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목포 근대역사 건축물 활용 ‘주먹구구’
입력 2023.03.21 (21:46) 수정 2023.03.21 (22:13) 뉴스9(광주)
[앵커]
목포 미식문화갤러리 등 목포 근대역사 거리 관광과 관련된 건축물들이 최근 문을 닫는 등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건물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이 서 있지않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광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목포의 맛을 보여주겠다며 지난해 6월 개관한 목포미식 문화 갤러리...
그런데 지난달 초 카페와 식당 등을 운영하던 세입자가 운영난으로 폐업하면서 문을 닫았습니다.
최초의 민족자본 은행인 호남은행이 들어선 옛 조흥은행 건물은 지난해 9월 목포 대중음악의 전당으로 탈바꿈했습니다.
하지만 1층에는 음악과는 상관없는 목공예 작가의 작품이 전시돼 있고, 정작 이난영과 남진 등 목포 대중 음악사에 한 획을 그은 인물들에 대한 진본 자료는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목포시가 지난 2020년부터 2년간 근대역사문화거리 일대에서 매입한 근대건물은 모두 10채. 예산은 45억 원이 투입됐습니다.
이 가운데 5곳만이 활용 중인데 이마저 2곳은 최근 문을 닫았습니다.
[임진택/목포시 도시문화재과 팀장 : "활용계획을 다시 한번 점검해 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실과에 이관했던 (건축물) 중에서 활용이 부족했던 것은 원인을 분석하고..."]
이 밖에도 5·18 사적지로 지정된 옛 동아약국에는 최근 빵가게가 문을 열어 역사성이 퇴색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최근에는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원주민들조차 목포 근대 역사를 활용한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기 힘든 상황.
[유창훈/목포시의원 : "집값이 너무 오르다 보니 이걸 살려고 해도 10배 가까이 올랐어요. 그러니까 원주민들은 뭘 할 수가 없는 거예요. 다른 사람들이 들어와서 장사하는 것 그냥 보고만 있는 거죠."]
[최성환/목포대 사학과 교수 : "무엇보다 특정 건물이 갖는 역사성이나 공간성들에 맞는 활용 계획들이 수립되고 추진되어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 불리는 목포 근대역사 건축물들이 제 가치를 못하는 가운데 종합적인 활용 계획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광진입니다.
촬영기자:김강용/영상편집:유도한
목포 미식문화갤러리 등 목포 근대역사 거리 관광과 관련된 건축물들이 최근 문을 닫는 등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건물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이 서 있지않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광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목포의 맛을 보여주겠다며 지난해 6월 개관한 목포미식 문화 갤러리...
그런데 지난달 초 카페와 식당 등을 운영하던 세입자가 운영난으로 폐업하면서 문을 닫았습니다.
최초의 민족자본 은행인 호남은행이 들어선 옛 조흥은행 건물은 지난해 9월 목포 대중음악의 전당으로 탈바꿈했습니다.
하지만 1층에는 음악과는 상관없는 목공예 작가의 작품이 전시돼 있고, 정작 이난영과 남진 등 목포 대중 음악사에 한 획을 그은 인물들에 대한 진본 자료는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목포시가 지난 2020년부터 2년간 근대역사문화거리 일대에서 매입한 근대건물은 모두 10채. 예산은 45억 원이 투입됐습니다.
이 가운데 5곳만이 활용 중인데 이마저 2곳은 최근 문을 닫았습니다.
[임진택/목포시 도시문화재과 팀장 : "활용계획을 다시 한번 점검해 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실과에 이관했던 (건축물) 중에서 활용이 부족했던 것은 원인을 분석하고..."]
이 밖에도 5·18 사적지로 지정된 옛 동아약국에는 최근 빵가게가 문을 열어 역사성이 퇴색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최근에는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원주민들조차 목포 근대 역사를 활용한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기 힘든 상황.
[유창훈/목포시의원 : "집값이 너무 오르다 보니 이걸 살려고 해도 10배 가까이 올랐어요. 그러니까 원주민들은 뭘 할 수가 없는 거예요. 다른 사람들이 들어와서 장사하는 것 그냥 보고만 있는 거죠."]
[최성환/목포대 사학과 교수 : "무엇보다 특정 건물이 갖는 역사성이나 공간성들에 맞는 활용 계획들이 수립되고 추진되어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 불리는 목포 근대역사 건축물들이 제 가치를 못하는 가운데 종합적인 활용 계획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광진입니다.
