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이슈] RM의 ‘갓’ 인터뷰 “식민지였던 한국이 성공한 이유”
입력 2023.03.14 (20: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룹 방탄소년단의 리더 RM이, 한 스페인 언론과 한 인터뷰 내용이 화제입니다.
유럽 매체 기자의 한국 문화에 대한 비판 섞인 질문에, 한국 역사에 대한 자부심이 가득한 답변으로 응수했는데요.
기자는 RM에게 연달아 K팝과 한국 문화가 '비인간적이고 지나친 노력을 강요하는 것 아니냐'는 취지의 질문을 던졌습니다.
이에 대한 RM의 답변은 그야말로 인상적이었습니다.
[엘 파이스(El Pais) 기자: "젊음과 완벽주의, K-pop을 위한 엄청난 노력. 이런 것이 한국 문화의 특징인가"
방탄소년단 RM: "서양 사람들은 이해 못 합니다. 한국은 침략당하고 파괴되었고, 둘로 갈라진 나라입니다. 70년 전만 해도 아무것도 없던 나라 지금은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게 어떻게 가능한가? 어떻게 된 건가? 우리 국민들이 더 나은 삶을 위해 혹독하게 일하기 때문입니다."]
RM은 이어, 한국 같은 나라의 노력하는 문화를 지나치다고 보는 일부 서유럽의 시각에도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프랑스와 영국을 거론했지만, 인터뷰하는 매체의 나라인 스페인 역시 과거 제국주의를 했던 점을 염두에 둔 답변이었습니다.
[RM: "프랑스나 영국처럼 수 세기 동안 다른 나라를 식민지화했던 나라의 사람이 저를 보고 '세상에 한국 사람들은 스스로를 너무 압박해요, 한국에서의 삶은 너무 스트레스가 많네요!'라고 하죠. 그래요. 우린 그렇게 목표를 달성해왔거든요. 그리고 이 방식이 K팝을 그토록 매력적으로 만드는 점의 일부이기도 합니다. 물론 그 이면에는 부작용도 있겠죠. 빠르고 급박하게 진행되는 모든 일이 그렇듯이요."]
식민지배를 했던 서유럽 국가들과 달리, 한국은 식민지배를 받았던 나라이고 전후 폐허에서 노력하지 않고는 성취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시작했단 점을 강조한 겁니다.
스페인 매체의 기자는, RM에 대해 많은 질문을 준비한 듯, 다소 민감한 질문들을 쏟아냈습니다.
[기자: '큰 팬덤에 대한 부담이 따르진 않나요'
RM: "그 무게를 지지 않고서는 어떤 일도 할 수 없어요... 성숙해져야 하고 무게감을 느껴야 해요. 자, 만약 인기가 돌덩이(짐)라고 생각하고 싶으면 그냥 단지 돌덩이일 뿐이겠죠. 하지만 그게 제게 바라던 걸 얻게 해줬어요. 바로 인기 차트에 연연하지 않고 제가 원하는 음악을 하기 위해 빠르게 경제적 자유와 영향력을 얻게 해준 거죠."
RM: "스무 살 때보다 서른 살이 되는 게 좋아요. 이제 1년 반 동안 군대 생활을 할 것 같아요. 모든 한국 남성들의 삶에서 굉장히 중요한 일이죠. 그 후에 전 다른 사람이 될 것이라고 확신해요. 더 지혜롭고 좋은 사람이 되었으면 합니다."]
다소 민감한 질문에 즉답을 피하지 않으면서도 진솔하고 균형 잡힌 답변을 전한 RM.
앞으로 RM이 어떤 행보를 보일지 기대가 모아집니다.
KBS 뉴스 장영준입니다.
유럽 매체 기자의 한국 문화에 대한 비판 섞인 질문에, 한국 역사에 대한 자부심이 가득한 답변으로 응수했는데요.
기자는 RM에게 연달아 K팝과 한국 문화가 '비인간적이고 지나친 노력을 강요하는 것 아니냐'는 취지의 질문을 던졌습니다.
이에 대한 RM의 답변은 그야말로 인상적이었습니다.
[엘 파이스(El Pais) 기자: "젊음과 완벽주의, K-pop을 위한 엄청난 노력. 이런 것이 한국 문화의 특징인가"
방탄소년단 RM: "서양 사람들은 이해 못 합니다. 한국은 침략당하고 파괴되었고, 둘로 갈라진 나라입니다. 70년 전만 해도 아무것도 없던 나라 지금은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게 어떻게 가능한가? 어떻게 된 건가? 우리 국민들이 더 나은 삶을 위해 혹독하게 일하기 때문입니다."]
