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이슈 PICK] 생산비·대출연체액 상승…지역 농가 경영 상태 악화
입력 2023.01.26 (19:18)
수정 2023.01.26 (20: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농가의 경영 악화, 어제 오늘만의 일은 아닌데요.
가파른 금리 상승 등으로 최근 들어서 그 어려움이 더 커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오늘은 현장 취재한 광주일보 백희준 기자와 자세한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농가 이야기를 할 때 늘 이렇게 마음이 편하지가 않아요.
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그런 상황인데 우리가 어떤 면들에서 좀 더 쉽게 이해를 할 수 있을까요?
[기자]
아무래도 널뛰는 농산물 가격 영향이 클 텐데요.
80kg 쌀 한 가마니 가격은 18만 원으로 주저앉으며 2년 연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습니다.
가격이 폭락한 배추와 양파도 산지 폐기를 수차례 거듭하고 있죠.
지난해부터 올해 초까지 농사용 전기요금은 세 차례 인상됐고 농가에서 많이 쓰는 등유 가격은 1년 전보다 35% 오른 상태입니다.
농가 부채 상황도 나빠지고 있습니다.
내세울 담보가 없는 농업인들에게 신용 보증을 대신 서주는 농협기구에서 지난해 발생한 광주 전남 지역 연체 금액은 1년 전보다 66% 늘어났습니다.
[앵커]
잠깐만 설명을 들어도 상당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걸 느낄 수가 있는데 그러면 실제로는 어떤지 사례를 들어볼까요?
[기자]
장흥에서 논 백 마지기 즉 2만 평 벼농사를 짓는 농민에게 물어보니 2년 전 면세유을 쓰는 데 900만 원이 들었는데 지난해에는 2천300만 원이 나갔다고 합니다.
지출이 2.3배가량 뛴 셈이죠.
또 논에 물을 대는 펌프에 쓰는 농사용 전기요금은 지난해 100만 원 가량 들었는데 이는 전년보다 2배 넘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리포트에서 보셨다시피 한우 농가의 경우,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사료값이 40% 뛰고 한우 도매 가격이 폭락하면서 한 달에 소 한 마리씩은 팔아야 사료값이라도 될 수 있다.
이런 말이 나올 지경입니다.
[앵커]
전기요금 이야기 잠깐 해주셨는데 실제로 전기요금을 내지 못하는 농가들도 있다면서요?
[기자]
광주 전남에서 농사용 전기요금을 2개월 이상 체납한 농가는 지난해 11월 말 기준 1만 4천 호 가량이었는데요.
이는 전년 말보다 67%, 5,500호가량 늘어난 규모입니다.
광주 전남에서 전기요금을 내지 못하는 농가는 2019년부터 3년 연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도 상황이 이런데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농사가 시작이 되면 지금 갖고 있는 문제가 더 심각해질 수 있겠네요?
[기자]
영농철이 시작하면 돈 들어갈 일이 많을 텐데요.
늘어나는 대출 이자 부담으로 농가들의 시름은 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광주전남지역 138개 농·축협 가운데 지난해 12월 말 기준 신용대출 평균금리가 전달보다 오른 조합은 전체의 74%인 102곳이었습니다.
이 가운데 평균 금리가 한 달 새 1% 포인트 이상 올린 조합은 17곳에 달했습니다.
또 이 기간 금리가 7% 이상인 조합은 34곳에서 64곳으로 한 달 새 2배 가까이 늘어났습니다.
[앵커]
농가의 사정을 하나하나 따져보니까 그 심각성을 더 많이 느낄 수가 있는데 이런 상황들을 같이 감내해야 될 기관, 농협을 들 수가 있잖아요.
그런데 최근에 성과급 문제로 굉장히 시끄러웠습니다?
[기자]
지난달 5대 시중은행 가운데 대출금리에서 예금금리를 뺀 예대금리차가 가장 컸던 곳은 NH농협은행으로 조사됐습니다.
농협은행과 농협중앙회 임직원들이 이자 장사를 통해 400% 성과급을 받는 이른바 돈잔치를 벌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요.
