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달걀 들어왔지만…치솟는 물가에 간편식 ‘차례상’

입력 2023.01.16 (19:24) 수정 2023.01.16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설을 앞두고 먹거리 물가가 오르면서 차례상 비용도 더 들어갈 전망입니다.

정부가 값 싼 수입산 달걀까지 들여왔지만, 소비 심리는 더 움츠러들고 있습니다.

장혁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스페인에서 들여온 달걀입니다.

한 판 가격이 국내산보다 1,500원 이상 저렴합니다.

[이규호·송지희/서울 강서구 : "품질상으로는 크게 차이가 없을 거라는 생각을 했고요. 가격면으로 많이 저렴하다 보니까 먹어도 괜찮겠다 싶어서."]

겉보기엔 국내산과 똑같지만 달걀에 새겨진 난각 번호가 다섯 자리로 되어 있습니다.

국내산은 열 자리라서, 섞이더라도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달걀 가격은 안정적이고 수입 조치에 반발하는 농가들도 있지만, 정부가 선제적으로 들여온 이유는 물가 때문입니다.

올해 설 차례상을 차리려면 최고 36만 원.

대형 마트도, 전통시장도 모두 지난해보다 더 많이 듭니다.

특히 나물과 잎 채소 가격이 큰 폭으로 뛰었는데, 최근 한파와 폭설이 신선 식품 물가를 더 자극할 수 있습니다.

[정황근/농림축산식품부 장관 : "경기도, 충북, 강원도 일부 지역에 많은 눈이 내렸기 때문에 (농가) 대설 피해가 없도록, 각 유통 주체가 신경 써주시길..."]

재룟값 부담 때문에 간편식으로 만든 제수 용품을 찾는 가정도 늘었습니다.

손질된 식재료로 식품을 조리할 수 있는 '밀키트' 가운데 제수용 제품의 매출은 최근 20% 이상 증가했습니다.

[류경석/대형마트 메뉴개발기획팀장 : "이제는 소가족 위주고 적은 양만 해도 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즐기실 수 있도록 준비를 했습니다."]

문제는 먹거리 식품 부담이 설 이후에도 더 이어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소비자 10명 중 7명은 식품 물가에 부담을 느끼고 있고, 절반은 올해 지출이 더 클 것 같다고 답했습니다.

[김상효/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수입 단가가 하락한 부분도 소비자 가격에 영향을 미치기까지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올해 하반기는 되어야 식품 물가 안정화가 시작되지 않을까..."]

한국은행은 다음달까지 5% 수준의 물가 상승률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입 달걀 들어왔지만…치솟는 물가에 간편식 ‘차례상’
    • 입력 2023-01-16 19:24:15
    • 수정2023-01-16 22:02:00
    뉴스 7
[앵커]

설을 앞두고 먹거리 물가가 오르면서 차례상 비용도 더 들어갈 전망입니다.

정부가 값 싼 수입산 달걀까지 들여왔지만, 소비 심리는 더 움츠러들고 있습니다.

장혁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스페인에서 들여온 달걀입니다.

한 판 가격이 국내산보다 1,500원 이상 저렴합니다.

[이규호·송지희/서울 강서구 : "품질상으로는 크게 차이가 없을 거라는 생각을 했고요. 가격면으로 많이 저렴하다 보니까 먹어도 괜찮겠다 싶어서."]

겉보기엔 국내산과 똑같지만 달걀에 새겨진 난각 번호가 다섯 자리로 되어 있습니다.

국내산은 열 자리라서, 섞이더라도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달걀 가격은 안정적이고 수입 조치에 반발하는 농가들도 있지만, 정부가 선제적으로 들여온 이유는 물가 때문입니다.

올해 설 차례상을 차리려면 최고 36만 원.

대형 마트도, 전통시장도 모두 지난해보다 더 많이 듭니다.

특히 나물과 잎 채소 가격이 큰 폭으로 뛰었는데, 최근 한파와 폭설이 신선 식품 물가를 더 자극할 수 있습니다.

[정황근/농림축산식품부 장관 : "경기도, 충북, 강원도 일부 지역에 많은 눈이 내렸기 때문에 (농가) 대설 피해가 없도록, 각 유통 주체가 신경 써주시길..."]

재룟값 부담 때문에 간편식으로 만든 제수 용품을 찾는 가정도 늘었습니다.

손질된 식재료로 식품을 조리할 수 있는 '밀키트' 가운데 제수용 제품의 매출은 최근 20% 이상 증가했습니다.

[류경석/대형마트 메뉴개발기획팀장 : "이제는 소가족 위주고 적은 양만 해도 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즐기실 수 있도록 준비를 했습니다."]

문제는 먹거리 식품 부담이 설 이후에도 더 이어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소비자 10명 중 7명은 식품 물가에 부담을 느끼고 있고, 절반은 올해 지출이 더 클 것 같다고 답했습니다.

[김상효/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수입 단가가 하락한 부분도 소비자 가격에 영향을 미치기까지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올해 하반기는 되어야 식품 물가 안정화가 시작되지 않을까..."]

한국은행은 다음달까지 5% 수준의 물가 상승률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