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 분노 "처벌 수위 높여야"
입력 2004.06.10 (22:12)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불량만두 제조업체가 공개되자 소비자와 시민단체들은 강력한 처벌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환불을 요구하는 곳도 있습니다.
보도에 정인성 기자입니다.
⊙기자: 식약청장이 불량만두 제조업소의 명단을 발표한 직후 한 시민이 갑자기 항의구호를 외칩니다.
같은 시각 식약청 정문 간판은 시민들이 던진 만두에 물매를 맞았습니다.
⊙ 인터뷰: 국민 건강 무시하는 대기업은 각성해라!
⊙기자: 시민들은 불량만두를 만든 업체들에 대한 분노를 쏟아내면서 처벌 수위를 대폭 높여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최맹숙(서울시 돈암동): 화 나죠.
매일같이 사먹는데.
더군다나 지금 학생들이 많으니까...
⊙김선미(서울시 미아동): 벌금형이 아닌 그런 사람들을 징역형을 살 수 있는 법을 만들어서 처리했으면 좋겠어요.
⊙기자: 특히 혐의를 부인하던 일부 대기업이 명단에 포함된 것에 대해 대기업의 비도덕성과 함께 정부의 뒤늦은 공개를 비난했습니다.
⊙오유신(환경운동연합 간사): 전격 발표하는 것을 유보하고 있었던 것은 그것 또한 업체의 눈치를 보는 것이라고밖에 보아지지 않고...
⊙기자: 청주시내 대형 할인매장에서는 오늘 하루 20여 명의 소비자들이 환불을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명단 공개 후에도 시민들의 분노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는 가운데 불량만두 파문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KBS뉴스 정인성입니다.
환불을 요구하는 곳도 있습니다.
보도에 정인성 기자입니다.
⊙기자: 식약청장이 불량만두 제조업소의 명단을 발표한 직후 한 시민이 갑자기 항의구호를 외칩니다.
같은 시각 식약청 정문 간판은 시민들이 던진 만두에 물매를 맞았습니다.
⊙ 인터뷰: 국민 건강 무시하는 대기업은 각성해라!
⊙기자: 시민들은 불량만두를 만든 업체들에 대한 분노를 쏟아내면서 처벌 수위를 대폭 높여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최맹숙(서울시 돈암동): 화 나죠.
매일같이 사먹는데.
더군다나 지금 학생들이 많으니까...
⊙김선미(서울시 미아동): 벌금형이 아닌 그런 사람들을 징역형을 살 수 있는 법을 만들어서 처리했으면 좋겠어요.
⊙기자: 특히 혐의를 부인하던 일부 대기업이 명단에 포함된 것에 대해 대기업의 비도덕성과 함께 정부의 뒤늦은 공개를 비난했습니다.
⊙오유신(환경운동연합 간사): 전격 발표하는 것을 유보하고 있었던 것은 그것 또한 업체의 눈치를 보는 것이라고밖에 보아지지 않고...
⊙기자: 청주시내 대형 할인매장에서는 오늘 하루 20여 명의 소비자들이 환불을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명단 공개 후에도 시민들의 분노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는 가운데 불량만두 파문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KBS뉴스 정인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민들 분노 "처벌 수위 높여야"
-
- 입력 2004-06-10 20:58:55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불량만두 제조업체가 공개되자 소비자와 시민단체들은 강력한 처벌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환불을 요구하는 곳도 있습니다.
보도에 정인성 기자입니다.
⊙기자: 식약청장이 불량만두 제조업소의 명단을 발표한 직후 한 시민이 갑자기 항의구호를 외칩니다.
같은 시각 식약청 정문 간판은 시민들이 던진 만두에 물매를 맞았습니다.
⊙ 인터뷰: 국민 건강 무시하는 대기업은 각성해라!
⊙기자: 시민들은 불량만두를 만든 업체들에 대한 분노를 쏟아내면서 처벌 수위를 대폭 높여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최맹숙(서울시 돈암동): 화 나죠.
매일같이 사먹는데.
더군다나 지금 학생들이 많으니까...
⊙김선미(서울시 미아동): 벌금형이 아닌 그런 사람들을 징역형을 살 수 있는 법을 만들어서 처리했으면 좋겠어요.
⊙기자: 특히 혐의를 부인하던 일부 대기업이 명단에 포함된 것에 대해 대기업의 비도덕성과 함께 정부의 뒤늦은 공개를 비난했습니다.
⊙오유신(환경운동연합 간사): 전격 발표하는 것을 유보하고 있었던 것은 그것 또한 업체의 눈치를 보는 것이라고밖에 보아지지 않고...
⊙기자: 청주시내 대형 할인매장에서는 오늘 하루 20여 명의 소비자들이 환불을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명단 공개 후에도 시민들의 분노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는 가운데 불량만두 파문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KBS뉴스 정인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