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제주 제2공항 분수령 임박…“주민투표”·“정상 추진”
입력 2023.03.03 (07:38) 수정 2023.03.03 (08:26) 뉴스광장(제주)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제주 최대 현안인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에 대한 환경부 협의 결과 발표가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반대 단체에서는 제2공항 갈등해결을 위해 주민투표를 요구하고 나섰고, 찬성 측에서 정상추진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5년 발표 이후, 8년째 찬반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제2공항 사업.

최근 환경부가 중점평가사업 지정을 거부한 데 이어, 전략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최종 검토 결과 발표도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도민이 결정한다! 주민투표 실시하라!"]

환경부의 결정을 앞두고 제2공항 반대단체가 주민투표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오영훈 지사가 제2공항 갈등과 관련해 도민결정권을 강조해 온 만큼, 주민투표법 제8조에 따라 제주도가 국토부에 주민투표를 요구해야 한다는 겁니다.

[이양신/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 상임대표 : "제2공항으로 쌓여온 해묵은 갈등과 분열, 혼란을 끝낼 때가 되었다. 그 마침표가 바로 제2공항 주민투표다."]

그러면서 환경부가 반려했던 결정을 뒤엎고, 이번에 동의한다면 생태계를 무너뜨리는데 동조하는 셈이라고 압박했습니다.

하지만 찬성 측은 주민투표는 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환경부 발표 이후, 제2공항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하는 것이 오히려 갈등을 해소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성산 지역구 도의원은 제주의 관광과 미래산업 활성화를 위해 제2공항을 정상 추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습니다.

[현기종/도의원 : "안전하고 쾌적하게 신속하게 하늘길을 이용할 수 있는 게 어떤 건지 고민해 주시고 (제주도 공항확충지원)단장께서 적극적으로 추진 의지를 보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제주도는 주민투표에 대해선 아직 논의할 단계가 아니며, 환경부의 전략환경영향평가 결과는 발표 내용을 보며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환경부가 제시할 수 있는 결과는 동의와 조건부 동의 그리고 부동의와 반려 4가지.

제2공항 사업에 대한 찬반 의견은 여전히 첨예한 가운데 환경부가 내놓을 전략환경영향평가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촬영기자:양경배·고아람
  • 제주 제2공항 분수령 임박…“주민투표”·“정상 추진”
    • 입력 2023-03-03 07:38:37
    • 수정2023-03-03 08:26:06
    뉴스광장(제주)
[앵커]

제주 최대 현안인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에 대한 환경부 협의 결과 발표가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반대 단체에서는 제2공항 갈등해결을 위해 주민투표를 요구하고 나섰고, 찬성 측에서 정상추진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5년 발표 이후, 8년째 찬반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제2공항 사업.

최근 환경부가 중점평가사업 지정을 거부한 데 이어, 전략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최종 검토 결과 발표도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도민이 결정한다! 주민투표 실시하라!"]

환경부의 결정을 앞두고 제2공항 반대단체가 주민투표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오영훈 지사가 제2공항 갈등과 관련해 도민결정권을 강조해 온 만큼, 주민투표법 제8조에 따라 제주도가 국토부에 주민투표를 요구해야 한다는 겁니다.

[이양신/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 상임대표 : "제2공항으로 쌓여온 해묵은 갈등과 분열, 혼란을 끝낼 때가 되었다. 그 마침표가 바로 제2공항 주민투표다."]

그러면서 환경부가 반려했던 결정을 뒤엎고, 이번에 동의한다면 생태계를 무너뜨리는데 동조하는 셈이라고 압박했습니다.

하지만 찬성 측은 주민투표는 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환경부 발표 이후, 제2공항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하는 것이 오히려 갈등을 해소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성산 지역구 도의원은 제주의 관광과 미래산업 활성화를 위해 제2공항을 정상 추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습니다.

[현기종/도의원 : "안전하고 쾌적하게 신속하게 하늘길을 이용할 수 있는 게 어떤 건지 고민해 주시고 (제주도 공항확충지원)단장께서 적극적으로 추진 의지를 보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제주도는 주민투표에 대해선 아직 논의할 단계가 아니며, 환경부의 전략환경영향평가 결과는 발표 내용을 보며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환경부가 제시할 수 있는 결과는 동의와 조건부 동의 그리고 부동의와 반려 4가지.

제2공항 사업에 대한 찬반 의견은 여전히 첨예한 가운데 환경부가 내놓을 전략환경영향평가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촬영기자:양경배·고아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