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강진, 7,400km 떨어진 우리나라 지하수 수위에도 영향”

입력 2023.02.14 (17:26) 수정 2023.02.14 (17: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튀르키예 강진, 7,400km 떨어진 우리나라 지하수 수위에도 영향

이번 튀르키예 강진은 지진 발생지로부터 7,400km나 떨어진 우리나라의 지반뿐만 아니라 지하수 수위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이평구, KIGAM) 이수형 박사 연구팀은 지난 6일(현지 시간) 발생한 튀르키예 강진의 본진(규모 7.8)과 여진(규모 7.5) 이후 국내 지하수 관측정 11곳 가운데 2곳(경북 문경, 강원도 강릉)에서 지진파와 지하수 수위의 변화를 감지했습니다. 지진 발생 11분 만에 지진파가 감지됐고, 이후 30여 분 동안 지하수 수위가 계속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경북 문경 관측정에서는 본진 이후 지하수 수위의 7cm 상승과 여진에 따른 3cm 수위 하강을, 강릉 관측정에서는 본진 이후 3cm의 수위 상승을 탐지했습니다.


■ 왜 지하수 수위에 변화가 일어났을까?
지진이 일어나면 지진파에 의해 지하수가 있는 대수층 주변의 암석들에 압력이 가해지고 대수층에 압축과 팽창이 발생해 지하수 수위는 상승과 하강의 반복현상(오실레이션: oscillation)이 일어납니다.

※ 대수층(aquifer): 지하수를 함유한 지층으로 모래, 자갈, 실트, 점토 등 공극량이 많은 것으로 구성된다. 모래, 자갈, 사력의 혼합물은 공극의 크기도 커서 지하수가 잘 유동하는 반면에 실트나 점토는 공극의 크기가 작아서 지하수 이동이 어렵다.

특히 문경 관측정에서는 튀르키예 강진의 본진과 여진에 따른 지하수 수위 여파가 뚜렷하게 감지됐습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지진-지하수 변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이수형 박사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규모 7.5 이상의 지진이 7,000km 이상 떨어진 국내 지하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 그동안 발생한 해외 강진도 국내 지하수에 변화 줬나?

그동안 연구팀은 인도네시아 강진(2010년, 규모 7.7), 동일본 대지진(2011년, 규모 9.0), 네팔 강진(2015년, 규모 7.8)은 물론 9,300km 떨어진 뉴질랜드 강진(2021년, 규모 7.8) 당시에도 지하수 수위 변화를 관측하고 연구해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바 있습니다.

연구팀은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면 지하수의 급격한 유동으로 유출과 유입이 불규칙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며, 지하수가 풍부한 대수층이나 방사성폐기물 부지 및 오염 지역 등 지중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곳은 지진-지하수 연계 점검을 통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수형 박사는 “이번 관측 연구를 통해 강진이 발생하면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지각의 흔들림뿐만 아니라 지하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했다”며 “지진과 연계한 지하수 관측과 분석 연구를 꾸준히 수행해 보이지 않는 보물인 지하수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석희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환경연구센터장은 "고위험시설인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부지를 선정할 때 그런 안정성하고도 저희가 연관해서 지속적으로 이런 모니터링 연구를 수행해야 된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평구 원장은 “지진은 예측은 불가능하지만 다학제적 지진기술을 적용한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비가 가능하다”며 “지진의 탐지와 고지진 분석, 지표지질탐사, 지하수 수위 변화 등의 지진대비 기술을 통해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나가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튀르키예 강진, 7,400km 떨어진 우리나라 지하수 수위에도 영향”
    • 입력 2023-02-14 17:26:42
    • 수정2023-02-14 17:27:05
    취재K

■ 튀르키예 강진, 7,400km 떨어진 우리나라 지하수 수위에도 영향

이번 튀르키예 강진은 지진 발생지로부터 7,400km나 떨어진 우리나라의 지반뿐만 아니라 지하수 수위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이평구, KIGAM) 이수형 박사 연구팀은 지난 6일(현지 시간) 발생한 튀르키예 강진의 본진(규모 7.8)과 여진(규모 7.5) 이후 국내 지하수 관측정 11곳 가운데 2곳(경북 문경, 강원도 강릉)에서 지진파와 지하수 수위의 변화를 감지했습니다. 지진 발생 11분 만에 지진파가 감지됐고, 이후 30여 분 동안 지하수 수위가 계속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경북 문경 관측정에서는 본진 이후 지하수 수위의 7cm 상승과 여진에 따른 3cm 수위 하강을, 강릉 관측정에서는 본진 이후 3cm의 수위 상승을 탐지했습니다.


■ 왜 지하수 수위에 변화가 일어났을까?
지진이 일어나면 지진파에 의해 지하수가 있는 대수층 주변의 암석들에 압력이 가해지고 대수층에 압축과 팽창이 발생해 지하수 수위는 상승과 하강의 반복현상(오실레이션: oscillation)이 일어납니다.

※ 대수층(aquifer): 지하수를 함유한 지층으로 모래, 자갈, 실트, 점토 등 공극량이 많은 것으로 구성된다. 모래, 자갈, 사력의 혼합물은 공극의 크기도 커서 지하수가 잘 유동하는 반면에 실트나 점토는 공극의 크기가 작아서 지하수 이동이 어렵다.

특히 문경 관측정에서는 튀르키예 강진의 본진과 여진에 따른 지하수 수위 여파가 뚜렷하게 감지됐습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지진-지하수 변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이수형 박사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규모 7.5 이상의 지진이 7,000km 이상 떨어진 국내 지하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 그동안 발생한 해외 강진도 국내 지하수에 변화 줬나?

그동안 연구팀은 인도네시아 강진(2010년, 규모 7.7), 동일본 대지진(2011년, 규모 9.0), 네팔 강진(2015년, 규모 7.8)은 물론 9,300km 떨어진 뉴질랜드 강진(2021년, 규모 7.8) 당시에도 지하수 수위 변화를 관측하고 연구해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바 있습니다.

연구팀은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면 지하수의 급격한 유동으로 유출과 유입이 불규칙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며, 지하수가 풍부한 대수층이나 방사성폐기물 부지 및 오염 지역 등 지중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곳은 지진-지하수 연계 점검을 통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수형 박사는 “이번 관측 연구를 통해 강진이 발생하면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지각의 흔들림뿐만 아니라 지하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했다”며 “지진과 연계한 지하수 관측과 분석 연구를 꾸준히 수행해 보이지 않는 보물인 지하수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석희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환경연구센터장은 "고위험시설인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부지를 선정할 때 그런 안정성하고도 저희가 연관해서 지속적으로 이런 모니터링 연구를 수행해야 된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평구 원장은 “지진은 예측은 불가능하지만 다학제적 지진기술을 적용한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비가 가능하다”며 “지진의 탐지와 고지진 분석, 지표지질탐사, 지하수 수위 변화 등의 지진대비 기술을 통해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나가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