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실장 “한일 간 협의 마무리…미래세대 위한 기여 방안 협의 중”

입력 2023.03.05 (11:00) 수정 2023.03.05 (11: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성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강제동원 배상 문제 등 일본 과거사 문제 해법에 대한 한일 외교당국 간 협의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성한 안보실장 “한일 간 협의 마무리…적절한 시점에 발표”

김성한 실장은 오늘(5일), 3박 5일 방미에 앞서 인천국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일관계의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한 중요한 방안이 도출될 경우 적절한 시점에 공식적인 발표가 있을 것으로 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김 실장은 ‘강제동원 배상 협상’의 해법으로 한일 경제단체의 공동기금 조성이 거론되는 데 대해 “기금이라는 게 어떤 기금을 말하는지 모르겠지만, 한일관계가 이제 새로운 시대로 접어들기 위해서는 미래 세대가 가장 중요할 것 같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한일) 청년 세대·미래 세대들이 양국 관계의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어떤 잠재력을 축적해나갈 수 있을지에 관해 양측 경제계라든지 다양한 분야에서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일 양국은 과거사 문제 해법의 일환으로 전국경제인연합회와 게이단렌(일본경제단체연합회)을 통해 미래 세대와 청년을 위한 기금을 공동 조성해 운영하는 방안을 유력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 실장은 이달 말 한일 정상회담 개최와 ‘셔틀 외교’ 복원 가능성에 대해선 “현안 문제가 잘 매듭지어지면 양측 간 포괄적인 관계 증진과 더 나아가 한미일 관계발전을 위해 다양하고 구체적인 이슈들이 부상할 것 같다”며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이어 “그를 위해서는 역시 고위 당국자들이 만나는 것도 중요하지만, 양측 정상이 만나서 소위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푼 직후에, 챙겨야 할 현안들을 속도감 있게 다뤄나가는 절차가 필요할 것 같다”며 “그런 계기는 양측 협의를 통해 조만간 시기와 수준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실장은 ‘일본 기업이 강제동원 피해자를 위한 배상금을 직접 출연하지 않는 것을 두고, 국민 우려가 있다’는 지적에는 “아직 그런 내용을 제가 확인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라며 “양측이 구체적 내용을 현재 조율 중이고, 그것이 마무리되면 적절한 시점에 공식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미국과 한반도 안보 상황 등 협의…윤 대통령 방미 시기·수준 매듭”

한편, 김 실장은 이번 방미 취지에 대해 “한반도 안보 상황이 굉장히 엄중하다”며 “미 행정부, 미국 관계자, 학계 인사를 만나 북핵 문제를 비롯한 역내 문제, 한반도 문제, 글로벌 의제 등 다양한 상황을 총체적으로 협의할 생각”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올해는 한미동맹 70주년”이라며 “한미동맹을 보다 강력한 ‘행동하는 동맹’으로 만들지에 관해 제 카운터파트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라든지 미국 외교안보 당국자들을 만나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 협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김 실장은 아울러 미국 당국자들과 만나 다음 달로 예상되는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방문 시기, 방문 단계·수준 등을 매듭지을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실장은 ‘미국 반도체법 등 경제 현안도 논의하느냐’는 질문에는 “경제안보 현안, IRA(인플레이션 감축법)를 비롯해 반도체법들, 이런 것들이 경제안보의 구체적 차원에서 어떤 플러스·마이너스가 있을지 하나하나 짚어볼 생각”이라며 “마이너스를 최소화하고 플러스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도출하려 한다”고 답했습니다.

미국 측과 ‘한일 간 강제동원’ 배상 문제를 논의할지에 대해선 “강제징용 해법은 한일 양국 간 논의해야 하는 것이고, 한미 간 논의 사안은 아니라고 본다”며 “다만 미측이 한일 관계 개선을 예의주시하고 있고 어떻게 도와줄 방법이 없을까 고민할 정도로 관심이 굉장히 많다”고 말했습니다.

