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대신 옥수수·대장균으로 플라스틱 만든다

입력 2022.12.17 (21:29) 수정 2022.12.17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플라스틱 소재에도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습니다.

자연에서 잘 분해될 수 있도록 바이오 소재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건데요.

어떤 기술인지, 신지수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길쭉한 플라스틱이 쉴 새 없이 뽑아져 나옵니다.

국내 한 대기업이 대장균에서 추출해 만든 생분해성 플라스틱입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일정 조건에서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이른바 썩는 플라스틱입니다.

실제 바다에 11주 정도 넣어봤더니 절반 이상 분해됐습니다.

토양 뿐 아니라 바다에서 분해되는 플라스틱의 개발은 국내 최초입니다.

내구성 등 기존 플라스틱의 장점을 두루 갖췄다는 평가입니다.

[이은혜/CJ 제일제당 화이트바이오 그룹장 : "'사용될 때는 고객이 큰 차이점을 느끼지는 못하게 만들어주자'고 해서 여러가지 이제 배합 기술들을 저희가 또 개발을 합니다."]

이 업체는 옥수수 전분에서 플라스틱 소재를 추출하고 있습니다.

식물 기반 소재인만큼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섞으면 분해 속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장재수/삼양이노켐 생산PU 생산기술총괄 : "기존의 생분해 플라스틱에 이소소르비드를 첨가하게 되면 생분해 성능이 최대 20% 개선됨을 확인했습니다."]

친환경 바람을 타고 이같은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은 3년뒤 34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걸림돌은 있습니다.

국내에는 생분해 플라스틱을 수거하는 별도의 지침과 시설이 없습니다.

또 기업이 국제 인증을 받으려면 해외 기관에 의뢰해야 하는 점도 문제란 지적입니다.

[황성연/경희대 식품·환경신소재공학과 부교수 : "소비자들이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쓰시는데 나도 모르게 그걸 어쩔 수 없이 종량제 봉투에 집어넣어서 소각을 시키고 있는 상황이 돼서..."]

정부는 수거 시스템에 대한 시범사업을 진행하는 것과 함께 국내에서도 국제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신지수입니다.

촬영기자:최경원 조은경/영상편집:유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석유 대신 옥수수·대장균으로 플라스틱 만든다
    • 입력 2022-12-17 21:29:45
    • 수정2022-12-17 22:01:31
    뉴스 9
[앵커]

요즘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플라스틱 소재에도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습니다.

자연에서 잘 분해될 수 있도록 바이오 소재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건데요.

어떤 기술인지, 신지수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길쭉한 플라스틱이 쉴 새 없이 뽑아져 나옵니다.

국내 한 대기업이 대장균에서 추출해 만든 생분해성 플라스틱입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일정 조건에서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이른바 썩는 플라스틱입니다.

실제 바다에 11주 정도 넣어봤더니 절반 이상 분해됐습니다.

토양 뿐 아니라 바다에서 분해되는 플라스틱의 개발은 국내 최초입니다.

내구성 등 기존 플라스틱의 장점을 두루 갖췄다는 평가입니다.

[이은혜/CJ 제일제당 화이트바이오 그룹장 : "'사용될 때는 고객이 큰 차이점을 느끼지는 못하게 만들어주자'고 해서 여러가지 이제 배합 기술들을 저희가 또 개발을 합니다."]

이 업체는 옥수수 전분에서 플라스틱 소재를 추출하고 있습니다.

식물 기반 소재인만큼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섞으면 분해 속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장재수/삼양이노켐 생산PU 생산기술총괄 : "기존의 생분해 플라스틱에 이소소르비드를 첨가하게 되면 생분해 성능이 최대 20% 개선됨을 확인했습니다."]

친환경 바람을 타고 이같은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은 3년뒤 34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걸림돌은 있습니다.

국내에는 생분해 플라스틱을 수거하는 별도의 지침과 시설이 없습니다.

또 기업이 국제 인증을 받으려면 해외 기관에 의뢰해야 하는 점도 문제란 지적입니다.

[황성연/경희대 식품·환경신소재공학과 부교수 : "소비자들이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쓰시는데 나도 모르게 그걸 어쩔 수 없이 종량제 봉투에 집어넣어서 소각을 시키고 있는 상황이 돼서..."]

정부는 수거 시스템에 대한 시범사업을 진행하는 것과 함께 국내에서도 국제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신지수입니다.

촬영기자:최경원 조은경/영상편집:유지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