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尹 국빈 방미에 국회의원 동행…야당도 포함될 듯”
입력 2023.04.06 (17:09)
수정 2023.04.06 (17: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이달 말 미국 국빈 방문에 국회의원들도 동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오늘(6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의 미국 방문에 ‘특별 수행원’ 자격으로 국회의원들이 동행할 것”이라며 “국익을 위해 의원들도 미 의회와 조야를 상대로 적지 않은 역할을 해줄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수석은 또 윤 대통령 국빈 방미 기간 미 의회 상하원 합동연설이 사실상 확정된 데 대해 “캐빈 매카시 미 하원의장실이 금명 간 우리 정부에 (미 의회의) 공식 초청 서한을 전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어제 마이클 매콜 미 하원 외교위원장으로부터 미 상하원 합동 연설 초청 의사를 전달받고 수락했는데, 김 수석은 “그간의 외교 의전상 상당히 이례적”이라며 “역대 대한민국 정상에 대한 미 의회 연설 초청 전례를 보면, 주미대사관이나 주미대사를 통해 전달하는 게 대부분이었다”고 부연했습니다.
미국 측이 윤 대통령을 의회 합동연설에 초청하면서 과거보다 격식을 갖췄다는 설명입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국빈 방미에 야당 의원들도 동행할지에 대해서는 “최종적으로 확정되지 않았지만, (동행하는 의원들은) 한미 우호의 일익 담당하시는 분들로 알고 있다”며 “특별 수행원 안에 야당 의원도 포함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실 구상대로 국빈 방미 특별 수행단이 최종 확정될 경우, 윤 대통령과 여당인 국민의힘, 제1야당인 민주당 의원들이 함께 대미 외교에 나설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경제인들도 방미에 동행하느냐’는 질문에는 “(경제인) 수행원 규모나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면서도 “수출로 국가 경제를 이롭게 하는 경제안보 행보에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라고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번 4·5 재보궐선거 결과에 “복합위기를 맞은 집권 2년 차 민심을 면밀히 살피고, 민생 경제의 안정과 국민을 위해서 더 노력하겠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이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취임 뒤 첫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데 대해서는 “재의요구권 행사를 유도해 정치적 여론몰이를 하려는 ‘정파적 포퓰리즘 법안’에 어찌 서명할 수 있겠냐”며 “야당이 국회 다수 의석을 차지한 본회의에서 일방적으로 상정해 법안을 통과시키는 일이 없기를 바랄 뿐”이라고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통령실 제공]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오늘(6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의 미국 방문에 ‘특별 수행원’ 자격으로 국회의원들이 동행할 것”이라며 “국익을 위해 의원들도 미 의회와 조야를 상대로 적지 않은 역할을 해줄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수석은 또 윤 대통령 국빈 방미 기간 미 의회 상하원 합동연설이 사실상 확정된 데 대해 “캐빈 매카시 미 하원의장실이 금명 간 우리 정부에 (미 의회의) 공식 초청 서한을 전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어제 마이클 매콜 미 하원 외교위원장으로부터 미 상하원 합동 연설 초청 의사를 전달받고 수락했는데, 김 수석은 “그간의 외교 의전상 상당히 이례적”이라며 “역대 대한민국 정상에 대한 미 의회 연설 초청 전례를 보면, 주미대사관이나 주미대사를 통해 전달하는 게 대부분이었다”고 부연했습니다.
미국 측이 윤 대통령을 의회 합동연설에 초청하면서 과거보다 격식을 갖췄다는 설명입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국빈 방미에 야당 의원들도 동행할지에 대해서는 “최종적으로 확정되지 않았지만, (동행하는 의원들은) 한미 우호의 일익 담당하시는 분들로 알고 있다”며 “특별 수행원 안에 야당 의원도 포함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실 구상대로 국빈 방미 특별 수행단이 최종 확정될 경우, 윤 대통령과 여당인 국민의힘, 제1야당인 민주당 의원들이 함께 대미 외교에 나설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경제인들도 방미에 동행하느냐’는 질문에는 “(경제인) 수행원 규모나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면서도 “수출로 국가 경제를 이롭게 하는 경제안보 행보에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라고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번 4·5 재보궐선거 결과에 “복합위기를 맞은 집권 2년 차 민심을 면밀히 살피고, 민생 경제의 안정과 국민을 위해서 더 노력하겠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이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취임 뒤 첫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데 대해서는 “재의요구권 행사를 유도해 정치적 여론몰이를 하려는 ‘정파적 포퓰리즘 법안’에 어찌 서명할 수 있겠냐”며 “야당이 국회 다수 의석을 차지한 본회의에서 일방적으로 상정해 법안을 통과시키는 일이 없기를 바랄 뿐”이라고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통령실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통령실 “尹 국빈 방미에 국회의원 동행…야당도 포함될 듯”
-
- 입력 2023-04-06 17:09:40
- 수정2023-04-06 17:11:15

윤석열 대통령의 이달 말 미국 국빈 방문에 국회의원들도 동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오늘(6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의 미국 방문에 ‘특별 수행원’ 자격으로 국회의원들이 동행할 것”이라며 “국익을 위해 의원들도 미 의회와 조야를 상대로 적지 않은 역할을 해줄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수석은 또 윤 대통령 국빈 방미 기간 미 의회 상하원 합동연설이 사실상 확정된 데 대해 “캐빈 매카시 미 하원의장실이 금명 간 우리 정부에 (미 의회의) 공식 초청 서한을 전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어제 마이클 매콜 미 하원 외교위원장으로부터 미 상하원 합동 연설 초청 의사를 전달받고 수락했는데, 김 수석은 “그간의 외교 의전상 상당히 이례적”이라며 “역대 대한민국 정상에 대한 미 의회 연설 초청 전례를 보면, 주미대사관이나 주미대사를 통해 전달하는 게 대부분이었다”고 부연했습니다.
