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성범죄 피해” 지원 기관-방심위 24시간 핫라인 구축
입력 2022.11.21 (17:32)
수정 2022.11.21 (17: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는 전국 17개 디지털 성범죄 피해지원 기관·단체와 ‘24/7 피해접수 핫라인’을 연다고 밝혔습니다.
핫라인은 방심위가 하루 24시간, 주 7일 내내 피해 지원 기관·단체와 소통할 수 있는 연락 창구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가 17개 기관이나 단체 가운데 한 곳에 피해 정보를 신고하면 해당 정보는 ‘골든타임’인 24시간 안에 방심위에 전달, 접수됩니다.
방심위는 이들 기관·단체에 접수된 피해 사례를 전달받자마자 피해 정보를 빠르게 삭제 또는 차단하는 절차에 착수하는 한편 피해 구제를 위해 이들 기관과 긴밀히 협력할 방침입니다.
핫라인에 참여하는 기관·단체는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서울시 디지털성범죄안심지원센터, 십대여성인권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 부산센터, 부산여성지원센터 꿈아리, 부산광역시 여성폭력방지종합지원센터 이젠센터, 대구여성의전화 부설 여성인권상담소 피어라, 인천 디지털성범죄예방대응센터, 광주여성민우회 성폭력상담소, 대전여민회 부설 성폭력상담소 다힘, 경기도 디지털성범죄피해자원스톱지원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 충남센터, 충북여성인권 부설 상담소 늘봄, 성폭력예방치료센터 부설 전주성폭력상담소, 포항여성회 부설 경북여성통합항담소, 여성긴급전화 166 경남센터, 제주YWCA 디지털성범죄상담소입니다.
피해자는 이들 기관에 피해를 접수할 수 있으며, 방심위도 1377 전화를 통해 24시간, 연중 무휴로 피해 접수를 받고 있습니다.
방심위는 “피해자들이 체계적인 피해 구제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다”며“ ”향후 디지털 성범죄 원스톱 신고 ARS 구축 사업 등을 통해 더욱 발전시켜나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제공]
핫라인은 방심위가 하루 24시간, 주 7일 내내 피해 지원 기관·단체와 소통할 수 있는 연락 창구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가 17개 기관이나 단체 가운데 한 곳에 피해 정보를 신고하면 해당 정보는 ‘골든타임’인 24시간 안에 방심위에 전달, 접수됩니다.
방심위는 이들 기관·단체에 접수된 피해 사례를 전달받자마자 피해 정보를 빠르게 삭제 또는 차단하는 절차에 착수하는 한편 피해 구제를 위해 이들 기관과 긴밀히 협력할 방침입니다.
핫라인에 참여하는 기관·단체는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서울시 디지털성범죄안심지원센터, 십대여성인권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 부산센터, 부산여성지원센터 꿈아리, 부산광역시 여성폭력방지종합지원센터 이젠센터, 대구여성의전화 부설 여성인권상담소 피어라, 인천 디지털성범죄예방대응센터, 광주여성민우회 성폭력상담소, 대전여민회 부설 성폭력상담소 다힘, 경기도 디지털성범죄피해자원스톱지원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 충남센터, 충북여성인권 부설 상담소 늘봄, 성폭력예방치료센터 부설 전주성폭력상담소, 포항여성회 부설 경북여성통합항담소, 여성긴급전화 166 경남센터, 제주YWCA 디지털성범죄상담소입니다.
피해자는 이들 기관에 피해를 접수할 수 있으며, 방심위도 1377 전화를 통해 24시간, 연중 무휴로 피해 접수를 받고 있습니다.
방심위는 “피해자들이 체계적인 피해 구제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다”며“ ”향후 디지털 성범죄 원스톱 신고 ARS 구축 사업 등을 통해 더욱 발전시켜나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디지털 성범죄 피해” 지원 기관-방심위 24시간 핫라인 구축
-
- 입력 2022-11-21 17:32:25
- 수정2022-11-21 17:49:18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는 전국 17개 디지털 성범죄 피해지원 기관·단체와 ‘24/7 피해접수 핫라인’을 연다고 밝혔습니다.
핫라인은 방심위가 하루 24시간, 주 7일 내내 피해 지원 기관·단체와 소통할 수 있는 연락 창구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가 17개 기관이나 단체 가운데 한 곳에 피해 정보를 신고하면 해당 정보는 ‘골든타임’인 24시간 안에 방심위에 전달, 접수됩니다.
방심위는 이들 기관·단체에 접수된 피해 사례를 전달받자마자 피해 정보를 빠르게 삭제 또는 차단하는 절차에 착수하는 한편 피해 구제를 위해 이들 기관과 긴밀히 협력할 방침입니다.
핫라인에 참여하는 기관·단체는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서울시 디지털성범죄안심지원센터, 십대여성인권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 부산센터, 부산여성지원센터 꿈아리, 부산광역시 여성폭력방지종합지원센터 이젠센터, 대구여성의전화 부설 여성인권상담소 피어라, 인천 디지털성범죄예방대응센터, 광주여성민우회 성폭력상담소, 대전여민회 부설 성폭력상담소 다힘, 경기도 디지털성범죄피해자원스톱지원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 충남센터, 충북여성인권 부설 상담소 늘봄, 성폭력예방치료센터 부설 전주성폭력상담소, 포항여성회 부설 경북여성통합항담소, 여성긴급전화 166 경남센터, 제주YWCA 디지털성범죄상담소입니다.
피해자는 이들 기관에 피해를 접수할 수 있으며, 방심위도 1377 전화를 통해 24시간, 연중 무휴로 피해 접수를 받고 있습니다.
방심위는 “피해자들이 체계적인 피해 구제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다”며“ ”향후 디지털 성범죄 원스톱 신고 ARS 구축 사업 등을 통해 더욱 발전시켜나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제공]
핫라인은 방심위가 하루 24시간, 주 7일 내내 피해 지원 기관·단체와 소통할 수 있는 연락 창구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가 17개 기관이나 단체 가운데 한 곳에 피해 정보를 신고하면 해당 정보는 ‘골든타임’인 24시간 안에 방심위에 전달, 접수됩니다.
방심위는 이들 기관·단체에 접수된 피해 사례를 전달받자마자 피해 정보를 빠르게 삭제 또는 차단하는 절차에 착수하는 한편 피해 구제를 위해 이들 기관과 긴밀히 협력할 방침입니다.
핫라인에 참여하는 기관·단체는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서울시 디지털성범죄안심지원센터, 십대여성인권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 부산센터, 부산여성지원센터 꿈아리, 부산광역시 여성폭력방지종합지원센터 이젠센터, 대구여성의전화 부설 여성인권상담소 피어라, 인천 디지털성범죄예방대응센터, 광주여성민우회 성폭력상담소, 대전여민회 부설 성폭력상담소 다힘, 경기도 디지털성범죄피해자원스톱지원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 충남센터, 충북여성인권 부설 상담소 늘봄, 성폭력예방치료센터 부설 전주성폭력상담소, 포항여성회 부설 경북여성통합항담소, 여성긴급전화 166 경남센터, 제주YWCA 디지털성범죄상담소입니다.
피해자는 이들 기관에 피해를 접수할 수 있으며, 방심위도 1377 전화를 통해 24시간, 연중 무휴로 피해 접수를 받고 있습니다.
방심위는 “피해자들이 체계적인 피해 구제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다”며“ ”향후 디지털 성범죄 원스톱 신고 ARS 구축 사업 등을 통해 더욱 발전시켜나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제공]
-
-
지형철 기자 ican@kbs.co.kr
지형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