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 “두 사람이 축의금 10만 원 내니 거지 취급”…축의금 ‘손절각’이 있다?

입력 2023.01.11 (18:04) 수정 2023.01.11 (18: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어서 ET콕입니다.

국민 MC 유재석은 연예계의 큰 손으로 통합니다.

통 큰 기부는 물론이고, 축의금을 많이 내는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축의금 올리는 것도 너야. 재석이 때문에 우리 동기들이 얼마나 힘든데요."]

축의금의 적정 액수는 얼마일까 자주 고민되실 겁니다.

카톡으로 날아든 청첩장.

손으로는 빠르게 축하 답장을 보내지만 나도 모르게 한숨이 쉬어지고, 머릿 속에선 고민이 시작됩니다.

축의금 얼마 내지?

5만 원 내자니 식대도 안 될 것 같고 더 내자니 솔직히 부담됩니다.

부담 안 되는 선에서 적당히 해야겠다 싶다가도 체면을 생각하면 쉽지가 않습니다.

게다가, 누구더라...?

카톡에 뜬 이름을 보고 한참을 생각해야 하는 사람까지.

번지수 가리지 않고 온 청첩장은 일종의‘축의금 고지서'나 다름없습니다.

KBS 개그콘서트의 인기코너였던 '애정남'은 축의금의 기준을 이렇게 정해줬습니다.

지출이 몰리는 성수기 결혼식은 3만 원, 비성수기는 5만 원, 신랑이나 신부의 부모님이 내 이름을 알면 10만 원이라는 겁니다.

[KBS 개그콘서트 애정남 : "5만 원 받고 싶으면 비수기에 결혼하세요."]

그런데 이건 10여년 전 일입니다.

10년이 지난 지금, 축의금은 개그 소재 이상의 현실적인 문제가 됐습니다.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

직장 선배의 결혼식에 아내와 함께 참석했는데 축의금 10만 원을 내고 밥을 먹었다가 '와이프까지 데려와 밥을 먹냐'며 면박을 당했다는 겁니다.

이 사연을 두고 열띤 토론이 벌어졌는데요.

"주말에 시간을 내서 와준 것만으로 고마운 일 아니냐", "결혼 식대를 대체 왜 하객이 부담해야 하나".

"이제는 10만 원을 내고도 욕을 먹는구나" 등등 한동안 코로나로 미뤄졌던 결혼식들이 잇따르면서 고민은 더 깊어집니다.

특히 호텔 예식이 늘고, 고물가로 식대가 10만 원 안팎인 식장이 적지 않다보니 더욱 그렇습니다.

"갑자기 연락하면 십중팔구 청첩장", "결혼 후엔 깜깜 무소식 …돈 맡겨놨냐?"

결혼식 한 달 전에 입사해 축의금은 다 받아놓고, 신혼여행 다녀오자마자 '퇴사'한 신입사원 이야기도 들립니다.

축의금 대체 어떻게 하는 게 정답일까요?

작은 결혼식의 활성화, 또는 외국처럼 손 편지나 카드로 마음을 전하는 경조사 문화는 어떨지.

시간이 걸린다 하더라도 말이죠.

요즘 온라인상에서 떠도는 '축의금 기준' 유머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1년에 한 번 볼까말까 한 사이는 3만 원 내고 대신 '불참', 친분 있는 직장동료는 5만 원, 웃는 얼굴로 욕까지 주고받을 수 있는 절친한 친구는 20만 원.

지금까지 ET콕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ET] “두 사람이 축의금 10만 원 내니 거지 취급”…축의금 ‘손절각’이 있다?
    • 입력 2023-01-11 18:04:41
    • 수정2023-01-11 18:10:59
    통합뉴스룸ET
이어서 ET콕입니다.

국민 MC 유재석은 연예계의 큰 손으로 통합니다.

통 큰 기부는 물론이고, 축의금을 많이 내는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축의금 올리는 것도 너야. 재석이 때문에 우리 동기들이 얼마나 힘든데요."]

축의금의 적정 액수는 얼마일까 자주 고민되실 겁니다.

카톡으로 날아든 청첩장.

손으로는 빠르게 축하 답장을 보내지만 나도 모르게 한숨이 쉬어지고, 머릿 속에선 고민이 시작됩니다.

축의금 얼마 내지?

5만 원 내자니 식대도 안 될 것 같고 더 내자니 솔직히 부담됩니다.

부담 안 되는 선에서 적당히 해야겠다 싶다가도 체면을 생각하면 쉽지가 않습니다.

게다가, 누구더라...?

카톡에 뜬 이름을 보고 한참을 생각해야 하는 사람까지.

번지수 가리지 않고 온 청첩장은 일종의‘축의금 고지서'나 다름없습니다.

KBS 개그콘서트의 인기코너였던 '애정남'은 축의금의 기준을 이렇게 정해줬습니다.

지출이 몰리는 성수기 결혼식은 3만 원, 비성수기는 5만 원, 신랑이나 신부의 부모님이 내 이름을 알면 10만 원이라는 겁니다.

[KBS 개그콘서트 애정남 : "5만 원 받고 싶으면 비수기에 결혼하세요."]

그런데 이건 10여년 전 일입니다.

10년이 지난 지금, 축의금은 개그 소재 이상의 현실적인 문제가 됐습니다.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

직장 선배의 결혼식에 아내와 함께 참석했는데 축의금 10만 원을 내고 밥을 먹었다가 '와이프까지 데려와 밥을 먹냐'며 면박을 당했다는 겁니다.

이 사연을 두고 열띤 토론이 벌어졌는데요.

"주말에 시간을 내서 와준 것만으로 고마운 일 아니냐", "결혼 식대를 대체 왜 하객이 부담해야 하나".

"이제는 10만 원을 내고도 욕을 먹는구나" 등등 한동안 코로나로 미뤄졌던 결혼식들이 잇따르면서 고민은 더 깊어집니다.

특히 호텔 예식이 늘고, 고물가로 식대가 10만 원 안팎인 식장이 적지 않다보니 더욱 그렇습니다.

"갑자기 연락하면 십중팔구 청첩장", "결혼 후엔 깜깜 무소식 …돈 맡겨놨냐?"

결혼식 한 달 전에 입사해 축의금은 다 받아놓고, 신혼여행 다녀오자마자 '퇴사'한 신입사원 이야기도 들립니다.

축의금 대체 어떻게 하는 게 정답일까요?

작은 결혼식의 활성화, 또는 외국처럼 손 편지나 카드로 마음을 전하는 경조사 문화는 어떨지.

시간이 걸린다 하더라도 말이죠.

요즘 온라인상에서 떠도는 '축의금 기준' 유머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1년에 한 번 볼까말까 한 사이는 3만 원 내고 대신 '불참', 친분 있는 직장동료는 5만 원, 웃는 얼굴로 욕까지 주고받을 수 있는 절친한 친구는 20만 원.

지금까지 ET콕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