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로만 하고 쉬지 못할까봐 불안”…고용부 “오해”

입력 2023.03.14 (21:18) 수정 2023.03.15 (07: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보신 것처럼 갑자기 방향이 바뀐 건 이른바 MZ 세대의 반대 때문이라는데 실제 직장인들이 걱정하는 부분은 뭔지 홍성희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근로시간 개편에 특히 민감한 건 한때 과로사가 잇따랐던 IT·게임업계입니다.

주 69시간까지 허용되면 장시간 근로로 다시 돌아갈 거란 우려가 큽니다.

[손동규/IT 업종 근무 : "주 52시간이 지켜지지 않는 업장들이 생각보다 되게 많아요, 특히 IT업계들에. 그런데 법적으로 69시간까지 가능하게 된다면 '69시간까지 당연하게 일을 해도 돼' 라는 생각이 고착화될까봐..."]

[박성우/IT 업종 근무 : "69시간이라는 경계를 만들어버리면 그 69시간이라는 경계에 맞춰서 회사에서 일을 시킬 것이기 때문에..."]

몰아서 일한 뒤엔 몰아서 쉴 수 있다는 정부 설명엔 회의적인 반응입니다.

[오세윤/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네이버 지회장 : "사람은 기계가 아니거든요. 이미 건강을 해친 후에 몰아서 쉰다고 해서 건강이 회복되지 않아요. 잠을 몰아서 잘 수 없잖아요."]

정부 개편안이 젊은 세대 선호를 반영했다는데, 그렇게 볼 수 있냐는 반론도 있습니다.

[전태영/전자 업종 근무 : "지금도 솔직히 쉴 때 못 쉬는데 그게 솔직히 당근으로 다가오지도 않고요. 뉴스에서도 2030이 원하는 거라고 하는데 어디서 그런 데이터를 얻었는지 모르겠어요."]

젊은 세대가 주축인 이른바 MZ 노조 8곳도 "주 52시간 상한도 안착되지 않은 상황에서 시기 상조"라며 반대 입장을 냈습니다.

이번 개편안은 전문가 권고안을 토대로 만든 것으로, 추진 과정에서 노사정 간의 사회적 대화는 없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총 근로 시간이 늘어난 것처럼 오해가 있다고 해명했습니다.

각계 의견을 폭넓게 듣고 제도를 보완하겠다면서, 입법 철회는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고용부는 오는 6월경 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었지만, 원점에서 재검토하면서 계획 수정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촬영기자:최진영 왕인흡/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김현갑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과로만 하고 쉬지 못할까봐 불안”…고용부 “오해”
    • 입력 2023-03-14 21:18:20
    • 수정2023-03-15 07:56:30
    뉴스 9
[앵커]

보신 것처럼 갑자기 방향이 바뀐 건 이른바 MZ 세대의 반대 때문이라는데 실제 직장인들이 걱정하는 부분은 뭔지 홍성희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근로시간 개편에 특히 민감한 건 한때 과로사가 잇따랐던 IT·게임업계입니다.

주 69시간까지 허용되면 장시간 근로로 다시 돌아갈 거란 우려가 큽니다.

[손동규/IT 업종 근무 : "주 52시간이 지켜지지 않는 업장들이 생각보다 되게 많아요, 특히 IT업계들에. 그런데 법적으로 69시간까지 가능하게 된다면 '69시간까지 당연하게 일을 해도 돼' 라는 생각이 고착화될까봐..."]

[박성우/IT 업종 근무 : "69시간이라는 경계를 만들어버리면 그 69시간이라는 경계에 맞춰서 회사에서 일을 시킬 것이기 때문에..."]

몰아서 일한 뒤엔 몰아서 쉴 수 있다는 정부 설명엔 회의적인 반응입니다.

[오세윤/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네이버 지회장 : "사람은 기계가 아니거든요. 이미 건강을 해친 후에 몰아서 쉰다고 해서 건강이 회복되지 않아요. 잠을 몰아서 잘 수 없잖아요."]

정부 개편안이 젊은 세대 선호를 반영했다는데, 그렇게 볼 수 있냐는 반론도 있습니다.

[전태영/전자 업종 근무 : "지금도 솔직히 쉴 때 못 쉬는데 그게 솔직히 당근으로 다가오지도 않고요. 뉴스에서도 2030이 원하는 거라고 하는데 어디서 그런 데이터를 얻었는지 모르겠어요."]

젊은 세대가 주축인 이른바 MZ 노조 8곳도 "주 52시간 상한도 안착되지 않은 상황에서 시기 상조"라며 반대 입장을 냈습니다.

이번 개편안은 전문가 권고안을 토대로 만든 것으로, 추진 과정에서 노사정 간의 사회적 대화는 없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총 근로 시간이 늘어난 것처럼 오해가 있다고 해명했습니다.

각계 의견을 폭넓게 듣고 제도를 보완하겠다면서, 입법 철회는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고용부는 오는 6월경 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었지만, 원점에서 재검토하면서 계획 수정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촬영기자:최진영 왕인흡/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김현갑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