농협은 농민조합원들의 이익을 위해서 만들어진 협동조합이기에 농업의 현장 상황을 잘 이해하고 고통을 분담해야 한다는 요구가 이 때문에 나오는 것 같습니다.
[앵커]
농민들 입장을 좀 들어볼까요.
이런 도움이 있었으면 좋겠다, 그런 구체적인 내용들이 나오고 있습니까?
[기자]
이달 중순 농민단체인 전국 농민의 총연맹 광주전남연맹은 농협전남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는데요.
고금리와 농자재값 폭등 속에서 농협이 얻은 영업이익을 농민 조합원들에게 환원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단체는 농가 부채 이자 인상분 전액을 지원할 것과 대출금리를 3% 인하해 줄 것을 농협에 요구했습니다.
농업인들의 빚 문제는 농산물의 안정적인 수급과 식량 안보 문제와 직결되는데요.
쌀값 등 농산물 가격 정책에 실패한 농정당국이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앵커]
남도를 가리켜서 농도라고 그런 이야기들을 많이 하는데 그런 표현들이 무색해지지 않도록 현장에 대한 관심, 그리고 각별한 대책이 필요하겠다라고 생각해 봅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농가의 경영 악화, 어제 오늘만의 일은 아닌데요.
가파른 금리 상승 등으로 최근 들어서 그 어려움이 더 커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오늘은 현장 취재한 광주일보 백희준 기자와 자세한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농가 이야기를 할 때 늘 이렇게 마음이 편하지가 않아요.
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그런 상황인데 우리가 어떤 면들에서 좀 더 쉽게 이해를 할 수 있을까요?
[기자]
아무래도 널뛰는 농산물 가격 영향이 클 텐데요.
80kg 쌀 한 가마니 가격은 18만 원으로 주저앉으며 2년 연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습니다.
가격이 폭락한 배추와 양파도 산지 폐기를 수차례 거듭하고 있죠.
지난해부터 올해 초까지 농사용 전기요금은 세 차례 인상됐고 농가에서 많이 쓰는 등유 가격은 1년 전보다 35% 오른 상태입니다.
농가 부채 상황도 나빠지고 있습니다.
내세울 담보가 없는 농업인들에게 신용 보증을 대신 서주는 농협기구에서 지난해 발생한 광주 전남 지역 연체 금액은 1년 전보다 66% 늘어났습니다.
[앵커]
잠깐만 설명을 들어도 상당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걸 느낄 수가 있는데 그러면 실제로는 어떤지 사례를 들어볼까요?
[기자]
장흥에서 논 백 마지기 즉 2만 평 벼농사를 짓는 농민에게 물어보니 2년 전 면세유을 쓰는 데 900만 원이 들었는데 지난해에는 2천300만 원이 나갔다고 합니다.
지출이 2.3배가량 뛴 셈이죠.
또 논에 물을 대는 펌프에 쓰는 농사용 전기요금은 지난해 100만 원 가량 들었는데 이는 전년보다 2배 넘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리포트에서 보셨다시피 한우 농가의 경우,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사료값이 40% 뛰고 한우 도매 가격이 폭락하면서 한 달에 소 한 마리씩은 팔아야 사료값이라도 될 수 있다.
이런 말이 나올 지경입니다.
[앵커]
전기요금 이야기 잠깐 해주셨는데 실제로 전기요금을 내지 못하는 농가들도 있다면서요?
[기자]
광주 전남에서 농사용 전기요금을 2개월 이상 체납한 농가는 지난해 11월 말 기준 1만 4천 호 가량이었는데요.
이는 전년 말보다 67%, 5,500호가량 늘어난 규모입니다.
광주 전남에서 전기요금을 내지 못하는 농가는 2019년부터 3년 연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도 상황이 이런데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농사가 시작이 되면 지금 갖고 있는 문제가 더 심각해질 수 있겠네요?
[기자]
영농철이 시작하면 돈 들어갈 일이 많을 텐데요.
늘어나는 대출 이자 부담으로 농가들의 시름은 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광주전남지역 138개 농·축협 가운데 지난해 12월 말 기준 신용대출 평균금리가 전달보다 오른 조합은 전체의 74%인 102곳이었습니다.
