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고령사회’ 진입…앞으로가 더 걱정

입력 2023.01.17 (07:56) 수정 2023.01.17 (08: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울산의 65세 인구 비율이 14%를 넘어서면서, 울산도 고령사회로 진입했습니다.

출생보다 사망자가 더 많은 자연감소가 올해도 이어지면서, 연쇄적인 문제로 번질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신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울산의 한 노인복지관.

어르신들이 강당에 모여 택견을 배우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전에도 많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나면서 더 많은 어르신들이 찾아오고 있습니다.

[신경희/선암호수노인복지관 노인봉사단장 : "8명 모집하는데 30명, 40명, 50명씩 온다던가 정원수가 적기 때문에 8명, 16명 이렇게 모은다고 하면 16명 같은 경우는 40~50명씩 몰린다던지 해서, 경쟁률이 3대 1, 4대 1 되는 걸로 느끼고 있습니다."]

울산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2021년 13.64%였지만, 지난해 14%를 넘어서며 '고령사회'로 진입했습니다.

2011년 고령화사회로 접어든 지 11년 만입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출생보다 사망이 많은 자연적 감소가 이뤄지고 있는데, 앞으로가 더 문제입니다.

생산가능인구는 점차 줄어드는 반면, 고령인구는 늘면서 지자체의 재원 부담이 점점 커지기 때문입니다.

재정자립도가 열악해질 경우 노인 복지의 질 저하는 물론, 지역 소멸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삼식/인구보건복지협회장 : "인구가 줄어들면 공장이라든가 기업이라든가 회사가 돌리기 어렵고, 그러다보면 그 회사들이 떠나는 경우도 있고, 축소되는 경우도 있고 그러다 보니까 지방세수가 감소하는 것은 당연히 일어날 수 밖에 없는 거죠."]

이 때문에 울산을 포함한 전국 모든 지자체가 일자리를 만들고,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세수를 투입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울산은 2030년 고령인구비율이 20%를 넘은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고령화 속도로는 전국 최고 수준인데요.

고령화, 저출산 문제 극복을 위해선 더욱 효과적인 정책 개발이 시급해보입니다.

KBS 뉴스 신건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그래픽:박서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울산, ‘고령사회’ 진입…앞으로가 더 걱정
    • 입력 2023-01-17 07:56:51
    • 수정2023-01-17 08:08:14
    뉴스광장(울산)
[앵커]

울산의 65세 인구 비율이 14%를 넘어서면서, 울산도 고령사회로 진입했습니다.

출생보다 사망자가 더 많은 자연감소가 올해도 이어지면서, 연쇄적인 문제로 번질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신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울산의 한 노인복지관.

어르신들이 강당에 모여 택견을 배우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전에도 많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나면서 더 많은 어르신들이 찾아오고 있습니다.

[신경희/선암호수노인복지관 노인봉사단장 : "8명 모집하는데 30명, 40명, 50명씩 온다던가 정원수가 적기 때문에 8명, 16명 이렇게 모은다고 하면 16명 같은 경우는 40~50명씩 몰린다던지 해서, 경쟁률이 3대 1, 4대 1 되는 걸로 느끼고 있습니다."]

울산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2021년 13.64%였지만, 지난해 14%를 넘어서며 '고령사회'로 진입했습니다.

2011년 고령화사회로 접어든 지 11년 만입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출생보다 사망이 많은 자연적 감소가 이뤄지고 있는데, 앞으로가 더 문제입니다.

생산가능인구는 점차 줄어드는 반면, 고령인구는 늘면서 지자체의 재원 부담이 점점 커지기 때문입니다.

재정자립도가 열악해질 경우 노인 복지의 질 저하는 물론, 지역 소멸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삼식/인구보건복지협회장 : "인구가 줄어들면 공장이라든가 기업이라든가 회사가 돌리기 어렵고, 그러다보면 그 회사들이 떠나는 경우도 있고, 축소되는 경우도 있고 그러다 보니까 지방세수가 감소하는 것은 당연히 일어날 수 밖에 없는 거죠."]

이 때문에 울산을 포함한 전국 모든 지자체가 일자리를 만들고,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세수를 투입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울산은 2030년 고령인구비율이 20%를 넘은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고령화 속도로는 전국 최고 수준인데요.

고령화, 저출산 문제 극복을 위해선 더욱 효과적인 정책 개발이 시급해보입니다.

KBS 뉴스 신건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그래픽:박서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울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