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아파트 “휠체어 이동권 보장 vs 자전거 안전 우선” 논란 왜?
입력 2023.02.09 (19:30) 수정 2023.02.09 (19:45) 뉴스 7
[앵커]
한 아파트 단지에서 인도의 경계석 철거 문제로 주민 간 갈등이 격화돼, 지자체를 넘어 인권위까지 개입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장애인 이동권' 문제가 갈등의 불씨가 됐는데, 여느 아파트든 비슷한 일이 반복될 수 있어 보입니다.
김우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체장애인 채정균 씨가 사는 아파트 인도엔 경계석이 있습니다.
약 12cm, 휠체어가 넘기 힘든 높이입니다.
[ "또 돌아가야 되네…."]
가까운 길을 두고 빙 돌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아이고 힘들다."]
매번 차를 타고 내릴 때마다 휠체어로 차도를 오가야 합니다.
이곳 아파트 단지의 장애인주차구역은 이렇게 3면이 경계석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휠체어를 타고 아파트 주 출입구로 가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차도를 지나쳐야 하는 구조입니다.
채 씨는 아파트 단지에 경계석 철거를 요청했습니다.
[채정균/국가인권위원회 진정인 : "저도 주민들에게 죄송하기도 하고, 또 주민들도 늘 매일 아침 그런 것을 주의해야 한다라는 그런 불편함이 있지 않겠습니까."]
입주자대표회의는 거절했습니다.
경계석을 없애면 아이들이 차도에 쉽게 들어가 사고 위험이 커진다는 이유였습니다.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 회장 : "전동 킥보드라든지 인라인 스케이트라든지 그런 걸 봄, 여름, 가을 되면 상당히 많이 탑니다. 애들이 안전상의 위험이 너무나 있다고…."]
채 씨는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고, 인권위는 "경계석을 없애서 얻는 공익이 더 크다"며 아파트 측에 구조 개선을 권고했습니다.
관할 구청도 공사비를 내겠다며 중재에 나섰지만, 입주자대표회의 측은 다시 같은 이유로 거부했습니다.
장애인 통행을 가로막는 시설은 장애인차별법 위반이지만, 관련 규정이 담긴 2009년도 이전에 사용승인이 난 아파트에는 소급 적용되진 않습니다.
[대구시 수성구청 관계자 : "진짜 고민도 많이 하고,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했는데도 이게 방법이 안 나오더라고요."]
지난 2018년부터 4년간 장애인 이동권을 침해당했다며, 인권위에 진정된 건수는 440건이 넘습니다.
KBS 뉴스 김우준 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김지혜
한 아파트 단지에서 인도의 경계석 철거 문제로 주민 간 갈등이 격화돼, 지자체를 넘어 인권위까지 개입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장애인 이동권' 문제가 갈등의 불씨가 됐는데, 여느 아파트든 비슷한 일이 반복될 수 있어 보입니다.
김우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체장애인 채정균 씨가 사는 아파트 인도엔 경계석이 있습니다.
약 12cm, 휠체어가 넘기 힘든 높이입니다.
[ "또 돌아가야 되네…."]
가까운 길을 두고 빙 돌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아이고 힘들다."]
매번 차를 타고 내릴 때마다 휠체어로 차도를 오가야 합니다.
이곳 아파트 단지의 장애인주차구역은 이렇게 3면이 경계석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휠체어를 타고 아파트 주 출입구로 가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차도를 지나쳐야 하는 구조입니다.
채 씨는 아파트 단지에 경계석 철거를 요청했습니다.
[채정균/국가인권위원회 진정인 : "저도 주민들에게 죄송하기도 하고, 또 주민들도 늘 매일 아침 그런 것을 주의해야 한다라는 그런 불편함이 있지 않겠습니까."]
입주자대표회의는 거절했습니다.
경계석을 없애면 아이들이 차도에 쉽게 들어가 사고 위험이 커진다는 이유였습니다.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 회장 : "전동 킥보드라든지 인라인 스케이트라든지 그런 걸 봄, 여름, 가을 되면 상당히 많이 탑니다. 애들이 안전상의 위험이 너무나 있다고…."]
채 씨는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고, 인권위는 "경계석을 없애서 얻는 공익이 더 크다"며 아파트 측에 구조 개선을 권고했습니다.
관할 구청도 공사비를 내겠다며 중재에 나섰지만, 입주자대표회의 측은 다시 같은 이유로 거부했습니다.
장애인 통행을 가로막는 시설은 장애인차별법 위반이지만, 관련 규정이 담긴 2009년도 이전에 사용승인이 난 아파트에는 소급 적용되진 않습니다.
[대구시 수성구청 관계자 : "진짜 고민도 많이 하고,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했는데도 이게 방법이 안 나오더라고요."]
지난 2018년부터 4년간 장애인 이동권을 침해당했다며, 인권위에 진정된 건수는 440건이 넘습니다.
