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①한국 유기농의 현주소는?
입력 2004.11.19 (22:02)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면서 이제 유기농은 우리 농업이 가야 할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어떻습니까?
소비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 아직도 개선해야 할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집중취재, 오늘은 우리 유기농의 현실을 진단하고 대안을 모색해 보겠습니다.
먼저 사후관리 위주의 유기농 관리실태를 이석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최근 웰빙바람을 타고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난 97년 유기인증제도가 도입된 뒤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하는 곳도 2만 5000농가로 늘었습니다.
생산양도 2000년도에 비해 3년새 무려 10배나 늘어났습니다.
유기농채소와 과일, 곡류에다 갖가지 가공식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 고유의 유기농은 무차별로 수입되는 외국산 유기농에 대한 우리 농업의 자존심이자 탈출구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 유기농이 소비자들의 높은 신뢰를 받기 위해서는 아직 부족한 점도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인력 부족 탓도 있지만 사후관리 의존도가 높다는 것입니다.
특히 한계가 드러난 잔류농약검사 의존도가 높고 재배과정에 대한 감시도 허술합니다.
⊙손상목(교수/한국유기농업연구소장): 공정하고 규칙에 맞게 되고 있는지는 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수시로 부정기적으로 인증기관을 관리감독해야 되는 거죠.
기자: 게다가 인증이 무농약, 저농약까지 모두 4개로 세분되어 있는 것도 소비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습니다.
⊙구미순(주부/서울시 논현동): 인증마크가 정확히 어떤 게 있는지도 모르고 그냥 유기농이라는 말, 반신반의하면서 그냥 사는 거거든요.
⊙기자: 유기농산물로 만드는 가공식품에 대한 품질관리도 제대로 안 되고 있습니다.
⊙김정옥(한국소비자보호원 서비스 조사팀): 가공식품의 경우에는 유기농 인증제도가 없고 표시기준만 있어서 품질에 대한 관리는 미흡한 실정입니다.
⊙기자: 허술한 인증체계와 품질관리가 갈 길 바쁜 우리 친환경 농업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석재입니다.
그러나 현실은 어떻습니까?
소비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 아직도 개선해야 할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집중취재, 오늘은 우리 유기농의 현실을 진단하고 대안을 모색해 보겠습니다.
먼저 사후관리 위주의 유기농 관리실태를 이석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최근 웰빙바람을 타고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난 97년 유기인증제도가 도입된 뒤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하는 곳도 2만 5000농가로 늘었습니다.
생산양도 2000년도에 비해 3년새 무려 10배나 늘어났습니다.
유기농채소와 과일, 곡류에다 갖가지 가공식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 고유의 유기농은 무차별로 수입되는 외국산 유기농에 대한 우리 농업의 자존심이자 탈출구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 유기농이 소비자들의 높은 신뢰를 받기 위해서는 아직 부족한 점도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인력 부족 탓도 있지만 사후관리 의존도가 높다는 것입니다.
특히 한계가 드러난 잔류농약검사 의존도가 높고 재배과정에 대한 감시도 허술합니다.
⊙손상목(교수/한국유기농업연구소장): 공정하고 규칙에 맞게 되고 있는지는 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수시로 부정기적으로 인증기관을 관리감독해야 되는 거죠.
기자: 게다가 인증이 무농약, 저농약까지 모두 4개로 세분되어 있는 것도 소비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습니다.
⊙구미순(주부/서울시 논현동): 인증마크가 정확히 어떤 게 있는지도 모르고 그냥 유기농이라는 말, 반신반의하면서 그냥 사는 거거든요.
⊙기자: 유기농산물로 만드는 가공식품에 대한 품질관리도 제대로 안 되고 있습니다.
⊙김정옥(한국소비자보호원 서비스 조사팀): 가공식품의 경우에는 유기농 인증제도가 없고 표시기준만 있어서 품질에 대한 관리는 미흡한 실정입니다.
⊙기자: 허술한 인증체계와 품질관리가 갈 길 바쁜 우리 친환경 농업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석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①한국 유기농의 현주소는?
-
- 입력 2004-11-19 21:31:12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최근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면서 이제 유기농은 우리 농업이 가야 할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어떻습니까?
소비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 아직도 개선해야 할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집중취재, 오늘은 우리 유기농의 현실을 진단하고 대안을 모색해 보겠습니다.
먼저 사후관리 위주의 유기농 관리실태를 이석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최근 웰빙바람을 타고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난 97년 유기인증제도가 도입된 뒤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하는 곳도 2만 5000농가로 늘었습니다.
생산양도 2000년도에 비해 3년새 무려 10배나 늘어났습니다.
유기농채소와 과일, 곡류에다 갖가지 가공식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 고유의 유기농은 무차별로 수입되는 외국산 유기농에 대한 우리 농업의 자존심이자 탈출구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 유기농이 소비자들의 높은 신뢰를 받기 위해서는 아직 부족한 점도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인력 부족 탓도 있지만 사후관리 의존도가 높다는 것입니다.
특히 한계가 드러난 잔류농약검사 의존도가 높고 재배과정에 대한 감시도 허술합니다.
⊙손상목(교수/한국유기농업연구소장): 공정하고 규칙에 맞게 되고 있는지는 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수시로 부정기적으로 인증기관을 관리감독해야 되는 거죠.
기자: 게다가 인증이 무농약, 저농약까지 모두 4개로 세분되어 있는 것도 소비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습니다.
⊙구미순(주부/서울시 논현동): 인증마크가 정확히 어떤 게 있는지도 모르고 그냥 유기농이라는 말, 반신반의하면서 그냥 사는 거거든요.
⊙기자: 유기농산물로 만드는 가공식품에 대한 품질관리도 제대로 안 되고 있습니다.
⊙김정옥(한국소비자보호원 서비스 조사팀): 가공식품의 경우에는 유기농 인증제도가 없고 표시기준만 있어서 품질에 대한 관리는 미흡한 실정입니다.
⊙기자: 허술한 인증체계와 품질관리가 갈 길 바쁜 우리 친환경 농업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석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