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룟값’ 인상에 짜장면 한 그릇 6천 원 훌쩍 넘어

입력 2023.04.05 (21:36) 수정 2023.04.05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짜장면은 100년 전쯤 인천의 한 화교 음식점에서 탄생했습니다.

그 때는 단순히 볶은 춘장에 면을 비벼먹던 것이 이제는 우리나라 100대 문화에 꼽힐 만큼 대표 음식이 됐습니다.

업계에서는 짜장면이 하루에 150만 그릇 정도 팔리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밀가루 값이 2년 새 60% 정도 올랐고, 다른 재료비도 뛰면서 이제 한 그릇 값이 6천 원을 넘어섰습니다.

저렴하게, 또 든든하게 서민의 입과 배를 채워주던 건 옛날 얘기가 돼가고 있습니다.

장혁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직장인들이 자주 찾는 중국집, 가볍게 점심 한 끼를 때우려 해도 짜장면은 8,000원, 짬뽕도 11,000원입니다.

[직장인 : "2년 전에는 여기가 짜장면이 6,000원이었는데 지금은 8,000원이더라고요. 2천 원이나 뛴 거 보면 아무래도 가격이, 물가가 많이 상승한 거 같다고 느꼈어요."]

반세기 전 100원이던 짜장면 외환위기 때 2,500원이 됐고, 5년 전부턴 5,000원도 넘어섰습니다.

최근 5년간 해마다 200원에서 300원씩 비싸지더니 어느덧 6,000원 선까지 오른 겁니다.

이렇게 짜장면 가격이 급등한 건 국제 정세와 환율 불안, 기후 변화 등으로 식재료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입니다.

짜장면에 얹어주는 오이 가격이 크게 오르자 무순을 쓰는 가게도 등장했습니다.

그러나 3배 가까이 오른 양파는 대체가 어렵고, 30% 넘게 인상된 춘장, 식용유 가격도 부담입니다.

[장가성/중국음식점 사장 : "올해가 오픈한 이래로 제일 힘든 것 같아요. 손님들한테 죄송하죠. 저희도 어쩔 수 없이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으니까."]

다른 면류 가격도 줄줄이 오름세인데, 서울 냉면 평균 가격은 이미 1년 전 1만 원을 넘었습니다.

유명 냉면집은 1만 6천 원이 됐고, 회 같은 고명이라도 얹으면 2만 원에 육박합니다.

[성태윤/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 "(외식물가는) 에너지 가격 상승이 지속되고 인건비 등의 상승도 함께 반영되면서 일반적인 물가 상승에 비해 보다 높이 올라가고 있고요. 이러한 부분들이 체감물가 상승으로…."]

지난달엔 외식 물가 상승 폭이 둔화 됐다지만, 벌써 열한 달째 7%대를 웃돌고 있습니다.

나들이 철 외식 수요가 늘면 물가도 다시 요동칠 수 있다는 뜻입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CG:고석훈 박미주/영상편집:김대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재룟값’ 인상에 짜장면 한 그릇 6천 원 훌쩍 넘어
    • 입력 2023-04-05 21:36:23
    • 수정2023-04-05 22:06:04
    뉴스 9
[앵커]

짜장면은 100년 전쯤 인천의 한 화교 음식점에서 탄생했습니다.

그 때는 단순히 볶은 춘장에 면을 비벼먹던 것이 이제는 우리나라 100대 문화에 꼽힐 만큼 대표 음식이 됐습니다.

업계에서는 짜장면이 하루에 150만 그릇 정도 팔리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밀가루 값이 2년 새 60% 정도 올랐고, 다른 재료비도 뛰면서 이제 한 그릇 값이 6천 원을 넘어섰습니다.

저렴하게, 또 든든하게 서민의 입과 배를 채워주던 건 옛날 얘기가 돼가고 있습니다.

장혁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직장인들이 자주 찾는 중국집, 가볍게 점심 한 끼를 때우려 해도 짜장면은 8,000원, 짬뽕도 11,000원입니다.

[직장인 : "2년 전에는 여기가 짜장면이 6,000원이었는데 지금은 8,000원이더라고요. 2천 원이나 뛴 거 보면 아무래도 가격이, 물가가 많이 상승한 거 같다고 느꼈어요."]

반세기 전 100원이던 짜장면 외환위기 때 2,500원이 됐고, 5년 전부턴 5,000원도 넘어섰습니다.

최근 5년간 해마다 200원에서 300원씩 비싸지더니 어느덧 6,000원 선까지 오른 겁니다.

이렇게 짜장면 가격이 급등한 건 국제 정세와 환율 불안, 기후 변화 등으로 식재료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입니다.

짜장면에 얹어주는 오이 가격이 크게 오르자 무순을 쓰는 가게도 등장했습니다.

그러나 3배 가까이 오른 양파는 대체가 어렵고, 30% 넘게 인상된 춘장, 식용유 가격도 부담입니다.

[장가성/중국음식점 사장 : "올해가 오픈한 이래로 제일 힘든 것 같아요. 손님들한테 죄송하죠. 저희도 어쩔 수 없이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으니까."]

다른 면류 가격도 줄줄이 오름세인데, 서울 냉면 평균 가격은 이미 1년 전 1만 원을 넘었습니다.

유명 냉면집은 1만 6천 원이 됐고, 회 같은 고명이라도 얹으면 2만 원에 육박합니다.

[성태윤/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 "(외식물가는) 에너지 가격 상승이 지속되고 인건비 등의 상승도 함께 반영되면서 일반적인 물가 상승에 비해 보다 높이 올라가고 있고요. 이러한 부분들이 체감물가 상승으로…."]

지난달엔 외식 물가 상승 폭이 둔화 됐다지만, 벌써 열한 달째 7%대를 웃돌고 있습니다.

나들이 철 외식 수요가 늘면 물가도 다시 요동칠 수 있다는 뜻입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촬영기자:권순두/CG:고석훈 박미주/영상편집:김대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