에 탑승하는 취재진은 민항기 기준에 맞춰 탑승 비용도 지불합니다. 대통령실이 '공짜'로 편의를 제공하는 게 아닙니다. 이번에도 취재진 한 사람당 내는 순방 동행 취재 비용의 1/4 가량은 항공기(전용기) 이용료입니다.

또 대통령 전용기는 국민 세금으로 운용되고, '대통령 비서실' 소유가 아닙니다. 전용기 탑승을, 소유주가 시혜나 특혜를 베풀듯 표현하는 건 사실과 다른 오해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대통령실 기자단은 대통령실의 이번 조치에 총회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기자단 차원에서 공동 대응해야 한다는 데 다수의 동의가 있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재 제한 아니라고요?…‘전용기 배제’ 논란 따져보니
    • 입력 2022-11-10 13:31:21
    • 수정2022-11-10 13:38:56
    취재K

윤석열 대통령의 해외순방 출발 이틀 전날 밤, 대통령실이 MBC에 '대통령 전용기' 탑승을 불허한다고 통보했습니다.대통령실은 "대통령 전용기 탑승은 외교·안보 이슈와 관련해 취재 편의를 제공해 오던 것"이라며 "최근 MBC의 외교 관련 왜곡·편파 보도가 반복되어 온 점을 고려해 취재 편의를 제공하지 않기로 했다"고 이유를 밝혔습니다.

MBC는 "이번 조치는 언론의 취재를 명백히 제약하는 행위"라고 반발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당선인 시절 대변인을 지낸 국민의힘 배현진 의원은 이에 대해 "취재 자체를 불허한 것이 아니고 전용기 탑승만 제공하지 않겠다는 것이니, 순방 취재에 큰 어려움은 없으리라 생각한다"며 "(대통령 전용기 탑승은) 취재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지, 언론사 타이틀 달았다고 받는 당연한 좌석은 아닌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 '순방 취재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대통령실의 통보는 윤석열 대통령의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G20 정상회의' 순방 출발 30여 시간을 앞둔, 9일 밤 9시쯤 이뤄졌습니다.

대통령 전용기를 탑승하지 못하는 취재진은, 순방 동행 취재를 포기하지 않는 이상 민항기를 예매해야 합니다.

이번 윤 대통령 해외 순방은 '인천→캄보디아 프놈펜', '프놈펜→인도네시아 발리', '발리→인천' 세 번의 여정을 거칩니다. 취재진 4명(취재기자 2명, 영상기자 2명)의 민항기 좌석을, 그것도 세 번의 여정 모두를 순방 일정에 맞춰서, 사실상 하루도 안 되는 시간 안에 구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진 것입니다.

캄보디아 프놈펜은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인기 있는 관광지는 아니어서, 민항기 편이 많지 않습니다. 프놈펜에서 인도네시아 발리로 이동하는 비행편은 직항이 없습니다. 경유를 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됩니다.

게다가 현재 확정된 이번 다자회의 계기 한미일 정상회담은, 13일 오후 프놈펜에서 열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윤 대통령은 13일 저녁 프놈펜을 떠나 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인도네시아 발리로 이동할 예정입니다. 14일부터는 '경제 외교' 일정이 연이어 계획돼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민항기를 탑승하는 취재진은 13일 한미일 정상회담 취재를 포기하고 일찌감치 발리로 향하거나, 한미일 정상회담 취재를 마친 뒤 14일 '경제 외교' 일정 취재를 일부 포기해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미일 정상회담은 최근 도발 수위를 높이는 북한 대응 문제가 주요 의제로, 이번 순방 여러 일정 가운데 상당한 의미를 지니는 일정입니다.

이런 사정을 감안해보면, '취재 자체를 불허한 것은 아니니, 순방 취재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는 말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 '전용기 탑승은 취재 편의 제공'이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 등을 비롯한 대부분 나라의 경우 대통령 정상 외교에 동행하는 취재진은 전용기에 함께 탑승합니다.

대통령은 전용기에서 취재진과 대화를 나누거나 기내 간담회를 열기도 하고, 참모들은 순방이나 현안 관련 입장을 밝히기도 합니다. 해외 순방 때의 전용기는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니라, 취재의 장이고 국민들에게 입장을 밝히는 '공적인 장소'인 것입니다.

대통령 전용기에 탑승하는 취재진은 민항기 기준에 맞춰 탑승 비용도 지불합니다. 대통령실이 '공짜'로 편의를 제공하는 게 아닙니다. 이번에도 취재진 한 사람당 내는 순방 동행 취재 비용의 1/4 가량은 항공기(전용기) 이용료입니다.

또 대통령 전용기는 국민 세금으로 운용되고, '대통령 비서실' 소유가 아닙니다. 전용기 탑승을, 소유주가 시혜나 특혜를 베풀듯 표현하는 건 사실과 다른 오해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대통령실 기자단은 대통령실의 이번 조치에 총회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기자단 차원에서 공동 대응해야 한다는 데 다수의 동의가 있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