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국제선 회복에 항공기 신규 도입 ‘박차’…대한항공 올해만 13대
입력 2023.03.19 (09:39) 수정 2023.03.19 (09:45) 경제
국제선 정상화로 여객 수요가 점차 회복하면서 국내 항공사들이 코로나 사태로 줄어들었던 보유 항공기를 다시 늘리고 있습니다.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올해 B787 6대와 A321네오 7대 등 총 13대를 도입합니다. 1~2월 A321 네오 2대는 이미 도입을 완료했습니다.
코로나 사태 여파로 2020년에는 1대의 신규 항공기도 도입하지 못했던 대한항공은 2021년부터 차차 신규 항공기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대한항공은 B787-9 10대, B787-10 20대, B737-8 30대를 포함해 총 90대의 신형기를 2028년까지 도입하는 항공기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A321네오는 2027년까지 30대 도입합니다.
B737은 B777 기종을 대체하는 친환경 항공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B777-200 대비 B787-9의 연료 효율성은 20%, B787-10은 25% 개선됐습니다.
신형 A321네오는 휴대 수하물을 보관할 수 있는 기내 선반의 크기가 기존 A321네오 대비 40% 커졌고,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2019년 85대의 항공기를 운용한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보유 항공기 수가 77대까지 떨어졌지만, 올해 81대로 늘릴 계획입니다. 지난해 12월 A321네오 1대를 도입했고, 다음달 6일 추가로 1대를 도입합니다.
아시아나항공은 주력기종으로 중장거리용 A350과 단거리용 A321네오 등 차세대 항공기를 도입하고 노후 기재를 반납하는 항공기 세대교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저비용항공사(LCC)도 서둘러 신규 항공기 도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항공사들의 항공기 주문이 몰리면서 대규모 도입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제주항공은 올해 보유 중인 항공기 반납 없이 신규 항공기 4대를 도입합니다. 2019년 45대였던 보유 항공기 수는 2022년 37대까지 떨어졌지만, 올해 41대로 회복됩니다.
진에어는 올해 4분기 B737-8 2대를 신규 도입해 총 28대를 운용할 예정입니다.
티웨이항공은 지난해 A330-300 3대와 올해 1월 B737-8 1대를 도입했습니다.
3년만에 재운항에 나서는 이스타항공도 올해 말까지 보유 항공기를 10대까지 늘릴 예정입니다. 이스타항공은 현재 3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올해 B787 6대와 A321네오 7대 등 총 13대를 도입합니다. 1~2월 A321 네오 2대는 이미 도입을 완료했습니다.
코로나 사태 여파로 2020년에는 1대의 신규 항공기도 도입하지 못했던 대한항공은 2021년부터 차차 신규 항공기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대한항공은 B787-9 10대, B787-10 20대, B737-8 30대를 포함해 총 90대의 신형기를 2028년까지 도입하는 항공기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A321네오는 2027년까지 30대 도입합니다.
B737은 B777 기종을 대체하는 친환경 항공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B777-200 대비 B787-9의 연료 효율성은 20%, B787-10은 25% 개선됐습니다.
신형 A321네오는 휴대 수하물을 보관할 수 있는 기내 선반의 크기가 기존 A321네오 대비 40% 커졌고,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2019년 85대의 항공기를 운용한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보유 항공기 수가 77대까지 떨어졌지만, 올해 81대로 늘릴 계획입니다. 지난해 12월 A321네오 1대를 도입했고, 다음달 6일 추가로 1대를 도입합니다.
아시아나항공은 주력기종으로 중장거리용 A350과 단거리용 A321네오 등 차세대 항공기를 도입하고 노후 기재를 반납하는 항공기 세대교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저비용항공사(LCC)도 서둘러 신규 항공기 도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항공사들의 항공기 주문이 몰리면서 대규모 도입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제주항공은 올해 보유 중인 항공기 반납 없이 신규 항공기 4대를 도입합니다. 2019년 45대였던 보유 항공기 수는 2022년 37대까지 떨어졌지만, 올해 41대로 회복됩니다.
진에어는 올해 4분기 B737-8 2대를 신규 도입해 총 28대를 운용할 예정입니다.
티웨이항공은 지난해 A330-300 3대와 올해 1월 B737-8 1대를 도입했습니다.
