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앵커]
다음 주면, 실내 마스크 착용이 의무에서 권고로 조정됩니다.
사실상 마지막 방역 수단이었던 실내 마스크도 2년여 만에 풀리는 건데요,
자칫, 경각심이 느슨해져 재확산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방역 당국이 대응에 나섰습니다.
보도에 윤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달 들어 대구.경북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8만 7천여 명.
지난달 같은 기간보다 40% 가까이 줄었습니다.
전국적으로도 감소세가 이어지며 전국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도 13주 만에 낮음으로 하향됐습니다.
정부가 예고대로 오는 30일 실내 마스크 착용을 권고로 조정하기로 했습니다.
마스크 착용 의무가 도입된 지 27개월 만입니다.
[지영미/질병관리청장/지난 20일 : "다만, 권고 전환 이후에도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 의료기관, 약국, 대중교통수단 내에서 그리고 감염취약시설 내에서는 착용 의무를 유지합니다."]
교육 당국도 대비에 나섰습니다.
수업 중 실내 마스크 착용은 자율에 맡기지만, 의심 증상이 있거나 합창 수업, 실내 체육관 응원 등 비말 생성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착용을 적극 권고합니다.
[박성철/대구시교육청 보건건강교육담당 : "학교 통학, 현장 체험학습 등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마스크 의무 착용이 유지됩니다."]
대구시와 경북도도 착용 제외 시설에 대한 안내를 강화하고,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백신 접종 홍보에 더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홍윤미/대구시 감염병관리과장 : "아직은 코로나의 위험이 완전히 사라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60세 이상 고령층이나 감염 취약시설 입소자 등 고위험군께서는 동절기 추가 접종을 꼭 받아주시고..."]
2년여 만에 사라지는 마스크 의무화, 자칫 재확산으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 시민들의 적극적인 방역 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KBS 뉴스 윤희정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다음 주면, 실내 마스크 착용이 의무에서 권고로 조정됩니다.
사실상 마지막 방역 수단이었던 실내 마스크도 2년여 만에 풀리는 건데요,
자칫, 경각심이 느슨해져 재확산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방역 당국이 대응에 나섰습니다.
보도에 윤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달 들어 대구.경북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8만 7천여 명.
지난달 같은 기간보다 40% 가까이 줄었습니다.
전국적으로도 감소세가 이어지며 전국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도 13주 만에 낮음으로 하향됐습니다.
정부가 예고대로 오는 30일 실내 마스크 착용을 권고로 조정하기로 했습니다.
마스크 착용 의무가 도입된 지 27개월 만입니다.
[지영미/질병관리청장/지난 20일 : "다만, 권고 전환 이후에도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 의료기관, 약국, 대중교통수단 내에서 그리고 감염취약시설 내에서는 착용 의무를 유지합니다."]
교육 당국도 대비에 나섰습니다.
수업 중 실내 마스크 착용은 자율에 맡기지만, 의심 증상이 있거나 합창 수업, 실내 체육관 응원 등 비말 생성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착용을 적극 권고합니다.
[박성철/대구시교육청 보건건강교육담당 : "학교 통학, 현장 체험학습 등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마스크 의무 착용이 유지됩니다."]
대구시와 경북도도 착용 제외 시설에 대한 안내를 강화하고,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백신 접종 홍보에 더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홍윤미/대구시 감염병관리과장 : "아직은 코로나의 위험이 완전히 사라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60세 이상 고령층이나 감염 취약시설 입소자 등 고위험군께서는 동절기 추가 접종을 꼭 받아주시고..."]
2년여 만에 사라지는 마스크 의무화, 자칫 재확산으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 시민들의 적극적인 방역 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KBS 뉴스 윤희정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 임박한 ‘탈(脫) 마스크’…대구·경북 학교·지자체 대비는?
-
- 입력 2023-01-27 21:47:04
- 수정2023-01-27 22:06:58

[앵커]
다음 주면, 실내 마스크 착용이 의무에서 권고로 조정됩니다.
사실상 마지막 방역 수단이었던 실내 마스크도 2년여 만에 풀리는 건데요,
자칫, 경각심이 느슨해져 재확산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방역 당국이 대응에 나섰습니다.
보도에 윤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달 들어 대구.경북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8만 7천여 명.
지난달 같은 기간보다 40% 가까이 줄었습니다.
전국적으로도 감소세가 이어지며 전국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도 13주 만에 낮음으로 하향됐습니다.
정부가 예고대로 오는 30일 실내 마스크 착용을 권고로 조정하기로 했습니다.
마스크 착용 의무가 도입된 지 27개월 만입니다.
[지영미/질병관리청장/지난 20일 : "다만, 권고 전환 이후에도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 의료기관, 약국, 대중교통수단 내에서 그리고 감염취약시설 내에서는 착용 의무를 유지합니다."]
교육 당국도 대비에 나섰습니다.
수업 중 실내 마스크 착용은 자율에 맡기지만, 의심 증상이 있거나 합창 수업, 실내 체육관 응원 등 비말 생성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착용을 적극 권고합니다.
[박성철/대구시교육청 보건건강교육담당 : "학교 통학, 현장 체험학습 등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마스크 의무 착용이 유지됩니다."]
대구시와 경북도도 착용 제외 시설에 대한 안내를 강화하고,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백신 접종 홍보에 더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홍윤미/대구시 감염병관리과장 : "아직은 코로나의 위험이 완전히 사라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60세 이상 고령층이나 감염 취약시설 입소자 등 고위험군께서는 동절기 추가 접종을 꼭 받아주시고..."]
2년여 만에 사라지는 마스크 의무화, 자칫 재확산으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 시민들의 적극적인 방역 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KBS 뉴스 윤희정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다음 주면, 실내 마스크 착용이 의무에서 권고로 조정됩니다.
사실상 마지막 방역 수단이었던 실내 마스크도 2년여 만에 풀리는 건데요,
자칫, 경각심이 느슨해져 재확산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방역 당국이 대응에 나섰습니다.
보도에 윤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달 들어 대구.경북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8만 7천여 명.
지난달 같은 기간보다 40% 가까이 줄었습니다.
전국적으로도 감소세가 이어지며 전국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도 13주 만에 낮음으로 하향됐습니다.
정부가 예고대로 오는 30일 실내 마스크 착용을 권고로 조정하기로 했습니다.
마스크 착용 의무가 도입된 지 27개월 만입니다.
[지영미/질병관리청장/지난 20일 : "다만, 권고 전환 이후에도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 의료기관, 약국, 대중교통수단 내에서 그리고 감염취약시설 내에서는 착용 의무를 유지합니다."]
교육 당국도 대비에 나섰습니다.
수업 중 실내 마스크 착용은 자율에 맡기지만, 의심 증상이 있거나 합창 수업, 실내 체육관 응원 등 비말 생성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착용을 적극 권고합니다.
[박성철/대구시교육청 보건건강교육담당 : "학교 통학, 현장 체험학습 등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마스크 의무 착용이 유지됩니다."]
대구시와 경북도도 착용 제외 시설에 대한 안내를 강화하고,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백신 접종 홍보에 더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홍윤미/대구시 감염병관리과장 : "아직은 코로나의 위험이 완전히 사라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60세 이상 고령층이나 감염 취약시설 입소자 등 고위험군께서는 동절기 추가 접종을 꼭 받아주시고..."]
2년여 만에 사라지는 마스크 의무화, 자칫 재확산으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 시민들의 적극적인 방역 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KBS 뉴스 윤희정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뉴스9(대구)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윤희정 기자 yooni@kbs.co.kr
윤희정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