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K] 서귀포 바다에 국내 미기록 어종 수두룩

입력 2022.11.22 (21:36) 수정 2022.11.23 (10: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기후위기 현장을 조명하는 기획뉴스 두 번째 순서입니다.

제주 바다가 뜨거워지면서 예전에는 볼 수 없던 아열대 어종이 계속 출현하고 있습니다.

서귀포 섶섬 인근에서만 1년 반 동안 30여 종의 국내 미기록종이 발견됐습니다.

문준영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귀포시 섶섬 앞바다, 어둠이 깔리자 민간잠수사들이 하나둘 모이기 시작합니다.

제주의 물고기를 관찰하고 기록하는 '물고기반'회원들입니다.

한 달에 한 번씩 진행하는 야간 탐사.

잠수사들이 조명을 하나둘 비추자 눈에 띄지 않았던 화려한 세계가 펼쳐집니다.

일반 성게와는 다르게 길고 풍성한 가시가 특징인 긴침얼룩성게부터, 산호 못지 않은 화려한 색깔을 뽐내는 주홍감펭 긴 주둥이가 특징인 청대치까지 제주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어종이 밤바다를 누빕니다.

멸치를 잡아먹는 쑥감펭도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이곳 섶섬 작은한개창에서 1년 반 동안 관찰된 물고기는 120여 종.

이 가운데 국내 미기록 어종만 30여 종, 4분의 1에 이릅니다.

빗살아씨놀래기, 검은눈띄망둑, 큰씬벵이도 최근에야 공식적인 한국 이름을 얻은 미기록 어종입니다.

[김병직/박사/국립생물자원관 : "호주에서부터 인도네시아, 필리핀 또는 대만, 오키나와 일본에서도 남일본 쪽에 분포를 하는 종이었는데요. 아마 우리나라의 해수온이 올라가면서 쿠로시오에서 나뉘어온 쓰시마 해류를 타고 우리나라에 올라오지 않았을까. 가장 수온이 낮은 3~4월에 15도를 넘고 있거든요. 이미 제주 바다는 아열대성 일부 종들이 살아갈 수 있는 수온 환경은 갖춰졌다."]

국립수산과학원이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통발과 그물로 제주 연안의 물고기를 잡아 분석한 결과, 42%가 아열대 종으로 나타났습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부터 제주 바다는 어느 때보다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촬영기자:양경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K] 서귀포 바다에 국내 미기록 어종 수두룩
    • 입력 2022-11-22 21:36:28
    • 수정2022-11-23 10:34:44
    뉴스9(제주)
[앵커]

기후위기 현장을 조명하는 기획뉴스 두 번째 순서입니다.

제주 바다가 뜨거워지면서 예전에는 볼 수 없던 아열대 어종이 계속 출현하고 있습니다.

서귀포 섶섬 인근에서만 1년 반 동안 30여 종의 국내 미기록종이 발견됐습니다.

문준영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귀포시 섶섬 앞바다, 어둠이 깔리자 민간잠수사들이 하나둘 모이기 시작합니다.

제주의 물고기를 관찰하고 기록하는 '물고기반'회원들입니다.

한 달에 한 번씩 진행하는 야간 탐사.

잠수사들이 조명을 하나둘 비추자 눈에 띄지 않았던 화려한 세계가 펼쳐집니다.

일반 성게와는 다르게 길고 풍성한 가시가 특징인 긴침얼룩성게부터, 산호 못지 않은 화려한 색깔을 뽐내는 주홍감펭 긴 주둥이가 특징인 청대치까지 제주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어종이 밤바다를 누빕니다.

멸치를 잡아먹는 쑥감펭도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이곳 섶섬 작은한개창에서 1년 반 동안 관찰된 물고기는 120여 종.

이 가운데 국내 미기록 어종만 30여 종, 4분의 1에 이릅니다.

빗살아씨놀래기, 검은눈띄망둑, 큰씬벵이도 최근에야 공식적인 한국 이름을 얻은 미기록 어종입니다.

[김병직/박사/국립생물자원관 : "호주에서부터 인도네시아, 필리핀 또는 대만, 오키나와 일본에서도 남일본 쪽에 분포를 하는 종이었는데요. 아마 우리나라의 해수온이 올라가면서 쿠로시오에서 나뉘어온 쓰시마 해류를 타고 우리나라에 올라오지 않았을까. 가장 수온이 낮은 3~4월에 15도를 넘고 있거든요. 이미 제주 바다는 아열대성 일부 종들이 살아갈 수 있는 수온 환경은 갖춰졌다."]

국립수산과학원이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통발과 그물로 제주 연안의 물고기를 잡아 분석한 결과, 42%가 아열대 종으로 나타났습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부터 제주 바다는 어느 때보다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촬영기자:양경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패럴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