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최초 국립묘지 ‘국립호국원’, 횡성 건립 확정

입력 2022.12.01 (21:48) 수정 2022.12.01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강원도에 살던 국가유공자나 참전용사들은 그동안 평생을 강원도에서 보내고도 죽어서는 고향에 묻히지 못하고, 다른 시도로 떠나가야 했습니다.

하지만, 2028년부턴 달라질 전망입니다.

횡성에 강원도 최초의 국립묘지가 조성되기 때문입니다.

고순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횡성 출신의 베트남전쟁 참전용사 고석용 씨.

1960년대 말 포탄과 총알이 날아다니던 전쟁터에서 열 넉 달을 보냈습니다.

어느덧 팔순을 바라보는 나이.

남은 소원 하나는 국립묘지에 묻히는 겁니다.

[고석용/베트남전쟁 참전용사 : "사후에도 국가가 지켜준다 책임져준다 라고 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래서 호국원을 가기를 모든 참전용사들은 아주 소망을 하죠."]

강원도에 사는 국가유공자나 참전용사 가운데 매년 평균 900명 정도가 숨집니다.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들입니다.

하지만, 실제 국립묘지에 묻히는 경우는 3분의 1 정도에 그칩니다.

그것도 강원도에는 국립묘지가 없다보니 다른 지역으로 가야 합니다.

하지만, 이제는 달라질 전망입니다.

강원도에도 국립호국원이 들어서게 됐기 때문입니다.

장소는 횡성근 공근면.

납골묘 2만 기 규모로 조성됩니다.

횡성 국립호국원 예정집니다.

우리나라의 일곱번째 호국원이자 강원도의 첫 국립묘집니다.

내년부터 기본 설계에 들어가 2028년이면 완공될 예정입니다.

국비 433억 원이 투입됩니다.

국가보훈처와 강원도는 횡성호국원을 일반적인 묘원이 아니라 친환경 휴식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입니다.

[전혁찬/강원도 복지기획팀장 : "도내에 국립묘지가 없다 보니까 타지역, 괴산, 영천, 이천까지 멀리 가셔야 하는 장거리 원거리 불편함을 해소하게 하는 취지..."]

현재 강원도에 남아 있는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는 18,000명 정도.

비록 많이 늦긴 했지만, 조국을 위한 희생을 이제는 조금이나마 위로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KBS 뉴스 고순정입니다.

촬영기자:임강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원도 최초 국립묘지 ‘국립호국원’, 횡성 건립 확정
    • 입력 2022-12-01 21:48:26
    • 수정2022-12-01 22:04:28
    뉴스9(춘천)
[앵커]

강원도에 살던 국가유공자나 참전용사들은 그동안 평생을 강원도에서 보내고도 죽어서는 고향에 묻히지 못하고, 다른 시도로 떠나가야 했습니다.

하지만, 2028년부턴 달라질 전망입니다.

횡성에 강원도 최초의 국립묘지가 조성되기 때문입니다.

고순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횡성 출신의 베트남전쟁 참전용사 고석용 씨.

1960년대 말 포탄과 총알이 날아다니던 전쟁터에서 열 넉 달을 보냈습니다.

어느덧 팔순을 바라보는 나이.

남은 소원 하나는 국립묘지에 묻히는 겁니다.

[고석용/베트남전쟁 참전용사 : "사후에도 국가가 지켜준다 책임져준다 라고 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래서 호국원을 가기를 모든 참전용사들은 아주 소망을 하죠."]

강원도에 사는 국가유공자나 참전용사 가운데 매년 평균 900명 정도가 숨집니다.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들입니다.

하지만, 실제 국립묘지에 묻히는 경우는 3분의 1 정도에 그칩니다.

그것도 강원도에는 국립묘지가 없다보니 다른 지역으로 가야 합니다.

하지만, 이제는 달라질 전망입니다.

강원도에도 국립호국원이 들어서게 됐기 때문입니다.

장소는 횡성근 공근면.

납골묘 2만 기 규모로 조성됩니다.

횡성 국립호국원 예정집니다.

우리나라의 일곱번째 호국원이자 강원도의 첫 국립묘집니다.

내년부터 기본 설계에 들어가 2028년이면 완공될 예정입니다.

국비 433억 원이 투입됩니다.

국가보훈처와 강원도는 횡성호국원을 일반적인 묘원이 아니라 친환경 휴식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입니다.

[전혁찬/강원도 복지기획팀장 : "도내에 국립묘지가 없다 보니까 타지역, 괴산, 영천, 이천까지 멀리 가셔야 하는 장거리 원거리 불편함을 해소하게 하는 취지..."]

현재 강원도에 남아 있는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는 18,000명 정도.

비록 많이 늦긴 했지만, 조국을 위한 희생을 이제는 조금이나마 위로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KBS 뉴스 고순정입니다.

촬영기자:임강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춘천-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