이 가운데 평균 금리가 한 달 새 1% 포인트 이상 올린 조합은 17곳에 달했습니다.
또 이 기간 금리가 7% 이상인 조합은 34곳에서 64곳으로 한 달 새 2배 가까이 늘어났습니다.
[앵커]
농가의 사정을 하나하나 따져보니까 그 심각성을 더 많이 느낄 수가 있는데 이런 상황들을 같이 감내해야 될 기관, 농협을 들 수가 있잖아요.
그런데 최근에 성과급 문제로 굉장히 시끄러웠습니다?
[기자]
지난달 5대 시중은행 가운데 대출금리에서 예금금리를 뺀 예대금리차가 가장 컸던 곳은 NH농협은행으로 조사됐습니다.
농협은행과 농협중앙회 임직원들이 이자 장사를 통해 400% 성과급을 받는 이른바 돈잔치를 벌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요.
농협은 농민조합원들의 이익을 위해서 만들어진 협동조합이기에 농업의 현장 상황을 잘 이해하고 고통을 분담해야 한다는 요구가 이 때문에 나오는 것 같습니다.
[앵커]
농민들 입장을 좀 들어볼까요.
이런 도움이 있었으면 좋겠다, 그런 구체적인 내용들이 나오고 있습니까?
[기자]
이달 중순 농민단체인 전국 농민의 총연맹 광주전남연맹은 농협전남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는데요.
고금리와 농자재값 폭등 속에서 농협이 얻은 영업이익을 농민 조합원들에게 환원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단체는 농가 부채 이자 인상분 전액을 지원할 것과 대출금리를 3% 인하해 줄 것을 농협에 요구했습니다.
농업인들의 빚 문제는 농산물의 안정적인 수급과 식량 안보 문제와 직결되는데요.
쌀값 등 농산물 가격 정책에 실패한 농정당국이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앵커]
남도를 가리켜서 농도라고 그런 이야기들을 많이 하는데 그런 표현들이 무색해지지 않도록 현장에 대한 관심, 그리고 각별한 대책이 필요하겠다라고 생각해 봅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농어촌 이슈 PICK] 생산비·대출연체액 상승…지역 농가 경영 상태 악화
-
- 입력 2023-01-26 19:18:11
- 수정2023-01-26 20:12:43
[앵커]
농가의 경영 악화, 어제 오늘만의 일은 아닌데요.
가파른 금리 상승 등으로 최근 들어서 그 어려움이 더 커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오늘은 현장 취재한 광주일보 백희준 기자와 자세한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농가 이야기를 할 때 늘 이렇게 마음이 편하지가 않아요.
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그런 상황인데 우리가 어떤 면들에서 좀 더 쉽게 이해를 할 수 있을까요?
[기자]
아무래도 널뛰는 농산물 가격 영향이 클 텐데요.
80kg 쌀 한 가마니 가격은 18만 원으로 주저앉으며 2년 연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습니다.
가격이 폭락한 배추와 양파도 산지 폐기를 수차례 거듭하고 있죠.
지난해부터 올해 초까지 농사용 전기요금은 세 차례 인상됐고 농가에서 많이 쓰는 등유 가격은 1년 전보다 35% 오른 상태입니다.
농가 부채 상황도 나빠지고 있습니다.
내세울 담보가 없는 농업인들에게 신용 보증을 대신 서주는 농협기구에서 지난해 발생한 광주 전남 지역 연체 금액은 1년 전보다 66% 늘어났습니다.
[앵커]
잠깐만 설명을 들어도 상당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걸 느낄 수가 있는데 그러면 실제로는 어떤지 사례를 들어볼까요?
[기자]
장흥에서 논 백 마지기 즉 2만 평 벼농사를 짓는 농민에게 물어보니 2년 전 면세유을 쓰는 데 900만 원이 들었는데 지난해에는 2천300만 원이 나갔다고 합니다.
지출이 2.3배가량 뛴 셈이죠.
또 논에 물을 대는 펌프에 쓰는 농사용 전기요금은 지난해 100만 원 가량 들었는데 이는 전년보다 2배 넘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리포트에서 보셨다시피 한우 농가의 경우,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사료값이 40% 뛰고 한우 도매 가격이 폭락하면서 한 달에 소 한 마리씩은 팔아야 사료값이라도 될 수 있다.