3년만에 재운항에 나서는 이스타항공도 올해 말까지 보유 항공기를 10대까지 늘릴 예정입니다. 이스타항공은 현재 3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국제선 회복에 항공기 신규 도입 ‘박차’…대한항공 올해만 13대
-
- 입력 2023-03-19 09:39:27
- 수정2023-03-19 09:45:00

국제선 정상화로 여객 수요가 점차 회복하면서 국내 항공사들이 코로나 사태로 줄어들었던 보유 항공기를 다시 늘리고 있습니다.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올해 B787 6대와 A321네오 7대 등 총 13대를 도입합니다. 1~2월 A321 네오 2대는 이미 도입을 완료했습니다.
코로나 사태 여파로 2020년에는 1대의 신규 항공기도 도입하지 못했던 대한항공은 2021년부터 차차 신규 항공기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대한항공은 B787-9 10대, B787-10 20대, B737-8 30대를 포함해 총 90대의 신형기를 2028년까지 도입하는 항공기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A321네오는 2027년까지 30대 도입합니다.
B737은 B777 기종을 대체하는 친환경 항공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B777-200 대비 B787-9의 연료 효율성은 20%, B787-10은 25% 개선됐습니다.
신형 A321네오는 휴대 수하물을 보관할 수 있는 기내 선반의 크기가 기존 A321네오 대비 40% 커졌고,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2019년 85대의 항공기를 운용한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보유 항공기 수가 77대까지 떨어졌지만, 올해 81대로 늘릴 계획입니다. 지난해 12월 A321네오 1대를 도입했고, 다음달 6일 추가로 1대를 도입합니다.
아시아나항공은 주력기종으로 중장거리용 A350과 단거리용 A321네오 등 차세대 항공기를 도입하고 노후 기재를 반납하는 항공기 세대교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저비용항공사(LCC)도 서둘러 신규 항공기 도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항공사들의 항공기 주문이 몰리면서 대규모 도입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제주항공은 올해 보유 중인 항공기 반납 없이 신규 항공기 4대를 도입합니다. 2019년 45대였던 보유 항공기 수는 2022년 37대까지 떨어졌지만, 올해 41대로 회복됩니다.
진에어는 올해 4분기 B737-8 2대를 신규 도입해 총 28대를 운용할 예정입니다.
티웨이항공은 지난해 A330-300 3대와 올해 1월 B737-8 1대를 도입했습니다.
3년만에 재운항에 나서는 이스타항공도 올해 말까지 보유 항공기를 10대까지 늘릴 예정입니다. 이스타항공은 현재 3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올해 B787 6대와 A321네오 7대 등 총 13대를 도입합니다. 1~2월 A321 네오 2대는 이미 도입을 완료했습니다.
코로나 사태 여파로 2020년에는 1대의 신규 항공기도 도입하지 못했던 대한항공은 2021년부터 차차 신규 항공기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대한항공은 B787-9 10대, B787-10 20대, B737-8 30대를 포함해 총 90대의 신형기를 2028년까지 도입하는 항공기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A321네오는 2027년까지 30대 도입합니다.
B737은 B777 기종을 대체하는 친환경 항공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B777-200 대비 B787-9의 연료 효율성은 20%, B787-10은 25% 개선됐습니다.
신형 A321네오는 휴대 수하물을 보관할 수 있는 기내 선반의 크기가 기존 A321네오 대비 40% 커졌고,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2019년 85대의 항공기를 운용한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보유 항공기 수가 77대까지 떨어졌지만, 올해 81대로 늘릴 계획입니다. 지난해 12월 A321네오 1대를 도입했고, 다음달 6일 추가로 1대를 도입합니다.
아시아나항공은 주력기종으로 중장거리용 A350과 단거리용 A321네오 등 차세대 항공기를 도입하고 노후 기재를 반납하는 항공기 세대교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저비용항공사(LCC)도 서둘러 신규 항공기 도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항공사들의 항공기 주문이 몰리면서 대규모 도입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제주항공은 올해 보유 중인 항공기 반납 없이 신규 항공기 4대를 도입합니다. 2019년 45대였던 보유 항공기 수는 2022년 37대까지 떨어졌지만, 올해 41대로 회복됩니다.
진에어는 올해 4분기 B737-8 2대를 신규 도입해 총 28대를 운용할 예정입니다.
티웨이항공은 지난해 A330-300 3대와 올해 1월 B737-8 1대를 도입했습니다.
3년만에 재운항에 나서는 이스타항공도 올해 말까지 보유 항공기를 10대까지 늘릴 예정입니다. 이스타항공은 현재 3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기자 정보
-
-
박일중 기자 baikal@kbs.co.kr
박일중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