촬영기자:김강용/영상편집:유도한
- 목포 근대역사 건축물 활용 ‘주먹구구’
-
- 입력 2023-03-21 21:45:59
- 수정2023-03-21 22:13:02

[앵커]
목포 미식문화갤러리 등 목포 근대역사 거리 관광과 관련된 건축물들이 최근 문을 닫는 등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건물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이 서 있지않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광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목포의 맛을 보여주겠다며 지난해 6월 개관한 목포미식 문화 갤러리...
그런데 지난달 초 카페와 식당 등을 운영하던 세입자가 운영난으로 폐업하면서 문을 닫았습니다.
최초의 민족자본 은행인 호남은행이 들어선 옛 조흥은행 건물은 지난해 9월 목포 대중음악의 전당으로 탈바꿈했습니다.
하지만 1층에는 음악과는 상관없는 목공예 작가의 작품이 전시돼 있고, 정작 이난영과 남진 등 목포 대중 음악사에 한 획을 그은 인물들에 대한 진본 자료는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목포시가 지난 2020년부터 2년간 근대역사문화거리 일대에서 매입한 근대건물은 모두 10채. 예산은 45억 원이 투입됐습니다.
이 가운데 5곳만이 활용 중인데 이마저 2곳은 최근 문을 닫았습니다.
[임진택/목포시 도시문화재과 팀장 : "활용계획을 다시 한번 점검해 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실과에 이관했던 (건축물) 중에서 활용이 부족했던 것은 원인을 분석하고..."]
이 밖에도 5·18 사적지로 지정된 옛 동아약국에는 최근 빵가게가 문을 열어 역사성이 퇴색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최근에는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원주민들조차 목포 근대 역사를 활용한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기 힘든 상황.
[유창훈/목포시의원 : "집값이 너무 오르다 보니 이걸 살려고 해도 10배 가까이 올랐어요. 그러니까 원주민들은 뭘 할 수가 없는 거예요. 다른 사람들이 들어와서 장사하는 것 그냥 보고만 있는 거죠."]
[최성환/목포대 사학과 교수 : "무엇보다 특정 건물이 갖는 역사성이나 공간성들에 맞는 활용 계획들이 수립되고 추진되어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 불리는 목포 근대역사 건축물들이 제 가치를 못하는 가운데 종합적인 활용 계획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광진입니다.
촬영기자:김강용/영상편집:유도한
목포 미식문화갤러리 등 목포 근대역사 거리 관광과 관련된 건축물들이 최근 문을 닫는 등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건물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이 서 있지않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광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목포의 맛을 보여주겠다며 지난해 6월 개관한 목포미식 문화 갤러리...
그런데 지난달 초 카페와 식당 등을 운영하던 세입자가 운영난으로 폐업하면서 문을 닫았습니다.
최초의 민족자본 은행인 호남은행이 들어선 옛 조흥은행 건물은 지난해 9월 목포 대중음악의 전당으로 탈바꿈했습니다.
하지만 1층에는 음악과는 상관없는 목공예 작가의 작품이 전시돼 있고, 정작 이난영과 남진 등 목포 대중 음악사에 한 획을 그은 인물들에 대한 진본 자료는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목포시가 지난 2020년부터 2년간 근대역사문화거리 일대에서 매입한 근대건물은 모두 10채. 예산은 45억 원이 투입됐습니다.
이 가운데 5곳만이 활용 중인데 이마저 2곳은 최근 문을 닫았습니다.
[임진택/목포시 도시문화재과 팀장 : "활용계획을 다시 한번 점검해 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실과에 이관했던 (건축물) 중에서 활용이 부족했던 것은 원인을 분석하고..."]
이 밖에도 5·18 사적지로 지정된 옛 동아약국에는 최근 빵가게가 문을 열어 역사성이 퇴색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최근에는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원주민들조차 목포 근대 역사를 활용한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기 힘든 상황.
[유창훈/목포시의원 : "집값이 너무 오르다 보니 이걸 살려고 해도 10배 가까이 올랐어요. 그러니까 원주민들은 뭘 할 수가 없는 거예요. 다른 사람들이 들어와서 장사하는 것 그냥 보고만 있는 거죠."]
[최성환/목포대 사학과 교수 : "무엇보다 특정 건물이 갖는 역사성이나 공간성들에 맞는 활용 계획들이 수립되고 추진되어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 불리는 목포 근대역사 건축물들이 제 가치를 못하는 가운데 종합적인 활용 계획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광진입니다.
촬영기자:김강용/영상편집:유도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9(광주)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광진 기자 powjnl@kbs.co.kr
김광진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