RM은 이어, 한국 같은 나라의 노력하는 문화를 지나치다고 보는 일부 서유럽의 시각에도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프랑스와 영국을 거론했지만, 인터뷰하는 매체의 나라인 스페인 역시 과거 제국주의를 했던 점을 염두에 둔 답변이었습니다.
[RM: "프랑스나 영국처럼 수 세기 동안 다른 나라를 식민지화했던 나라의 사람이 저를 보고 '세상에 한국 사람들은 스스로를 너무 압박해요, 한국에서의 삶은 너무 스트레스가 많네요!'라고 하죠. 그래요. 우린 그렇게 목표를 달성해왔거든요. 그리고 이 방식이 K팝을 그토록 매력적으로 만드는 점의 일부이기도 합니다. 물론 그 이면에는 부작용도 있겠죠. 빠르고 급박하게 진행되는 모든 일이 그렇듯이요."]
식민지배를 했던 서유럽 국가들과 달리, 한국은 식민지배를 받았던 나라이고 전후 폐허에서 노력하지 않고는 성취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시작했단 점을 강조한 겁니다.
스페인 매체의 기자는, RM에 대해 많은 질문을 준비한 듯, 다소 민감한 질문들을 쏟아냈습니다.
[기자: '큰 팬덤에 대한 부담이 따르진 않나요'
RM: "그 무게를 지지 않고서는 어떤 일도 할 수 없어요... 성숙해져야 하고 무게감을 느껴야 해요. 자, 만약 인기가 돌덩이(짐)라고 생각하고 싶으면 그냥 단지 돌덩이일 뿐이겠죠. 하지만 그게 제게 바라던 걸 얻게 해줬어요. 바로 인기 차트에 연연하지 않고 제가 원하는 음악을 하기 위해 빠르게 경제적 자유와 영향력을 얻게 해준 거죠."
RM: "스무 살 때보다 서른 살이 되는 게 좋아요. 이제 1년 반 동안 군대 생활을 할 것 같아요. 모든 한국 남성들의 삶에서 굉장히 중요한 일이죠. 그 후에 전 다른 사람이 될 것이라고 확신해요. 더 지혜롭고 좋은 사람이 되었으면 합니다."]
다소 민감한 질문에 즉답을 피하지 않으면서도 진솔하고 균형 잡힌 답변을 전한 RM.
앞으로 RM이 어떤 행보를 보일지 기대가 모아집니다.
KBS 뉴스 장영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늘 이슈] RM의 ‘갓’ 인터뷰 “식민지였던 한국이 성공한 이유”
-
- 입력 2023-03-14 20:12:44

그룹 방탄소년단의 리더 RM이, 한 스페인 언론과 한 인터뷰 내용이 화제입니다.
유럽 매체 기자의 한국 문화에 대한 비판 섞인 질문에, 한국 역사에 대한 자부심이 가득한 답변으로 응수했는데요.
기자는 RM에게 연달아 K팝과 한국 문화가 '비인간적이고 지나친 노력을 강요하는 것 아니냐'는 취지의 질문을 던졌습니다.
이에 대한 RM의 답변은 그야말로 인상적이었습니다.
[엘 파이스(El Pais) 기자: "젊음과 완벽주의, K-pop을 위한 엄청난 노력. 이런 것이 한국 문화의 특징인가"
방탄소년단 RM: "서양 사람들은 이해 못 합니다. 한국은 침략당하고 파괴되었고, 둘로 갈라진 나라입니다. 70년 전만 해도 아무것도 없던 나라 지금은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게 어떻게 가능한가? 어떻게 된 건가? 우리 국민들이 더 나은 삶을 위해 혹독하게 일하기 때문입니다."]
RM은 이어, 한국 같은 나라의 노력하는 문화를 지나치다고 보는 일부 서유럽의 시각에도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프랑스와 영국을 거론했지만, 인터뷰하는 매체의 나라인 스페인 역시 과거 제국주의를 했던 점을 염두에 둔 답변이었습니다.
[RM: "프랑스나 영국처럼 수 세기 동안 다른 나라를 식민지화했던 나라의 사람이 저를 보고 '세상에 한국 사람들은 스스로를 너무 압박해요, 한국에서의 삶은 너무 스트레스가 많네요!'라고 하죠. 그래요. 우린 그렇게 목표를 달성해왔거든요. 그리고 이 방식이 K팝을 그토록 매력적으로 만드는 점의 일부이기도 합니다. 물론 그 이면에는 부작용도 있겠죠. 빠르고 급박하게 진행되는 모든 일이 그렇듯이요."]
식민지배를 했던 서유럽 국가들과 달리, 한국은 식민지배를 받았던 나라이고 전후 폐허에서 노력하지 않고는 성취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시작했단 점을 강조한 겁니다.
