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부모급여 지급…0세 아이 가정에 월 70만 원
입력 2022.12.13 (23:46)
수정 2022.12.13 (23: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갈수록 심화되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정부가 보육 정책을 개편하기로 했습니다.
내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시행할 계획을 발표했는데요.
먼저 현행 영아수당을 확대 개편해 '부모급여'를 지급합니다.
내년부턴 아이가 돌이 될 때까진 월 70만 원, 만 한 살이면 35만 원을 지급하고, 이 금액은 내후년인 2024년엔 각각 백만 원과 50만 원으로 올리기로 했습니다.
다만 어린이집 보육료와 중복 지원하진 않기로 해서 만 0살 아이가 어린이집을 이용한다면 보육료를 뺀 나머지 금액을 지급합니다.
보육 서비스도 확대하는데요.
아이 돌봄 서비스 대상과 시간을 늘리고 국공립 어린이집도 늘려서, 현재 37% 수준인 공공보육이용률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합계출산율이 0.7명대까지 떨어져 세계 최하위 수준인데 이번 대책으로 조금이나마 나아질 수 있을까요?
지금까지 앵커브리핑이었습니다.
내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시행할 계획을 발표했는데요.
먼저 현행 영아수당을 확대 개편해 '부모급여'를 지급합니다.
내년부턴 아이가 돌이 될 때까진 월 70만 원, 만 한 살이면 35만 원을 지급하고, 이 금액은 내후년인 2024년엔 각각 백만 원과 50만 원으로 올리기로 했습니다.
다만 어린이집 보육료와 중복 지원하진 않기로 해서 만 0살 아이가 어린이집을 이용한다면 보육료를 뺀 나머지 금액을 지급합니다.
보육 서비스도 확대하는데요.
아이 돌봄 서비스 대상과 시간을 늘리고 국공립 어린이집도 늘려서, 현재 37% 수준인 공공보육이용률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합계출산율이 0.7명대까지 떨어져 세계 최하위 수준인데 이번 대책으로 조금이나마 나아질 수 있을까요?
지금까지 앵커브리핑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내년부터 부모급여 지급…0세 아이 가정에 월 70만 원
-
- 입력 2022-12-13 23:46:38
- 수정2022-12-13 23:52:42

갈수록 심화되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정부가 보육 정책을 개편하기로 했습니다.
내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시행할 계획을 발표했는데요.
먼저 현행 영아수당을 확대 개편해 '부모급여'를 지급합니다.
내년부턴 아이가 돌이 될 때까진 월 70만 원, 만 한 살이면 35만 원을 지급하고, 이 금액은 내후년인 2024년엔 각각 백만 원과 50만 원으로 올리기로 했습니다.
다만 어린이집 보육료와 중복 지원하진 않기로 해서 만 0살 아이가 어린이집을 이용한다면 보육료를 뺀 나머지 금액을 지급합니다.
보육 서비스도 확대하는데요.
아이 돌봄 서비스 대상과 시간을 늘리고 국공립 어린이집도 늘려서, 현재 37% 수준인 공공보육이용률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합계출산율이 0.7명대까지 떨어져 세계 최하위 수준인데 이번 대책으로 조금이나마 나아질 수 있을까요?
지금까지 앵커브리핑이었습니다.
내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시행할 계획을 발표했는데요.
먼저 현행 영아수당을 확대 개편해 '부모급여'를 지급합니다.
내년부턴 아이가 돌이 될 때까진 월 70만 원, 만 한 살이면 35만 원을 지급하고, 이 금액은 내후년인 2024년엔 각각 백만 원과 50만 원으로 올리기로 했습니다.
다만 어린이집 보육료와 중복 지원하진 않기로 해서 만 0살 아이가 어린이집을 이용한다면 보육료를 뺀 나머지 금액을 지급합니다.
보육 서비스도 확대하는데요.
아이 돌봄 서비스 대상과 시간을 늘리고 국공립 어린이집도 늘려서, 현재 37% 수준인 공공보육이용률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합계출산율이 0.7명대까지 떨어져 세계 최하위 수준인데 이번 대책으로 조금이나마 나아질 수 있을까요?
지금까지 앵커브리핑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