미국 측이 윤 대통령을 의회 합동연설에 초청하면서 과거보다 격식을 갖췄다는 설명입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국빈 방미에 야당 의원들도 동행할지에 대해서는 “최종적으로 확정되지 않았지만, (동행하는 의원들은) 한미 우호의 일익 담당하시는 분들로 알고 있다”며 “특별 수행원 안에 야당 의원도 포함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실 구상대로 국빈 방미 특별 수행단이 최종 확정될 경우, 윤 대통령과 여당인 국민의힘, 제1야당인 민주당 의원들이 함께 대미 외교에 나설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경제인들도 방미에 동행하느냐’는 질문에는 “(경제인) 수행원 규모나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면서도 “수출로 국가 경제를 이롭게 하는 경제안보 행보에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라고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번 4·5 재보궐선거 결과에 “복합위기를 맞은 집권 2년 차 민심을 면밀히 살피고, 민생 경제의 안정과 국민을 위해서 더 노력하겠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이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취임 뒤 첫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데 대해서는 “재의요구권 행사를 유도해 정치적 여론몰이를 하려는 ‘정파적 포퓰리즘 법안’에 어찌 서명할 수 있겠냐”며 “야당이 국회 다수 의석을 차지한 본회의에서 일방적으로 상정해 법안을 통과시키는 일이 없기를 바랄 뿐”이라고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통령실 제공]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오늘(6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의 미국 방문에 ‘특별 수행원’ 자격으로 국회의원들이 동행할 것”이라며 “국익을 위해 의원들도 미 의회와 조야를 상대로 적지 않은 역할을 해줄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수석은 또 윤 대통령 국빈 방미 기간 미 의회 상하원 합동연설이 사실상 확정된 데 대해 “캐빈 매카시 미 하원의장실이 금명 간 우리 정부에 (미 의회의) 공식 초청 서한을 전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어제 마이클 매콜 미 하원 외교위원장으로부터 미 상하원 합동 연설 초청 의사를 전달받고 수락했는데, 김 수석은 “그간의 외교 의전상 상당히 이례적”이라며 “역대 대한민국 정상에 대한 미 의회 연설 초청 전례를 보면, 주미대사관이나 주미대사를 통해 전달하는 게 대부분이었다”고 부연했습니다.
미국 측이 윤 대통령을 의회 합동연설에 초청하면서 과거보다 격식을 갖췄다는 설명입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국빈 방미에 야당 의원들도 동행할지에 대해서는 “최종적으로 확정되지 않았지만, (동행하는 의원들은) 한미 우호의 일익 담당하시는 분들로 알고 있다”며 “특별 수행원 안에 야당 의원도 포함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실 구상대로 국빈 방미 특별 수행단이 최종 확정될 경우, 윤 대통령과 여당인 국민의힘, 제1야당인 민주당 의원들이 함께 대미 외교에 나설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경제인들도 방미에 동행하느냐’는 질문에는 “(경제인) 수행원 규모나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면서도 “수출로 국가 경제를 이롭게 하는 경제안보 행보에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라고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번 4·5 재보궐선거 결과에 “복합위기를 맞은 집권 2년 차 민심을 면밀히 살피고, 민생 경제의 안정과 국민을 위해서 더 노력하겠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이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취임 뒤 첫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데 대해서는 “재의요구권 행사를 유도해 정치적 여론몰이를 하려는 ‘정파적 포퓰리즘 법안’에 어찌 서명할 수 있겠냐”며 “야당이 국회 다수 의석을 차지한 본회의에서 일방적으로 상정해 법안을 통과시키는 일이 없기를 바랄 뿐”이라고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통령실 제공]
-
-
박민철 기자 mcpark@kbs.co.kr
박민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