김 실장은 “한일관계 개선을 통해 한미일 안보협력, 더 나아가 한미일의 전반적인 관계 발전을 위해 미국이 할 수 있는 역할, 또 한미동맹 차원에서 챙길 수 있는 방안들을 같이 논의해보려고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안보실장 “한일 간 협의 마무리…미래세대 위한 기여 방안 협의 중”
    • 입력 2023-03-05 11:00:40
    • 수정2023-03-05 11:05:50
    정치
김성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강제동원 배상 문제 등 일본 과거사 문제 해법에 대한 한일 외교당국 간 협의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성한 안보실장 “한일 간 협의 마무리…적절한 시점에 발표”

김성한 실장은 오늘(5일), 3박 5일 방미에 앞서 인천국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일관계의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한 중요한 방안이 도출될 경우 적절한 시점에 공식적인 발표가 있을 것으로 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김 실장은 ‘강제동원 배상 협상’의 해법으로 한일 경제단체의 공동기금 조성이 거론되는 데 대해 “기금이라는 게 어떤 기금을 말하는지 모르겠지만, 한일관계가 이제 새로운 시대로 접어들기 위해서는 미래 세대가 가장 중요할 것 같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한일) 청년 세대·미래 세대들이 양국 관계의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어떤 잠재력을 축적해나갈 수 있을지에 관해 양측 경제계라든지 다양한 분야에서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일 양국은 과거사 문제 해법의 일환으로 전국경제인연합회와 게이단렌(일본경제단체연합회)을 통해 미래 세대와 청년을 위한 기금을 공동 조성해 운영하는 방안을 유력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 실장은 이달 말 한일 정상회담 개최와 ‘셔틀 외교’ 복원 가능성에 대해선 “현안 문제가 잘 매듭지어지면 양측 간 포괄적인 관계 증진과 더 나아가 한미일 관계발전을 위해 다양하고 구체적인 이슈들이 부상할 것 같다”며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이어 “그를 위해서는 역시 고위 당국자들이 만나는 것도 중요하지만, 양측 정상이 만나서 소위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푼 직후에, 챙겨야 할 현안들을 속도감 있게 다뤄나가는 절차가 필요할 것 같다”며 “그런 계기는 양측 협의를 통해 조만간 시기와 수준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실장은 ‘일본 기업이 강제동원 피해자를 위한 배상금을 직접 출연하지 않는 것을 두고, 국민 우려가 있다’는 지적에는 “아직 그런 내용을 제가 확인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라며 “양측이 구체적 내용을 현재 조율 중이고, 그것이 마무리되면 적절한 시점에 공식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미국과 한반도 안보 상황 등 협의…윤 대통령 방미 시기·수준 매듭”

한편, 김 실장은 이번 방미 취지에 대해 “한반도 안보 상황이 굉장히 엄중하다”며 “미 행정부, 미국 관계자, 학계 인사를 만나 북핵 문제를 비롯한 역내 문제, 한반도 문제, 글로벌 의제 등 다양한 상황을 총체적으로 협의할 생각”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올해는 한미동맹 70주년”이라며 “한미동맹을 보다 강력한 ‘행동하는 동맹’으로 만들지에 관해 제 카운터파트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라든지 미국 외교안보 당국자들을 만나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 협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김 실장은 아울러 미국 당국자들과 만나 다음 달로 예상되는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방문 시기, 방문 단계·수준 등을 매듭지을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실장은 ‘미국 반도체법 등 경제 현안도 논의하느냐’는 질문에는 “경제안보 현안, IRA(인플레이션 감축법)를 비롯해 반도체법들, 이런 것들이 경제안보의 구체적 차원에서 어떤 플러스·마이너스가 있을지 하나하나 짚어볼 생각”이라며 “마이너스를 최소화하고 플러스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도출하려 한다”고 답했습니다.

미국 측과 ‘한일 간 강제동원’ 배상 문제를 논의할지에 대해선 “강제징용 해법은 한일 양국 간 논의해야 하는 것이고, 한미 간 논의 사안은 아니라고 본다”며 “다만 미측이 한일 관계 개선을 예의주시하고 있고 어떻게 도와줄 방법이 없을까 고민할 정도로 관심이 굉장히 많다”고 말했습니다.

김 실장은 “한일관계 개선을 통해 한미일 안보협력, 더 나아가 한미일의 전반적인 관계 발전을 위해 미국이 할 수 있는 역할, 또 한미동맹 차원에서 챙길 수 있는 방안들을 같이 논의해보려고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