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환경운동연합 “낙동강 재배 쌀에서 또 독성 물질 검출”
입력 2023.03.13 (21:44) 수정 2023.03.13 (22:00) 뉴스9(부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낙동강 인근 논에서 재배한 쌀에서 독성 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해 가을 낙동강 유역에서 수확한 쌀을 구입해 분석한 결과 프랑스 생식 독성 기준의 최대 5배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 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쌀과 무, 배추를 수거해 마이크로시스틴 잔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모두 '불검출'로 확인됐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해 가을 낙동강 유역에서 수확한 쌀을 구입해 분석한 결과 프랑스 생식 독성 기준의 최대 5배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 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쌀과 무, 배추를 수거해 마이크로시스틴 잔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모두 '불검출'로 확인됐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 환경운동연합 “낙동강 재배 쌀에서 또 독성 물질 검출”
-
- 입력 2023-03-13 21:44:09
- 수정2023-03-13 22:00:41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낙동강 인근 논에서 재배한 쌀에서 독성 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해 가을 낙동강 유역에서 수확한 쌀을 구입해 분석한 결과 프랑스 생식 독성 기준의 최대 5배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 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쌀과 무, 배추를 수거해 마이크로시스틴 잔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모두 '불검출'로 확인됐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해 가을 낙동강 유역에서 수확한 쌀을 구입해 분석한 결과 프랑스 생식 독성 기준의 최대 5배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 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쌀과 무, 배추를 수거해 마이크로시스틴 잔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모두 '불검출'로 확인됐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뉴스9(부산) 전체보기
-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