이런 말이 나올 지경입니다.
[앵커]
전기요금 이야기 잠깐 해주셨는데 실제로 전기요금을 내지 못하는 농가들도 있다면서요?
[기자]
광주 전남에서 농사용 전기요금을 2개월 이상 체납한 농가는 지난해 11월 말 기준 1만 4천 호 가량이었는데요.
이는 전년 말보다 67%, 5,500호가량 늘어난 규모입니다.
광주 전남에서 전기요금을 내지 못하는 농가는 2019년부터 3년 연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도 상황이 이런데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농사가 시작이 되면 지금 갖고 있는 문제가 더 심각해질 수 있겠네요?
[기자]
영농철이 시작하면 돈 들어갈 일이 많을 텐데요.
늘어나는 대출 이자 부담으로 농가들의 시름은 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광주전남지역 138개 농·축협 가운데 지난해 12월 말 기준 신용대출 평균금리가 전달보다 오른 조합은 전체의 74%인 102곳이었습니다.
이 가운데 평균 금리가 한 달 새 1% 포인트 이상 올린 조합은 17곳에 달했습니다.
또 이 기간 금리가 7% 이상인 조합은 34곳에서 64곳으로 한 달 새 2배 가까이 늘어났습니다.
[앵커]
농가의 사정을 하나하나 따져보니까 그 심각성을 더 많이 느낄 수가 있는데 이런 상황들을 같이 감내해야 될 기관, 농협을 들 수가 있잖아요.
그런데 최근에 성과급 문제로 굉장히 시끄러웠습니다?
[기자]
지난달 5대 시중은행 가운데 대출금리에서 예금금리를 뺀 예대금리차가 가장 컸던 곳은 NH농협은행으로 조사됐습니다.
농협은행과 농협중앙회 임직원들이 이자 장사를 통해 400% 성과급을 받는 이른바 돈잔치를 벌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요.
농협은 농민조합원들의 이익을 위해서 만들어진 협동조합이기에 농업의 현장 상황을 잘 이해하고 고통을 분담해야 한다는 요구가 이 때문에 나오는 것 같습니다.
[앵커]
농민들 입장을 좀 들어볼까요.
이런 도움이 있었으면 좋겠다, 그런 구체적인 내용들이 나오고 있습니까?
[기자]
이달 중순 농민단체인 전국 농민의 총연맹 광주전남연맹은 농협전남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는데요.
고금리와 농자재값 폭등 속에서 농협이 얻은 영업이익을 농민 조합원들에게 환원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단체는 농가 부채 이자 인상분 전액을 지원할 것과 대출금리를 3% 인하해 줄 것을 농협에 요구했습니다.
농업인들의 빚 문제는 농산물의 안정적인 수급과 식량 안보 문제와 직결되는데요.
쌀값 등 농산물 가격 정책에 실패한 농정당국이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앵커]
남도를 가리켜서 농도라고 그런 이야기들을 많이 하는데 그런 표현들이 무색해지지 않도록 현장에 대한 관심, 그리고 각별한 대책이 필요하겠다라고 생각해 봅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농가의 경영 악화, 어제 오늘만의 일은 아닌데요.
가파른 금리 상승 등으로 최근 들어서 그 어려움이 더 커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오늘은 현장 취재한 광주일보 백희준 기자와 자세한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농가 이야기를 할 때 늘 이렇게 마음이 편하지가 않아요.
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그런 상황인데 우리가 어떤 면들에서 좀 더 쉽게 이해를 할 수 있을까요?
[기자]
아무래도 널뛰는 농산물 가격 영향이 클 텐데요.
80kg 쌀 한 가마니 가격은 18만 원으로 주저앉으며 2년 연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습니다.
가격이 폭락한 배추와 양파도 산지 폐기를 수차례 거듭하고 있죠.
지난해부터 올해 초까지 농사용 전기요금은 세 차례 인상됐고 농가에서 많이 쓰는 등유 가격은 1년 전보다 35% 오른 상태입니다.
농가 부채 상황도 나빠지고 있습니다.
