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앵커]
오늘부터 대중교통과 병원 등을 제외하고 실내 마스크 착용이 권고로 전환됐습니다.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한 지 27개월 만입니다.
김세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코로나19 유행 3년동안 한몸처럼 지냈던 마스크, 오늘 0시부터 착용 의무가 권고로 바뀌었습니다.
학교와 유치원, 어린이집은 물론 경로당과 헬스장에서도 의무가 아닌 자율입니다.
[장상윤/교육부 차관 : "3년여 만에 우리 아이들이 마스크를 벗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사항이 학교와 학원 등 교육 현장에서 혼란 없이 정착될 수 있도록..."]
2020년 10월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한 뒤, 2022년 9월에 실외에선 자율로 바뀌었지만 실내에선 27개월간 의무사항이었습니다.
이동량이 많았던 설 연휴 이후 신규 확진자가 다시 늘기도 했지만, 방역당국은 최근 감염재생산지수가 0.77까지 떨어지는 등 방역 지표를 안정적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조규홍/보건복지부 장관/지난 27일 : "(코로나19 유행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하루라도 빨리 일상을 돌려드릴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남은 코로나19 방역조치는 '확진자 7일 격리' 정도입니다.
정부는 세계보건기구가 코로나19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해제한 이후에나, 확진자 격리 의무 조정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입니다.
KBS 뉴스 김세정입니다.
촬영기자:임태호/영상편집:김선영
오늘부터 대중교통과 병원 등을 제외하고 실내 마스크 착용이 권고로 전환됐습니다.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한 지 27개월 만입니다.
김세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코로나19 유행 3년동안 한몸처럼 지냈던 마스크, 오늘 0시부터 착용 의무가 권고로 바뀌었습니다.
학교와 유치원, 어린이집은 물론 경로당과 헬스장에서도 의무가 아닌 자율입니다.
[장상윤/교육부 차관 : "3년여 만에 우리 아이들이 마스크를 벗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사항이 학교와 학원 등 교육 현장에서 혼란 없이 정착될 수 있도록..."]
2020년 10월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한 뒤, 2022년 9월에 실외에선 자율로 바뀌었지만 실내에선 27개월간 의무사항이었습니다.
이동량이 많았던 설 연휴 이후 신규 확진자가 다시 늘기도 했지만, 방역당국은 최근 감염재생산지수가 0.77까지 떨어지는 등 방역 지표를 안정적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조규홍/보건복지부 장관/지난 27일 : "(코로나19 유행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하루라도 빨리 일상을 돌려드릴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남은 코로나19 방역조치는 '확진자 7일 격리' 정도입니다.
정부는 세계보건기구가 코로나19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해제한 이후에나, 확진자 격리 의무 조정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입니다.
KBS 뉴스 김세정입니다.
촬영기자:임태호/영상편집:김선영
- 27개월 만에 마스크 자율로…‘확진자 7일 격리’만 남아
-
- 입력 2023-01-30 06:03:13
- 수정2023-01-30 09:17:35

[앵커]
오늘부터 대중교통과 병원 등을 제외하고 실내 마스크 착용이 권고로 전환됐습니다.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한 지 27개월 만입니다.
김세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코로나19 유행 3년동안 한몸처럼 지냈던 마스크, 오늘 0시부터 착용 의무가 권고로 바뀌었습니다.
학교와 유치원, 어린이집은 물론 경로당과 헬스장에서도 의무가 아닌 자율입니다.
[장상윤/교육부 차관 : "3년여 만에 우리 아이들이 마스크를 벗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사항이 학교와 학원 등 교육 현장에서 혼란 없이 정착될 수 있도록..."]
2020년 10월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한 뒤, 2022년 9월에 실외에선 자율로 바뀌었지만 실내에선 27개월간 의무사항이었습니다.
이동량이 많았던 설 연휴 이후 신규 확진자가 다시 늘기도 했지만, 방역당국은 최근 감염재생산지수가 0.77까지 떨어지는 등 방역 지표를 안정적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조규홍/보건복지부 장관/지난 27일 : "(코로나19 유행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하루라도 빨리 일상을 돌려드릴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남은 코로나19 방역조치는 '확진자 7일 격리' 정도입니다.
정부는 세계보건기구가 코로나19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해제한 이후에나, 확진자 격리 의무 조정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입니다.
KBS 뉴스 김세정입니다.
촬영기자:임태호/영상편집:김선영
오늘부터 대중교통과 병원 등을 제외하고 실내 마스크 착용이 권고로 전환됐습니다.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한 지 27개월 만입니다.
김세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코로나19 유행 3년동안 한몸처럼 지냈던 마스크, 오늘 0시부터 착용 의무가 권고로 바뀌었습니다.
학교와 유치원, 어린이집은 물론 경로당과 헬스장에서도 의무가 아닌 자율입니다.
[장상윤/교육부 차관 : "3년여 만에 우리 아이들이 마스크를 벗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사항이 학교와 학원 등 교육 현장에서 혼란 없이 정착될 수 있도록..."]
2020년 10월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한 뒤, 2022년 9월에 실외에선 자율로 바뀌었지만 실내에선 27개월간 의무사항이었습니다.
이동량이 많았던 설 연휴 이후 신규 확진자가 다시 늘기도 했지만, 방역당국은 최근 감염재생산지수가 0.77까지 떨어지는 등 방역 지표를 안정적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조규홍/보건복지부 장관/지난 27일 : "(코로나19 유행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하루라도 빨리 일상을 돌려드릴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남은 코로나19 방역조치는 '확진자 7일 격리' 정도입니다.
정부는 세계보건기구가 코로나19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해제한 이후에나, 확진자 격리 의무 조정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입니다.
KBS 뉴스 김세정입니다.
촬영기자:임태호/영상편집:김선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세정 기자 mabelle@kbs.co.kr
김세정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