KBS 뉴스 김우준 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김지혜
- 아파트 “휠체어 이동권 보장 vs 자전거 안전 우선” 논란 왜?
-
- 입력 2023-02-09 19:30:10
- 수정2023-02-09 19:45:09

[앵커]
한 아파트 단지에서 인도의 경계석 철거 문제로 주민 간 갈등이 격화돼, 지자체를 넘어 인권위까지 개입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장애인 이동권' 문제가 갈등의 불씨가 됐는데, 여느 아파트든 비슷한 일이 반복될 수 있어 보입니다.
김우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체장애인 채정균 씨가 사는 아파트 인도엔 경계석이 있습니다.
약 12cm, 휠체어가 넘기 힘든 높이입니다.
[ "또 돌아가야 되네…."]
가까운 길을 두고 빙 돌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아이고 힘들다."]
매번 차를 타고 내릴 때마다 휠체어로 차도를 오가야 합니다.
이곳 아파트 단지의 장애인주차구역은 이렇게 3면이 경계석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휠체어를 타고 아파트 주 출입구로 가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차도를 지나쳐야 하는 구조입니다.
채 씨는 아파트 단지에 경계석 철거를 요청했습니다.
[채정균/국가인권위원회 진정인 : "저도 주민들에게 죄송하기도 하고, 또 주민들도 늘 매일 아침 그런 것을 주의해야 한다라는 그런 불편함이 있지 않겠습니까."]
입주자대표회의는 거절했습니다.
경계석을 없애면 아이들이 차도에 쉽게 들어가 사고 위험이 커진다는 이유였습니다.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 회장 : "전동 킥보드라든지 인라인 스케이트라든지 그런 걸 봄, 여름, 가을 되면 상당히 많이 탑니다. 애들이 안전상의 위험이 너무나 있다고…."]
채 씨는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고, 인권위는 "경계석을 없애서 얻는 공익이 더 크다"며 아파트 측에 구조 개선을 권고했습니다.
관할 구청도 공사비를 내겠다며 중재에 나섰지만, 입주자대표회의 측은 다시 같은 이유로 거부했습니다.
장애인 통행을 가로막는 시설은 장애인차별법 위반이지만, 관련 규정이 담긴 2009년도 이전에 사용승인이 난 아파트에는 소급 적용되진 않습니다.
[대구시 수성구청 관계자 : "진짜 고민도 많이 하고,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했는데도 이게 방법이 안 나오더라고요."]
지난 2018년부터 4년간 장애인 이동권을 침해당했다며, 인권위에 진정된 건수는 440건이 넘습니다.
KBS 뉴스 김우준 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김지혜
한 아파트 단지에서 인도의 경계석 철거 문제로 주민 간 갈등이 격화돼, 지자체를 넘어 인권위까지 개입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장애인 이동권' 문제가 갈등의 불씨가 됐는데, 여느 아파트든 비슷한 일이 반복될 수 있어 보입니다.
김우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체장애인 채정균 씨가 사는 아파트 인도엔 경계석이 있습니다.
약 12cm, 휠체어가 넘기 힘든 높이입니다.
[ "또 돌아가야 되네…."]
가까운 길을 두고 빙 돌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아이고 힘들다."]
매번 차를 타고 내릴 때마다 휠체어로 차도를 오가야 합니다.
이곳 아파트 단지의 장애인주차구역은 이렇게 3면이 경계석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휠체어를 타고 아파트 주 출입구로 가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차도를 지나쳐야 하는 구조입니다.
채 씨는 아파트 단지에 경계석 철거를 요청했습니다.
[채정균/국가인권위원회 진정인 : "저도 주민들에게 죄송하기도 하고, 또 주민들도 늘 매일 아침 그런 것을 주의해야 한다라는 그런 불편함이 있지 않겠습니까."]
입주자대표회의는 거절했습니다.
경계석을 없애면 아이들이 차도에 쉽게 들어가 사고 위험이 커진다는 이유였습니다.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 회장 : "전동 킥보드라든지 인라인 스케이트라든지 그런 걸 봄, 여름, 가을 되면 상당히 많이 탑니다. 애들이 안전상의 위험이 너무나 있다고…."]
채 씨는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고, 인권위는 "경계석을 없애서 얻는 공익이 더 크다"며 아파트 측에 구조 개선을 권고했습니다.
관할 구청도 공사비를 내겠다며 중재에 나섰지만, 입주자대표회의 측은 다시 같은 이유로 거부했습니다.
장애인 통행을 가로막는 시설은 장애인차별법 위반이지만, 관련 규정이 담긴 2009년도 이전에 사용승인이 난 아파트에는 소급 적용되진 않습니다.
[대구시 수성구청 관계자 : "진짜 고민도 많이 하고,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했는데도 이게 방법이 안 나오더라고요."]
지난 2018년부터 4년간 장애인 이동권을 침해당했다며, 인권위에 진정된 건수는 440건이 넘습니다.
KBS 뉴스 김우준 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7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우준 기자 universen@kbs.co.kr
김우준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