내세울 담보가 없는 농업인들에게 신용 보증을 대신 서주는 농협기구에서 지난해 발생한 광주 전남 지역 연체 금액은 1년 전보다 66% 늘어났습니다.
[앵커]
잠깐만 설명을 들어도 상당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걸 느낄 수가 있는데 그러면 실제로는 어떤지 사례를 들어볼까요?
[기자]
장흥에서 논 백 마지기 즉 2만 평 벼농사를 짓는 농민에게 물어보니 2년 전 면세유을 쓰는 데 900만 원이 들었는데 지난해에는 2천300만 원이 나갔다고 합니다.
지출이 2.3배가량 뛴 셈이죠.
또 논에 물을 대는 펌프에 쓰는 농사용 전기요금은 지난해 100만 원 가량 들었는데 이는 전년보다 2배 넘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리포트에서 보셨다시피 한우 농가의 경우,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사료값이 40% 뛰고 한우 도매 가격이 폭락하면서 한 달에 소 한 마리씩은 팔아야 사료값이라도 될 수 있다.
이런 말이 나올 지경입니다.
[앵커]
전기요금 이야기 잠깐 해주셨는데 실제로 전기요금을 내지 못하는 농가들도 있다면서요?
[기자]
광주 전남에서 농사용 전기요금을 2개월 이상 체납한 농가는 지난해 11월 말 기준 1만 4천 호 가량이었는데요.
이는 전년 말보다 67%, 5,500호가량 늘어난 규모입니다.
광주 전남에서 전기요금을 내지 못하는 농가는 2019년부터 3년 연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도 상황이 이런데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농사가 시작이 되면 지금 갖고 있는 문제가 더 심각해질 수 있겠네요?
[기자]
영농철이 시작하면 돈 들어갈 일이 많을 텐데요.
늘어나는 대출 이자 부담으로 농가들의 시름은 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광주전남지역 138개 농·축협 가운데 지난해 12월 말 기준 신용대출 평균금리가 전달보다 오른 조합은 전체의 74%인 102곳이었습니다.
이 가운데 평균 금리가 한 달 새 1% 포인트 이상 올린 조합은 17곳에 달했습니다.
또 이 기간 금리가 7% 이상인 조합은 34곳에서 64곳으로 한 달 새 2배 가까이 늘어났습니다.
[앵커]
농가의 사정을 하나하나 따져보니까 그 심각성을 더 많이 느낄 수가 있는데 이런 상황들을 같이 감내해야 될 기관, 농협을 들 수가 있잖아요.
그런데 최근에 성과급 문제로 굉장히 시끄러웠습니다?
[기자]
지난달 5대 시중은행 가운데 대출금리에서 예금금리를 뺀 예대금리차가 가장 컸던 곳은 NH농협은행으로 조사됐습니다.
농협은행과 농협중앙회 임직원들이 이자 장사를 통해 400% 성과급을 받는 이른바 돈잔치를 벌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요.
농협은 농민조합원들의 이익을 위해서 만들어진 협동조합이기에 농업의 현장 상황을 잘 이해하고 고통을 분담해야 한다는 요구가 이 때문에 나오는 것 같습니다.
[앵커]
농민들 입장을 좀 들어볼까요.
이런 도움이 있었으면 좋겠다, 그런 구체적인 내용들이 나오고 있습니까?
[기자]
이달 중순 농민단체인 전국 농민의 총연맹 광주전남연맹은 농협전남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는데요.
고금리와 농자재값 폭등 속에서 농협이 얻은 영업이익을 농민 조합원들에게 환원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단체는 농가 부채 이자 인상분 전액을 지원할 것과 대출금리를 3% 인하해 줄 것을 농협에 요구했습니다.
농업인들의 빚 문제는 농산물의 안정적인 수급과 식량 안보 문제와 직결되는데요.
쌀값 등 농산물 가격 정책에 실패한 농정당국이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앵커]
남도를 가리켜서 농도라고 그런 이야기들을 많이 하는데 그런 표현들이 무색해지지 않도록 현장에 대한 관심, 그리고 각별한 대책이 필요하겠다라고 생각해 봅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