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 제주지역 일제 강제동원 피해 실태와 과제는?

입력 2023.03.13 (19:33) 수정 2023.03.13 (19: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정부가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에게 일본 전범 기업 대신 한국 기업이 기금을 마련해 배상하는 방안을 내놓았죠,

정부 발표 이후 큰 파장이 일면서 격론도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번 배상안 발표를 계기로 일제 강제동원 피해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다시 점화되고 있습니다.

제주지역 실태는 어떤지 이 시간에 짚어보겠습니다.

조성윤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자리했습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이번 정부의 일제 강제동원 배상 해법에 대해 교수님께서는 어떻게 평가하시는지 궁금한데요?

[앵커]

정부가 왜 이 같은 배상안을 내놓게 됐다고 보고 계세요?

[앵커]

제주지역 일제 강제동원 피해 문제로 이어가볼텐데요,

지금까지 객관적으로 파악된 도내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규모는 어떻게 됩니까?

[앵커]

당시 제주도 인구가 25만 명 안팎이었는데, 인구 대비 상당히 많은 강제동원이 이뤄졌습니다.

당시 제주도 상황이 어땠길래 강제동원 규모가 컸나요?

[앵커]

그렇다면, 제주 안에서 강제동원 피해자들은 주로 어떤 곳에 투입됐습니까?

[앵커]

노무현 정부 때인 2005년에서 2010년 사이 특별법에 따른 강제동원 피해자 신고 접수가 있었는데요,

피해자 수에 비해 신고자 수가 많지 않죠?

[앵커]

당시 신고 접수된 사람들 중 희생자로 인정받은 사람들에게 1차 배상이 이뤄졌죠,

제주에서도 강제동원 피해를 인정받은 사람들이 있었죠?

[앵커]

교수님께서는 궁극적으로 일제 강제동원 피해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앵커]

역사를 돌이켜보면 제주는 전략적 요충지라는 이유로 많은 희생을 겪었습니다.

제주가 비극적 역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방안은 무엇일까요?

[앵커]

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출연 감사드립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담] 제주지역 일제 강제동원 피해 실태와 과제는?
    • 입력 2023-03-13 19:33:45
    • 수정2023-03-13 19:53:14
    뉴스7(제주)
[앵커]

최근 정부가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에게 일본 전범 기업 대신 한국 기업이 기금을 마련해 배상하는 방안을 내놓았죠,

정부 발표 이후 큰 파장이 일면서 격론도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번 배상안 발표를 계기로 일제 강제동원 피해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다시 점화되고 있습니다.

제주지역 실태는 어떤지 이 시간에 짚어보겠습니다.

조성윤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자리했습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이번 정부의 일제 강제동원 배상 해법에 대해 교수님께서는 어떻게 평가하시는지 궁금한데요?

[앵커]

정부가 왜 이 같은 배상안을 내놓게 됐다고 보고 계세요?

[앵커]

제주지역 일제 강제동원 피해 문제로 이어가볼텐데요,

지금까지 객관적으로 파악된 도내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규모는 어떻게 됩니까?

[앵커]

당시 제주도 인구가 25만 명 안팎이었는데, 인구 대비 상당히 많은 강제동원이 이뤄졌습니다.

당시 제주도 상황이 어땠길래 강제동원 규모가 컸나요?

[앵커]

그렇다면, 제주 안에서 강제동원 피해자들은 주로 어떤 곳에 투입됐습니까?

[앵커]

노무현 정부 때인 2005년에서 2010년 사이 특별법에 따른 강제동원 피해자 신고 접수가 있었는데요,

피해자 수에 비해 신고자 수가 많지 않죠?

[앵커]

당시 신고 접수된 사람들 중 희생자로 인정받은 사람들에게 1차 배상이 이뤄졌죠,

제주에서도 강제동원 피해를 인정받은 사람들이 있었죠?

[앵커]

교수님께서는 궁극적으로 일제 강제동원 피해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앵커]

역사를 돌이켜보면 제주는 전략적 요충지라는 이유로 많은 희생을 겪었습니다.

제주가 비극적 역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방안은 무엇일까요?

[앵커]

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출연 감사드립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