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안동 하회탈·병산탈 보존처리…나무 종류 확인

입력 2023.02.23 (10:04) 수정 2023.02.23 (10: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가 국보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의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를 마쳤다고 밝혔습니다.

국보로 지정된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은 하회탈 11점과 병산탈 2점 등 모두 13점입니다.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마을에서 조선 후기까지 하회별신굿탈놀이에 사용했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안동 하회마을에서 관리하다가 1964년 국보로 지정된 뒤 국립중앙박물관과 안동시립박물관에서 관리해 왔습니다.

2020년 정기조사 당시 시간이 흘러 표면에 이물질이 두껍게 달라붙어 있거나 일부 안료가 들뜨고 나무가 갈라지는 등 부분적으로 손상이 확인됐습니다.

이에 따라 기탁자인 하회마을보존회와 협의해 2021년 8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문화재보존과학센터에서 정밀 상태조사와 과학적 분석, 보존처리를 진행했습니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X선과 적외선 촬영을 통해 유물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고,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밑그림과 보수 흔적을 확인했습니다.

X선 형광분석기(XRF)와 X선 회절분석기(XRD)를 이용해 탈의 표면에 사용된 안료를 분석한 결과, 하회탈에 사용된 채색안료 가운데 주홍빛을 띠는 안료는 연단(Pb3O4), 백색안료는 연백(2PbCO3·Pb(OH)2), 볼과 이마에 찍힌 연지곤지의 적색은 진사(HgS)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또 현미경으로 탈의 나무 종류를 분석한 결과, 하회탈 중 주지(암, 수) 2점은 소나무류로 확인됐고, 나머지 하회탈 9점과 병산탈 2점은 기존에 오리나무로 알려졌던 것과 달리 실제로는 버드나무속 목재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과학적 조사 이후에는 탈의 표면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건식과 습식 방법으로 세척을 진행했고, 들뜬 안료 표면에 저농도 아교를 마르는 안정화 작업, 갈라진 목재의 접합, 결손부 복원의 순서로 보존처리를 했습니다.

특히 결손부 복원은 곤충에 의해 손상된 부분과 과거에 손상돼 보수된 부분 중에서 열화된 재료를 제거한 뒤 에폭시 수지를 새로 채워 넣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병산탈(을)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전시하기 위해 3차원 출력(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가볍고 안전한 받침대를 제작했습니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 내용을 담은 보존처리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며, 보존처리를 마친 안동 하회탈과 병산탈은 현재 안동시립박물관 전시실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보 안동 하회탈·병산탈 보존처리…나무 종류 확인
    • 입력 2023-02-23 10:04:17
    • 수정2023-02-23 10:05:55
    문화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가 국보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의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를 마쳤다고 밝혔습니다.

국보로 지정된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은 하회탈 11점과 병산탈 2점 등 모두 13점입니다.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마을에서 조선 후기까지 하회별신굿탈놀이에 사용했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안동 하회마을에서 관리하다가 1964년 국보로 지정된 뒤 국립중앙박물관과 안동시립박물관에서 관리해 왔습니다.

2020년 정기조사 당시 시간이 흘러 표면에 이물질이 두껍게 달라붙어 있거나 일부 안료가 들뜨고 나무가 갈라지는 등 부분적으로 손상이 확인됐습니다.

이에 따라 기탁자인 하회마을보존회와 협의해 2021년 8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문화재보존과학센터에서 정밀 상태조사와 과학적 분석, 보존처리를 진행했습니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X선과 적외선 촬영을 통해 유물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고,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밑그림과 보수 흔적을 확인했습니다.

X선 형광분석기(XRF)와 X선 회절분석기(XRD)를 이용해 탈의 표면에 사용된 안료를 분석한 결과, 하회탈에 사용된 채색안료 가운데 주홍빛을 띠는 안료는 연단(Pb3O4), 백색안료는 연백(2PbCO3·Pb(OH)2), 볼과 이마에 찍힌 연지곤지의 적색은 진사(HgS)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또 현미경으로 탈의 나무 종류를 분석한 결과, 하회탈 중 주지(암, 수) 2점은 소나무류로 확인됐고, 나머지 하회탈 9점과 병산탈 2점은 기존에 오리나무로 알려졌던 것과 달리 실제로는 버드나무속 목재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과학적 조사 이후에는 탈의 표면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건식과 습식 방법으로 세척을 진행했고, 들뜬 안료 표면에 저농도 아교를 마르는 안정화 작업, 갈라진 목재의 접합, 결손부 복원의 순서로 보존처리를 했습니다.

특히 결손부 복원은 곤충에 의해 손상된 부분과 과거에 손상돼 보수된 부분 중에서 열화된 재료를 제거한 뒤 에폭시 수지를 새로 채워 넣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병산탈(을)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전시하기 위해 3차원 출력(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가볍고 안전한 받침대를 제작했습니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 내용을 담은 보존처리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며, 보존처리를 마친 안동 하회탈과 병산탈은 현재 안동시립박물관 전시실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