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뉴스in뉴스] 금투세 막판 협상…2년 유예 vs 내년 시행
입력 2022.12.06 (12:41) 수정 2022.12.06 (13:04) 뉴스 12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금융투자자들의 관심이 요즘 국회에 모아지고 있습니다.

금융투자소득세를 놓고 2년 유예될지 당장 내년 시행될 지 여야 막판 협상이 한창이기 때문인데요.

어려운 금융시장을 고려해 2년 유예를 주장하는 정부,여당에 맞서 야당은 '부자감세'는 막아야한다며 세부 내용에서 이견이 여전합니다.

오늘은 정창준 해설위원과 함께 이 문제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금융투자소득세제가 흘러온 과정부터 정리해주시죠.

[앵커]

그럼 그동안 찬반논란을 정리해볼까요.

소득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는 것은 조세의 기본원칙일텐데 금투세를 늦춰선 안된다는 측의 주장은 무엇입니까?

[앵커]

정부,여당쪽에서는 금투세 도입 유예를 주장해왔어요.

최근 금융시장의 영향이 크죠?

[앵커]

국회에서는 여전히 막판 기싸움이 팽팽해 보이는데 진전된 내용이 있습니까?

[앵커]

이견이 있다고 했는데 막판 핵심 쟁점은 무엇입니까?

[앵커]

이번주 본회의가 예고돼 있기는한데 처리 전망은 어떻습니까?
  • [뉴스in뉴스] 금투세 막판 협상…2년 유예 vs 내년 시행
    • 입력 2022-12-06 12:41:09
    • 수정2022-12-06 13:04:00
    뉴스 12
[앵커]

금융투자자들의 관심이 요즘 국회에 모아지고 있습니다.

금융투자소득세를 놓고 2년 유예될지 당장 내년 시행될 지 여야 막판 협상이 한창이기 때문인데요.

어려운 금융시장을 고려해 2년 유예를 주장하는 정부,여당에 맞서 야당은 '부자감세'는 막아야한다며 세부 내용에서 이견이 여전합니다.

오늘은 정창준 해설위원과 함께 이 문제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금융투자소득세제가 흘러온 과정부터 정리해주시죠.

[앵커]

그럼 그동안 찬반논란을 정리해볼까요.

소득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는 것은 조세의 기본원칙일텐데 금투세를 늦춰선 안된다는 측의 주장은 무엇입니까?

[앵커]

정부,여당쪽에서는 금투세 도입 유예를 주장해왔어요.

최근 금융시장의 영향이 크죠?

[앵커]

국회에서는 여전히 막판 기싸움이 팽팽해 보이는데 진전된 내용이 있습니까?

[앵커]

이견이 있다고 했는데 막판 핵심 쟁점은 무엇입니까?

[앵커]

이번주 본회의가 예고돼 있기는한데 처리 전망은 어떻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