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원주] 대한축구협회 고액 인증료 논란…인조잔디 업계 ‘울상’
입력 2023.01.26 (19:23)
수정 2023.01.26 (20: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원줍니다.
대한축구협회가 축구장에 쓰는 인조잔디에 대해 자체적인 인증제도를 도입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이에 대해, 해당 업계에선 인증비용이 지나치게 비싸다며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인증비용이 한 번에 3억 원씩 하기 때문입니다.
이현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6년 만들어진 인조잔디 축구장입니다.
국제축구연맹, 피파의 공인 구장과 같은 규몹니다.
구장 안쪽의 모습입니다.
동호인과 생활체육인들의 경기와 훈련 장소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조만간 이 바닥재도 새 제품으로 교체될 예정입니다.
그런데, 최근 인조잔디 업계가 크게 술렁이고 있습니다.
대한축구협회가 2026년부터 자신들이 주관하는 대회는 자신들의 인증을 받은 경기장에서만 열겠다고 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 인조잔디 제작 업체들은 이미 국가인증제도인 'KS 인증'을 받아 제품을 납품하고 있는데, 협회 인증을 따로 받으라는 건 중복 인증이라고 주장합니다.
비용도 문젭니다.
협회 공식 발표 자료를 보면, 인조잔디 제품 인증 비용이 2년에 3억 원.
2년이 지나면, 인증을 다시 받아야 합니다.
[○○인조잔디 제작업체/음성변조 : "저희 업계 자체가 중소 규모거든요. 이걸 부담할 수 있는 업체 자체가 드물 거란 말이죠. 테니스 같은 경우에도 몇백만 원이면 되는데."]
축구협회는 우선, 인증료가 비싸다는 지적에 대해 피파 인증 비용의 절반 수준이라고 반박합니다.
또, 중복 인증 문제에 대해선 피파처럼 협회가 인정하는 단체의 인증을 받으면, 추가 인증은 필요없다고 설명합니다.
[백수암/대한축구협회 대회운영팀 매니저 : "축구 경기를 수행하기에 부적합하게 조성된 인조잔디 경기장은 학생 선수는 물론 많은 축구인들의 부상 위험을 높이고, 선수생명을 단축시키며."]
축구협회는 또, 인조잔디 제품 인증제를 준프로급 이상의 경기가 열리는 구장 등 제한적으로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현기입니다.
촬영기자:최중호/영상편집;김진호
횡성군, 구급차 운용 상황 및 관리실태 점검 시행
횡성군은 다음 달(2월) 24일까지 지역의 구급차 운용 상황과 관리 실태를 점검합니다.
점검 대상은 소방서와 보건소, 병원 등에 등록된 구급차 14대입니다.
주요 점검 항목은 신고 필증 부착 여부와 구급 의약품 구비 상태 등입니다.
또, 운행기록장치와 영상기록장치 부착 여부도 점검합니다.
강원도시장군수 “고향사랑기부제 동참”
강원도시장군수협의회는 오늘(26일) 원주 오크밸리에서 '제3차 정례회'를 열고 시장군수들이 먼저 고향사랑기부제에 동참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들은 올해부터 시작된 고향사랑기부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자신들부터 모범을 보이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들은 또, 수소 가격 안정화와 시멘트공장 폐기물 반입세 신설 등 현안사업 14가지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원주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원줍니다.
대한축구협회가 축구장에 쓰는 인조잔디에 대해 자체적인 인증제도를 도입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이에 대해, 해당 업계에선 인증비용이 지나치게 비싸다며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인증비용이 한 번에 3억 원씩 하기 때문입니다.
이현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6년 만들어진 인조잔디 축구장입니다.
국제축구연맹, 피파의 공인 구장과 같은 규몹니다.
구장 안쪽의 모습입니다.
동호인과 생활체육인들의 경기와 훈련 장소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조만간 이 바닥재도 새 제품으로 교체될 예정입니다.
그런데, 최근 인조잔디 업계가 크게 술렁이고 있습니다.
대한축구협회가 2026년부터 자신들이 주관하는 대회는 자신들의 인증을 받은 경기장에서만 열겠다고 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 인조잔디 제작 업체들은 이미 국가인증제도인 'KS 인증'을 받아 제품을 납품하고 있는데, 협회 인증을 따로 받으라는 건 중복 인증이라고 주장합니다.
