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노동자들의 설 나들이

입력 2005.02.08 (22:01)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설 멸정이 되면 외국인 노동자들도 고향이 그립기는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자신들보다 더 어려운 사람들을 찾아서 고향의 향수를 달랜 외국인 노동자들이 있습니다.
김원장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외국인 노동자들이 그 동안 준비한 전통춤을 선보입니다.
설명절 사람이 그리운 할머니들의 얼굴에는 금세 웃음이 피어납니다.
⊙로사나(스리랑카 노동자): 할머니, 할아버지들에게 보여주고 싶어요.
우리나라 춤 보여주고 싶어요.
⊙기자: 외국인 노동자들 마을에서는 음식을 만들어 나누는 조촐한 잔치도 열렸습니다.
하반신이 마비된 노말헥산 피해 여성들도 설을 맞아 처음으로 나들이길에 나섰습니다.
⊙사라삐(노말헥산 피해 여성(태국)): 지금 많이 좋아졌어요.
그전에는 이렇게 안 됐지만 지금은 (힘이) 있어요.
⊙기자: 함께 모여 쓰나미로 희생된 피해자들을 위한 추모식도 열었습니다.
그리고 가족들과의 전화통화.
마음 한 구석이 늘 시리지만 따뜻한 마음 잊지 않으려는 외국인 노동자들은 설을 맞아 지금까지 모은 돈 1700만원을 쓰나미 피해지역에 보내기로 했습니다.
KBS뉴스 김원장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외국인 노동자들의 설 나들이
    • 입력 2005-02-08 21:33:39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설 멸정이 되면 외국인 노동자들도 고향이 그립기는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자신들보다 더 어려운 사람들을 찾아서 고향의 향수를 달랜 외국인 노동자들이 있습니다. 김원장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외국인 노동자들이 그 동안 준비한 전통춤을 선보입니다. 설명절 사람이 그리운 할머니들의 얼굴에는 금세 웃음이 피어납니다. ⊙로사나(스리랑카 노동자): 할머니, 할아버지들에게 보여주고 싶어요. 우리나라 춤 보여주고 싶어요. ⊙기자: 외국인 노동자들 마을에서는 음식을 만들어 나누는 조촐한 잔치도 열렸습니다. 하반신이 마비된 노말헥산 피해 여성들도 설을 맞아 처음으로 나들이길에 나섰습니다. ⊙사라삐(노말헥산 피해 여성(태국)): 지금 많이 좋아졌어요. 그전에는 이렇게 안 됐지만 지금은 (힘이) 있어요. ⊙기자: 함께 모여 쓰나미로 희생된 피해자들을 위한 추모식도 열었습니다. 그리고 가족들과의 전화통화. 마음 한 구석이 늘 시리지만 따뜻한 마음 잊지 않으려는 외국인 노동자들은 설을 맞아 지금까지 모은 돈 1700만원을 쓰나미 피해지역에 보내기로 했습니다. KBS뉴스 김원장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