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보험료 지역·모델별 차등화 논란
입력 2004.05.20 (22:07)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자동차 보험률을 지역별, 차종별로 차이를 두겠다는 금융감독당국의 방침에 지방자치단체와 자동차 업계의 반발이 거셉니다.
양측의 주장을 김개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대전, 충남, 전남, 강원지역의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들이 자동차 보험료를 지역별로 차등화하겠다는 금융감독원의 방침을 반대하고 나섰습니다.
대형 교통사고가 많이 나는 것은 도로여건이 나쁘기 때문인데도 지역운전자들에게만 책임을 돌리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입니다.
⊙장세광(지역 차등화 반대 대책 위원회): 도로교통이 환경과 관련해서 사고와 관계가 있는데 그런 여건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지역차등화를 시행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봅니다.
⊙기자: 차종별로 보험료를 다르게 적용하겠다는 방침에 대해서는 자동차업계가 반대하고 있습니다.
안전도를 높이기 위해 좋은 부품을 사용해야 하는 만큼 자동차 가격이 오른다는 이유에서입니다.
⊙강철구(자동차공업협회 이사): 결국은 자동차 가격의 인상에 따라서 소비자부담만 가중되는 반면에 보험회사의 재정적 이익만 안겨주는 꼴이 된다고 봅니다.
⊙기자: 이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같은 급 차량이라도 수리비가 크게 차이가 날 경우 보험료에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또 보험금이 더 많이 들어가는 지역에는 그만큼 보험료를 비싸게 매겨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정준택(금융감독원 특수보험팀장): 손해율이 높은 이유는 운전자의 교통법규준수 의식이라든지 그 다음에 운전자의 운전행태 이런 것에 따라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자: 금감원은 일단 여론을 더 들어보고 보험료 차등화 추진 여부를 최종 결정할 방침입니다.
KBS뉴스 김개형입니다.
양측의 주장을 김개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대전, 충남, 전남, 강원지역의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들이 자동차 보험료를 지역별로 차등화하겠다는 금융감독원의 방침을 반대하고 나섰습니다.
대형 교통사고가 많이 나는 것은 도로여건이 나쁘기 때문인데도 지역운전자들에게만 책임을 돌리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입니다.
⊙장세광(지역 차등화 반대 대책 위원회): 도로교통이 환경과 관련해서 사고와 관계가 있는데 그런 여건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지역차등화를 시행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봅니다.
⊙기자: 차종별로 보험료를 다르게 적용하겠다는 방침에 대해서는 자동차업계가 반대하고 있습니다.
안전도를 높이기 위해 좋은 부품을 사용해야 하는 만큼 자동차 가격이 오른다는 이유에서입니다.
⊙강철구(자동차공업협회 이사): 결국은 자동차 가격의 인상에 따라서 소비자부담만 가중되는 반면에 보험회사의 재정적 이익만 안겨주는 꼴이 된다고 봅니다.
⊙기자: 이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같은 급 차량이라도 수리비가 크게 차이가 날 경우 보험료에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또 보험금이 더 많이 들어가는 지역에는 그만큼 보험료를 비싸게 매겨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정준택(금융감독원 특수보험팀장): 손해율이 높은 이유는 운전자의 교통법규준수 의식이라든지 그 다음에 운전자의 운전행태 이런 것에 따라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자: 금감원은 일단 여론을 더 들어보고 보험료 차등화 추진 여부를 최종 결정할 방침입니다.
KBS뉴스 김개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車 보험료 지역·모델별 차등화 논란
-
- 입력 2004-05-20 21:11:02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자동차 보험률을 지역별, 차종별로 차이를 두겠다는 금융감독당국의 방침에 지방자치단체와 자동차 업계의 반발이 거셉니다.
양측의 주장을 김개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대전, 충남, 전남, 강원지역의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들이 자동차 보험료를 지역별로 차등화하겠다는 금융감독원의 방침을 반대하고 나섰습니다.
대형 교통사고가 많이 나는 것은 도로여건이 나쁘기 때문인데도 지역운전자들에게만 책임을 돌리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입니다.
⊙장세광(지역 차등화 반대 대책 위원회): 도로교통이 환경과 관련해서 사고와 관계가 있는데 그런 여건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지역차등화를 시행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봅니다.
⊙기자: 차종별로 보험료를 다르게 적용하겠다는 방침에 대해서는 자동차업계가 반대하고 있습니다.
안전도를 높이기 위해 좋은 부품을 사용해야 하는 만큼 자동차 가격이 오른다는 이유에서입니다.
⊙강철구(자동차공업협회 이사): 결국은 자동차 가격의 인상에 따라서 소비자부담만 가중되는 반면에 보험회사의 재정적 이익만 안겨주는 꼴이 된다고 봅니다.
⊙기자: 이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같은 급 차량이라도 수리비가 크게 차이가 날 경우 보험료에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또 보험금이 더 많이 들어가는 지역에는 그만큼 보험료를 비싸게 매겨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정준택(금융감독원 특수보험팀장): 손해율이 높은 이유는 운전자의 교통법규준수 의식이라든지 그 다음에 운전자의 운전행태 이런 것에 따라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자: 금감원은 일단 여론을 더 들어보고 보험료 차등화 추진 여부를 최종 결정할 방침입니다.
KBS뉴스 김개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