비용도 문젭니다.
협회 공식 발표 자료를 보면, 인조잔디 제품 인증 비용이 2년에 3억 원.
2년이 지나면, 인증을 다시 받아야 합니다.
[○○인조잔디 제작업체/음성변조 : "저희 업계 자체가 중소 규모거든요. 이걸 부담할 수 있는 업체 자체가 드물 거란 말이죠. 테니스 같은 경우에도 몇백만 원이면 되는데."]
축구협회는 우선, 인증료가 비싸다는 지적에 대해 피파 인증 비용의 절반 수준이라고 반박합니다.
또, 중복 인증 문제에 대해선 피파처럼 협회가 인정하는 단체의 인증을 받으면, 추가 인증은 필요없다고 설명합니다.
[백수암/대한축구협회 대회운영팀 매니저 : "축구 경기를 수행하기에 부적합하게 조성된 인조잔디 경기장은 학생 선수는 물론 많은 축구인들의 부상 위험을 높이고, 선수생명을 단축시키며."]
축구협회는 또, 인조잔디 제품 인증제를 준프로급 이상의 경기가 열리는 구장 등 제한적으로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현기입니다.
촬영기자:최중호/영상편집;김진호
횡성군, 구급차 운용 상황 및 관리실태 점검 시행
횡성군은 다음 달(2월) 24일까지 지역의 구급차 운용 상황과 관리 실태를 점검합니다.
점검 대상은 소방서와 보건소, 병원 등에 등록된 구급차 14대입니다.
주요 점검 항목은 신고 필증 부착 여부와 구급 의약품 구비 상태 등입니다.
또, 운행기록장치와 영상기록장치 부착 여부도 점검합니다.
강원도시장군수 “고향사랑기부제 동참”
강원도시장군수협의회는 오늘(26일) 원주 오크밸리에서 '제3차 정례회'를 열고 시장군수들이 먼저 고향사랑기부제에 동참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들은 올해부터 시작된 고향사랑기부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자신들부터 모범을 보이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들은 또, 수소 가격 안정화와 시멘트공장 폐기물 반입세 신설 등 현안사업 14가지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원주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원주] 대한축구협회 고액 인증료 논란…인조잔디 업계 ‘울상’
-
- 입력 2023-01-26 19:23:35
- 수정2023-01-26 20:10:55
[앵커]
원줍니다.
대한축구협회가 축구장에 쓰는 인조잔디에 대해 자체적인 인증제도를 도입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이에 대해, 해당 업계에선 인증비용이 지나치게 비싸다며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인증비용이 한 번에 3억 원씩 하기 때문입니다.
이현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6년 만들어진 인조잔디 축구장입니다.
국제축구연맹, 피파의 공인 구장과 같은 규몹니다.
구장 안쪽의 모습입니다.
동호인과 생활체육인들의 경기와 훈련 장소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조만간 이 바닥재도 새 제품으로 교체될 예정입니다.
그런데, 최근 인조잔디 업계가 크게 술렁이고 있습니다.
대한축구협회가 2026년부터 자신들이 주관하는 대회는 자신들의 인증을 받은 경기장에서만 열겠다고 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 인조잔디 제작 업체들은 이미 국가인증제도인 'KS 인증'을 받아 제품을 납품하고 있는데, 협회 인증을 따로 받으라는 건 중복 인증이라고 주장합니다.
비용도 문젭니다.
협회 공식 발표 자료를 보면, 인조잔디 제품 인증 비용이 2년에 3억 원.
2년이 지나면, 인증을 다시 받아야 합니다.
[○○인조잔디 제작업체/음성변조 : "저희 업계 자체가 중소 규모거든요. 이걸 부담할 수 있는 업체 자체가 드물 거란 말이죠. 테니스 같은 경우에도 몇백만 원이면 되는데."]
축구협회는 우선, 인증료가 비싸다는 지적에 대해 피파 인증 비용의 절반 수준이라고 반박합니다.
또, 중복 인증 문제에 대해선 피파처럼 협회가 인정하는 단체의 인증을 받으면, 추가 인증은 필요없다고 설명합니다.
[백수암/대한축구협회 대회운영팀 매니저 : "축구 경기를 수행하기에 부적합하게 조성된 인조잔디 경기장은 학생 선수는 물론 많은 축구인들의 부상 위험을 높이고, 선수생명을 단축시키며."]
