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전셋값 하락에 뒤바뀐 ‘갑-을’…20%가 역전세 계약
입력 2023.01.26 (21:26) 수정 2023.01.26 (22:03) 뉴스 9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전세 가격이 크게 떨어지면서 집주인과 세입자의 입장도 바뀌고 있습니다.

계약이 끝난 세입자를 붙들기 위해 집주인이 떨어진 전세값을 매달 나눠서 주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박진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서초구의 한 아파트.

전용면적 59㎡의 전셋값은 8억 원으로 2년 전보다 20% 떨어졌습니다.

계약이 끝난 집주인들은 기존 세입자를 붙잡으려고 은행 빚을 내 보증금 일부를 되돌려주거나 하락한 전셋값만큼 매달 현금을 주기도 합니다.

이른바 '역월세'입니다.

[인근 부동산 : "차익만큼 이제 돈을 돌려받기를 원하는데, 임차인들이. 돌려주지를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보니까 이제 매달 임대인이 임차인한테 월세 식으로 매달 얼마씩..."]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1년 가까이 하락하고 있고, 최근 낙폭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사이 최근 석 달간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 2만여 건 가운데, 20%가 넘게 2년 전 전세값보다 낮춘 역전세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세 세입자/서울 은평구 : "(세입자 입장에선 가격을) 2억 정도를 낮추고 전세대출금리 자체를 조금만 진행해서 (이자) 부담이 덜 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싶은 거죠."]

이런 현상이 더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세입자들이 최고 6%를 웃도는 전세자금 대출을 받는 것보다 부담이 낮은 월세를 더 선호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지난달 서울에서 월세 비중은 57%로 일곱 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여기에 서울에서만 올해 아파트 2만 6천여 호가 입주를 앞두고 있고,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서울 전역에서 실거주 의무가 폐지되면서 전세 매물은 더 늘어날 수 있습니다.

[여경희/부동산R114 수석연구원 : "입주 물량이 집중되거나 갭투자가 그간 많았던 지역을 중심으로 역전세 현상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부는 집주인의 전세금 반환 자금의 보증 한도를 지금의 두 배인 2억 원으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박진수입니다.

촬영기자:조은경/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석훈 박미주
  • 전셋값 하락에 뒤바뀐 ‘갑-을’…20%가 역전세 계약
    • 입력 2023-01-26 21:26:26
    • 수정2023-01-26 22:03:42
    뉴스 9
[앵커]

전세 가격이 크게 떨어지면서 집주인과 세입자의 입장도 바뀌고 있습니다.

계약이 끝난 세입자를 붙들기 위해 집주인이 떨어진 전세값을 매달 나눠서 주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박진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서초구의 한 아파트.

전용면적 59㎡의 전셋값은 8억 원으로 2년 전보다 20% 떨어졌습니다.

계약이 끝난 집주인들은 기존 세입자를 붙잡으려고 은행 빚을 내 보증금 일부를 되돌려주거나 하락한 전셋값만큼 매달 현금을 주기도 합니다.

이른바 '역월세'입니다.

[인근 부동산 : "차익만큼 이제 돈을 돌려받기를 원하는데, 임차인들이. 돌려주지를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보니까 이제 매달 임대인이 임차인한테 월세 식으로 매달 얼마씩..."]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1년 가까이 하락하고 있고, 최근 낙폭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사이 최근 석 달간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 2만여 건 가운데, 20%가 넘게 2년 전 전세값보다 낮춘 역전세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세 세입자/서울 은평구 : "(세입자 입장에선 가격을) 2억 정도를 낮추고 전세대출금리 자체를 조금만 진행해서 (이자) 부담이 덜 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싶은 거죠."]

이런 현상이 더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세입자들이 최고 6%를 웃도는 전세자금 대출을 받는 것보다 부담이 낮은 월세를 더 선호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지난달 서울에서 월세 비중은 57%로 일곱 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여기에 서울에서만 올해 아파트 2만 6천여 호가 입주를 앞두고 있고,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서울 전역에서 실거주 의무가 폐지되면서 전세 매물은 더 늘어날 수 있습니다.

[여경희/부동산R114 수석연구원 : "입주 물량이 집중되거나 갭투자가 그간 많았던 지역을 중심으로 역전세 현상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부는 집주인의 전세금 반환 자금의 보증 한도를 지금의 두 배인 2억 원으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박진수입니다.

촬영기자:조은경/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석훈 박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