스페인 매체의 기자는, RM에 대해 많은 질문을 준비한 듯, 다소 민감한 질문들을 쏟아냈습니다.
[기자: '큰 팬덤에 대한 부담이 따르진 않나요'
RM: "그 무게를 지지 않고서는 어떤 일도 할 수 없어요... 성숙해져야 하고 무게감을 느껴야 해요. 자, 만약 인기가 돌덩이(짐)라고 생각하고 싶으면 그냥 단지 돌덩이일 뿐이겠죠. 하지만 그게 제게 바라던 걸 얻게 해줬어요. 바로 인기 차트에 연연하지 않고 제가 원하는 음악을 하기 위해 빠르게 경제적 자유와 영향력을 얻게 해준 거죠."
RM: "스무 살 때보다 서른 살이 되는 게 좋아요. 이제 1년 반 동안 군대 생활을 할 것 같아요. 모든 한국 남성들의 삶에서 굉장히 중요한 일이죠. 그 후에 전 다른 사람이 될 것이라고 확신해요. 더 지혜롭고 좋은 사람이 되었으면 합니다."]
다소 민감한 질문에 즉답을 피하지 않으면서도 진솔하고 균형 잡힌 답변을 전한 RM.
앞으로 RM이 어떤 행보를 보일지 기대가 모아집니다.
KBS 뉴스 장영준입니다.
유럽 매체 기자의 한국 문화에 대한 비판 섞인 질문에, 한국 역사에 대한 자부심이 가득한 답변으로 응수했는데요.
기자는 RM에게 연달아 K팝과 한국 문화가 '비인간적이고 지나친 노력을 강요하는 것 아니냐'는 취지의 질문을 던졌습니다.
이에 대한 RM의 답변은 그야말로 인상적이었습니다.
[엘 파이스(El Pais) 기자: "젊음과 완벽주의, K-pop을 위한 엄청난 노력. 이런 것이 한국 문화의 특징인가"
방탄소년단 RM: "서양 사람들은 이해 못 합니다. 한국은 침략당하고 파괴되었고, 둘로 갈라진 나라입니다. 70년 전만 해도 아무것도 없던 나라 지금은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게 어떻게 가능한가? 어떻게 된 건가? 우리 국민들이 더 나은 삶을 위해 혹독하게 일하기 때문입니다."]
RM은 이어, 한국 같은 나라의 노력하는 문화를 지나치다고 보는 일부 서유럽의 시각에도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프랑스와 영국을 거론했지만, 인터뷰하는 매체의 나라인 스페인 역시 과거 제국주의를 했던 점을 염두에 둔 답변이었습니다.
[RM: "프랑스나 영국처럼 수 세기 동안 다른 나라를 식민지화했던 나라의 사람이 저를 보고 '세상에 한국 사람들은 스스로를 너무 압박해요, 한국에서의 삶은 너무 스트레스가 많네요!'라고 하죠. 그래요. 우린 그렇게 목표를 달성해왔거든요. 그리고 이 방식이 K팝을 그토록 매력적으로 만드는 점의 일부이기도 합니다. 물론 그 이면에는 부작용도 있겠죠. 빠르고 급박하게 진행되는 모든 일이 그렇듯이요."]
식민지배를 했던 서유럽 국가들과 달리, 한국은 식민지배를 받았던 나라이고 전후 폐허에서 노력하지 않고는 성취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시작했단 점을 강조한 겁니다.
스페인 매체의 기자는, RM에 대해 많은 질문을 준비한 듯, 다소 민감한 질문들을 쏟아냈습니다.
[기자: '큰 팬덤에 대한 부담이 따르진 않나요'
RM: "그 무게를 지지 않고서는 어떤 일도 할 수 없어요... 성숙해져야 하고 무게감을 느껴야 해요. 자, 만약 인기가 돌덩이(짐)라고 생각하고 싶으면 그냥 단지 돌덩이일 뿐이겠죠. 하지만 그게 제게 바라던 걸 얻게 해줬어요. 바로 인기 차트에 연연하지 않고 제가 원하는 음악을 하기 위해 빠르게 경제적 자유와 영향력을 얻게 해준 거죠."
RM: "스무 살 때보다 서른 살이 되는 게 좋아요. 이제 1년 반 동안 군대 생활을 할 것 같아요. 모든 한국 남성들의 삶에서 굉장히 중요한 일이죠. 그 후에 전 다른 사람이 될 것이라고 확신해요. 더 지혜롭고 좋은 사람이 되었으면 합니다."]
다소 민감한 질문에 즉답을 피하지 않으면서도 진솔하고 균형 잡힌 답변을 전한 RM.
앞으로 RM이 어떤 행보를 보일지 기대가 모아집니다.
KBS 뉴스 장영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