축구협회는 또, 인조잔디 제품 인증제를 준프로급 이상의 경기가 열리는 구장 등 제한적으로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현기입니다.
촬영기자:최중호/영상편집;김진호
횡성군, 구급차 운용 상황 및 관리실태 점검 시행
횡성군은 다음 달(2월) 24일까지 지역의 구급차 운용 상황과 관리 실태를 점검합니다.
점검 대상은 소방서와 보건소, 병원 등에 등록된 구급차 14대입니다.
주요 점검 항목은 신고 필증 부착 여부와 구급 의약품 구비 상태 등입니다.
또, 운행기록장치와 영상기록장치 부착 여부도 점검합니다.
강원도시장군수 “고향사랑기부제 동참”
강원도시장군수협의회는 오늘(26일) 원주 오크밸리에서 '제3차 정례회'를 열고 시장군수들이 먼저 고향사랑기부제에 동참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들은 올해부터 시작된 고향사랑기부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자신들부터 모범을 보이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들은 또, 수소 가격 안정화와 시멘트공장 폐기물 반입세 신설 등 현안사업 14가지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원주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원줍니다.
대한축구협회가 축구장에 쓰는 인조잔디에 대해 자체적인 인증제도를 도입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이에 대해, 해당 업계에선 인증비용이 지나치게 비싸다며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인증비용이 한 번에 3억 원씩 하기 때문입니다.
이현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6년 만들어진 인조잔디 축구장입니다.
국제축구연맹, 피파의 공인 구장과 같은 규몹니다.
구장 안쪽의 모습입니다.
동호인과 생활체육인들의 경기와 훈련 장소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조만간 이 바닥재도 새 제품으로 교체될 예정입니다.
그런데, 최근 인조잔디 업계가 크게 술렁이고 있습니다.
대한축구협회가 2026년부터 자신들이 주관하는 대회는 자신들의 인증을 받은 경기장에서만 열겠다고 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 인조잔디 제작 업체들은 이미 국가인증제도인 'KS 인증'을 받아 제품을 납품하고 있는데, 협회 인증을 따로 받으라는 건 중복 인증이라고 주장합니다.
비용도 문젭니다.
협회 공식 발표 자료를 보면, 인조잔디 제품 인증 비용이 2년에 3억 원.
2년이 지나면, 인증을 다시 받아야 합니다.
[○○인조잔디 제작업체/음성변조 : "저희 업계 자체가 중소 규모거든요. 이걸 부담할 수 있는 업체 자체가 드물 거란 말이죠. 테니스 같은 경우에도 몇백만 원이면 되는데."]
축구협회는 우선, 인증료가 비싸다는 지적에 대해 피파 인증 비용의 절반 수준이라고 반박합니다.
또, 중복 인증 문제에 대해선 피파처럼 협회가 인정하는 단체의 인증을 받으면, 추가 인증은 필요없다고 설명합니다.
[백수암/대한축구협회 대회운영팀 매니저 : "축구 경기를 수행하기에 부적합하게 조성된 인조잔디 경기장은 학생 선수는 물론 많은 축구인들의 부상 위험을 높이고, 선수생명을 단축시키며."]
축구협회는 또, 인조잔디 제품 인증제를 준프로급 이상의 경기가 열리는 구장 등 제한적으로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현기입니다.
촬영기자:최중호/영상편집;김진호
횡성군, 구급차 운용 상황 및 관리실태 점검 시행
횡성군은 다음 달(2월) 24일까지 지역의 구급차 운용 상황과 관리 실태를 점검합니다.
점검 대상은 소방서와 보건소, 병원 등에 등록된 구급차 14대입니다.
주요 점검 항목은 신고 필증 부착 여부와 구급 의약품 구비 상태 등입니다.
또, 운행기록장치와 영상기록장치 부착 여부도 점검합니다.
강원도시장군수 “고향사랑기부제 동참”
강원도시장군수협의회는 오늘(26일) 원주 오크밸리에서 '제3차 정례회'를 열고 시장군수들이 먼저 고향사랑기부제에 동참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들은 올해부터 시작된 고향사랑기부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자신들부터 모범을 보이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들은 또, 수소 가격 안정화와 시멘트공장 폐기물 반입세 신설 등 현안사업 14가지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원주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
이현기 기자 goldman@kbs.co.kr
이현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