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백화점 외국인 매출↑…명품 구매 늘고 ‘K팝’ 성지로
입력 2023.02.07 (10:06) 수정 2023.02.07 (10:07) 경제
해외여행이 재개되면서 백화점에서 명품을 구매하는 외국인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갤러리아는 최근 여섯달 간 명품관 외국인 매출이 1년 전보다 500% 이상 올랐다고 오늘(7일) 밝혔습니다.
코로나 사태 이전에는 외국인 매출이 전체 명품관 매출의 15% 이상을 차지했지만, 코로나 사태 장기화로 1% 이하까지 떨어지기도 했다고, 갤러리아는 설명했습니다.
명품관은 최근 6개월간 외국인 매출 비중이 5% 이상까지 올라왔는데 주요 외국인 소비자 국적은 중국, 동남아, 미국, 일본 순입니다.
지난해 하반기 말부터 중국 소비자가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인데, 외국인 주요 쇼핑 품목은 명품이 압도적이었습니다.
현대백화점은 더현대 서울의 지난해 8월∼올해 1월 외국인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42.8%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현대백화점은 더현대 서울이 ‘K팝 성지’로 입소문을 타며 미국, 일본, 동남아 관광객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더현대 서울은 위챗 등 해외 소셜미디어(SNS) 계정을 통해 홍보하고 서울관광재단과 홍콩, 대만, 말레이시아 여행사를 초청하는 프로그램도 진행 중입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한국에 입국한 외국인 관광객은 53만 9,273명으로 1년 전보다 498.2% 증가했습니다.
국가별로 보면 일본인이 8만 4,175명으로 전년보다 8,259% 늘어 가장 많았고, 이어 싱가포르(5만 711명), 태국(4만 1,026명), 대만(2만9,066명), 중국(2만7,367명), 홍콩(2만7,146명) 순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갤러리아 제공]
갤러리아는 최근 여섯달 간 명품관 외국인 매출이 1년 전보다 500% 이상 올랐다고 오늘(7일) 밝혔습니다.
코로나 사태 이전에는 외국인 매출이 전체 명품관 매출의 15% 이상을 차지했지만, 코로나 사태 장기화로 1% 이하까지 떨어지기도 했다고, 갤러리아는 설명했습니다.
명품관은 최근 6개월간 외국인 매출 비중이 5% 이상까지 올라왔는데 주요 외국인 소비자 국적은 중국, 동남아, 미국, 일본 순입니다.
지난해 하반기 말부터 중국 소비자가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인데, 외국인 주요 쇼핑 품목은 명품이 압도적이었습니다.
현대백화점은 더현대 서울의 지난해 8월∼올해 1월 외국인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42.8%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현대백화점은 더현대 서울이 ‘K팝 성지’로 입소문을 타며 미국, 일본, 동남아 관광객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더현대 서울은 위챗 등 해외 소셜미디어(SNS) 계정을 통해 홍보하고 서울관광재단과 홍콩, 대만, 말레이시아 여행사를 초청하는 프로그램도 진행 중입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한국에 입국한 외국인 관광객은 53만 9,273명으로 1년 전보다 498.2% 증가했습니다.
국가별로 보면 일본인이 8만 4,175명으로 전년보다 8,259% 늘어 가장 많았고, 이어 싱가포르(5만 711명), 태국(4만 1,026명), 대만(2만9,066명), 중국(2만7,367명), 홍콩(2만7,146명) 순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갤러리아 제공]
- 백화점 외국인 매출↑…명품 구매 늘고 ‘K팝’ 성지로
-
- 입력 2023-02-07 10:06:59
- 수정2023-02-07 10:07:33

해외여행이 재개되면서 백화점에서 명품을 구매하는 외국인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갤러리아는 최근 여섯달 간 명품관 외국인 매출이 1년 전보다 500% 이상 올랐다고 오늘(7일) 밝혔습니다.
코로나 사태 이전에는 외국인 매출이 전체 명품관 매출의 15% 이상을 차지했지만, 코로나 사태 장기화로 1% 이하까지 떨어지기도 했다고, 갤러리아는 설명했습니다.
명품관은 최근 6개월간 외국인 매출 비중이 5% 이상까지 올라왔는데 주요 외국인 소비자 국적은 중국, 동남아, 미국, 일본 순입니다.
지난해 하반기 말부터 중국 소비자가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인데, 외국인 주요 쇼핑 품목은 명품이 압도적이었습니다.
현대백화점은 더현대 서울의 지난해 8월∼올해 1월 외국인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42.8%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현대백화점은 더현대 서울이 ‘K팝 성지’로 입소문을 타며 미국, 일본, 동남아 관광객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더현대 서울은 위챗 등 해외 소셜미디어(SNS) 계정을 통해 홍보하고 서울관광재단과 홍콩, 대만, 말레이시아 여행사를 초청하는 프로그램도 진행 중입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한국에 입국한 외국인 관광객은 53만 9,273명으로 1년 전보다 498.2% 증가했습니다.
국가별로 보면 일본인이 8만 4,175명으로 전년보다 8,259% 늘어 가장 많았고, 이어 싱가포르(5만 711명), 태국(4만 1,026명), 대만(2만9,066명), 중국(2만7,367명), 홍콩(2만7,146명) 순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갤러리아 제공]
갤러리아는 최근 여섯달 간 명품관 외국인 매출이 1년 전보다 500% 이상 올랐다고 오늘(7일) 밝혔습니다.
코로나 사태 이전에는 외국인 매출이 전체 명품관 매출의 15% 이상을 차지했지만, 코로나 사태 장기화로 1% 이하까지 떨어지기도 했다고, 갤러리아는 설명했습니다.
명품관은 최근 6개월간 외국인 매출 비중이 5% 이상까지 올라왔는데 주요 외국인 소비자 국적은 중국, 동남아, 미국, 일본 순입니다.
지난해 하반기 말부터 중국 소비자가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인데, 외국인 주요 쇼핑 품목은 명품이 압도적이었습니다.
현대백화점은 더현대 서울의 지난해 8월∼올해 1월 외국인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42.8%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현대백화점은 더현대 서울이 ‘K팝 성지’로 입소문을 타며 미국, 일본, 동남아 관광객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더현대 서울은 위챗 등 해외 소셜미디어(SNS) 계정을 통해 홍보하고 서울관광재단과 홍콩, 대만, 말레이시아 여행사를 초청하는 프로그램도 진행 중입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한국에 입국한 외국인 관광객은 53만 9,273명으로 1년 전보다 498.2% 증가했습니다.
국가별로 보면 일본인이 8만 4,175명으로 전년보다 8,259% 늘어 가장 많았고, 이어 싱가포르(5만 711명), 태국(4만 1,026명), 대만(2만9,066명), 중국(2만7,367명), 홍콩(2만7,146명) 순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갤러리아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 정보
-
-
장혁진 기자 analogue@kbs.co.kr
장혁진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