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물가 7.7%↑ 9개월 만에 최소 상승폭…뉴욕증시 폭등

입력 2022.11.11 (06:20) 수정 2022.11.11 (07: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7.7% 올랐습니다.

9개월 만에 최소 상승폭인데다가 전문가 예상치도 밑돌았습니다.

연방준비제도가 금리인상폭 조절에 들어갈 거란 기대감이 커지면서 뉴욕증시 주요지수는 폭등 마감했습니다.

뉴욕 한보경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전보다 7.7% 상승했습니다.

지난 1월 이후 9개월 만에 최소 상승폭인데다가 넉달째 상승폭 둔화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전문기관 전망치 7.9%를 밑돌았는데, 전문가들의 예상보다 물가 상승 속도가 둔화되고 있다는 얘깁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뺀 근원소비자물가지수 역시 9월에 비해 상승폭을 줄였습니다.

이제 관심은 연방준비제도가 다음달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폭을 어느 정도로 조절할지에 쏠리고 있습니다.

일단은 파월 연준 의장이 지난주에 이미 다음달에 금리 인상 속도조절에 들어갈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어 0.5%p로 금리 인상폭이 줄 가능성이 큰 상황입니다.

다만 최근 하락세였던 휘발유값이 다시 오름세로 전환한데다가 30여 년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하고 있는 주거비는 계속해서 물가를 자극하고 있어, 연준이 7%대로 내려간 물가상승률을 물가가 잡히고 있다는 신호로 얼마나 비중있게 해석할지는 장담하기가 어렵습니다.

[로드 본 립시/UBS 자산관리 전무이사 : "소비자물가지수가 편안한 수치는 아닙니다. 여전히 인플레이션은 과열돼 있지만, 현 시점에서 연준의 속도조절 가능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는 나쁘지는 않습니다."]

연준이 속도조절에 들어갈 거란 기대감이 커지면서, 뉴욕증시 주요지수는 큰 폭으로 상승 마감했습니다.

다우존스 지수는 4% 가까이 올랐고, 스탠더드앤푸어스500 지수는 5.5%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습니다.

나스닥지수는 특히 7% 넘게 폭등하며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달러값도 주춤하면서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지수는 현지시각 10일 오후 기준 108대로 하루전에 비해 2% 가량이 떨어졌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한보경입니다.

영상편집:사명환/자료조사:김나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물가 7.7%↑ 9개월 만에 최소 상승폭…뉴욕증시 폭등
    • 입력 2022-11-11 06:20:09
    • 수정2022-11-11 07:52:15
    뉴스광장 1부
[앵커]

미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7.7% 올랐습니다.

9개월 만에 최소 상승폭인데다가 전문가 예상치도 밑돌았습니다.

연방준비제도가 금리인상폭 조절에 들어갈 거란 기대감이 커지면서 뉴욕증시 주요지수는 폭등 마감했습니다.

뉴욕 한보경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전보다 7.7% 상승했습니다.

지난 1월 이후 9개월 만에 최소 상승폭인데다가 넉달째 상승폭 둔화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전문기관 전망치 7.9%를 밑돌았는데, 전문가들의 예상보다 물가 상승 속도가 둔화되고 있다는 얘깁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뺀 근원소비자물가지수 역시 9월에 비해 상승폭을 줄였습니다.

이제 관심은 연방준비제도가 다음달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폭을 어느 정도로 조절할지에 쏠리고 있습니다.

일단은 파월 연준 의장이 지난주에 이미 다음달에 금리 인상 속도조절에 들어갈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어 0.5%p로 금리 인상폭이 줄 가능성이 큰 상황입니다.

다만 최근 하락세였던 휘발유값이 다시 오름세로 전환한데다가 30여 년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하고 있는 주거비는 계속해서 물가를 자극하고 있어, 연준이 7%대로 내려간 물가상승률을 물가가 잡히고 있다는 신호로 얼마나 비중있게 해석할지는 장담하기가 어렵습니다.

[로드 본 립시/UBS 자산관리 전무이사 : "소비자물가지수가 편안한 수치는 아닙니다. 여전히 인플레이션은 과열돼 있지만, 현 시점에서 연준의 속도조절 가능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는 나쁘지는 않습니다."]

연준이 속도조절에 들어갈 거란 기대감이 커지면서, 뉴욕증시 주요지수는 큰 폭으로 상승 마감했습니다.

다우존스 지수는 4% 가까이 올랐고, 스탠더드앤푸어스500 지수는 5.5%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습니다.

나스닥지수는 특히 7% 넘게 폭등하며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달러값도 주춤하면서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지수는 현지시각 10일 오후 기준 108대로 하루전에 비해 2% 가량이 떨어졌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한보경입니다.

영상편집:사명환/자료조사:김나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