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플랫폼 세계 1위 목표…2026년까지 소프트웨어 기업 1만개 육성”

입력 2023.04.14 (14:27) 수정 2023.04.14 (14: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챗GPT로 상징되는 초거대 생성형 인공지능(AI) 산업의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부가 AI 육성 방안을 추진합니다.

정부는 민간 기업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초거대 AI 협력 생태계를 구축해 의료, 법률, 상담 등 분야의 AI 응용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2026년까지 AI 생태계 핵심인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 1만 개를 육성할 계획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14일)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연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초거대 AI 활용이 산업 경쟁력을 좌우할 정도로 영향력이 크다고 보고, 전문(도메인) 분야 AI에서 세계 1위, 한국어 사용 초거대 AI 플랫폼 세계 1위를 목표로 비영어권 중심 세계 시장 공략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AI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데이터, 소프트웨어, 컴퓨팅 자원을 주축으로 한 핵심 인프라 확충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GPT 시리즈 등 해외 생성형 AI에 맞서 전문 분야에서 AI 경쟁력을 확보합니다.

내년부터 시작하는 ‘AI 5대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통해 법률 의견서나 진료 소견서 작성 지원, 학술 연구에 참고문헌·통계 등 제시, 외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 등 분야에서 응용 AI 서비스를 육성합니다.

단순·반복 작업 중심이었던 AI 학습용 데이터 정책을 초거대 AI 학습용 핵심 데이터 구축으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양질의 대규모 텍스트 200종, 책 10만 권 분량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또, AI 산업 발전의 핵심인 고품질 데이터를 획득해 활용, 재생산하는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교통과 안전, 에너지, 도시 등 4대 중점 분야가 연결되는 디지털 트윈을 구축합니다.

이후 단계적으로 의료, 환경, 행정 등 전 분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국민과 기업 수요는 높았지만 공개하지 않았던 사업자 등록번호, 자동차 등록정보 등 핵심 데이터도 국민이 원하는 방식으로 개방하기로 했습니다.

최신 정보를 반영하지 못하고 거짓 답변도 곧잘 내놓는 초거대 생성 AI의 한계를 돌파하기 위해 학습 능력을 높이고 신뢰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AI 기초 연구를 추진합니다.

올 초 시동을 건 신경망처리장치(NPU) 팜 실증 사업과 K-클라우드 프로젝트를 통해 데이터처리 가속기 등의 컴퓨팅 인프라도 강화할 계획입니다.

AI 전문인력을 늘리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부터 2027년까지 AI 대학원 등에서 석박사 등 정규과정 인재 6만 5천 명을 양성하고 일반 국민 100만 명을 대상으로 초거대 AI 활용 방법을 안내합니다.

정부는 AI 확산에 따라 디지털 신질서가 필요한 시기라고 보고 범국가 AI 혁신 제도·문화 정착에 힘쓰겠다고도 밝혔습니다.

AI 법제정비단, AI 윤리포럼 운영을 통해 AI 확산에 따른 윤리 이슈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초거대 AI 개발, 활용 측면에서 지식 재산권, 개인정보, 산업 법령과 같은 규제와 일자리 감소 문제 등을 점검 합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우리 기업의 독자적 초거대 AI 플랫폼을 기반으로 AI 경쟁력을 지속해 강화해나가면서 미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똑똑한 인공지능으로 국민과 함께 디지털 경제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I 플랫폼 세계 1위 목표…2026년까지 소프트웨어 기업 1만개 육성”
    • 입력 2023-04-14 14:27:38
    • 수정2023-04-14 14:29:38
    IT·과학
챗GPT로 상징되는 초거대 생성형 인공지능(AI) 산업의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부가 AI 육성 방안을 추진합니다.

정부는 민간 기업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초거대 AI 협력 생태계를 구축해 의료, 법률, 상담 등 분야의 AI 응용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2026년까지 AI 생태계 핵심인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 1만 개를 육성할 계획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14일)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연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초거대 AI 활용이 산업 경쟁력을 좌우할 정도로 영향력이 크다고 보고, 전문(도메인) 분야 AI에서 세계 1위, 한국어 사용 초거대 AI 플랫폼 세계 1위를 목표로 비영어권 중심 세계 시장 공략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AI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데이터, 소프트웨어, 컴퓨팅 자원을 주축으로 한 핵심 인프라 확충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GPT 시리즈 등 해외 생성형 AI에 맞서 전문 분야에서 AI 경쟁력을 확보합니다.

내년부터 시작하는 ‘AI 5대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통해 법률 의견서나 진료 소견서 작성 지원, 학술 연구에 참고문헌·통계 등 제시, 외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 등 분야에서 응용 AI 서비스를 육성합니다.

단순·반복 작업 중심이었던 AI 학습용 데이터 정책을 초거대 AI 학습용 핵심 데이터 구축으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양질의 대규모 텍스트 200종, 책 10만 권 분량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또, AI 산업 발전의 핵심인 고품질 데이터를 획득해 활용, 재생산하는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교통과 안전, 에너지, 도시 등 4대 중점 분야가 연결되는 디지털 트윈을 구축합니다.

이후 단계적으로 의료, 환경, 행정 등 전 분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국민과 기업 수요는 높았지만 공개하지 않았던 사업자 등록번호, 자동차 등록정보 등 핵심 데이터도 국민이 원하는 방식으로 개방하기로 했습니다.

최신 정보를 반영하지 못하고 거짓 답변도 곧잘 내놓는 초거대 생성 AI의 한계를 돌파하기 위해 학습 능력을 높이고 신뢰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AI 기초 연구를 추진합니다.

올 초 시동을 건 신경망처리장치(NPU) 팜 실증 사업과 K-클라우드 프로젝트를 통해 데이터처리 가속기 등의 컴퓨팅 인프라도 강화할 계획입니다.

AI 전문인력을 늘리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부터 2027년까지 AI 대학원 등에서 석박사 등 정규과정 인재 6만 5천 명을 양성하고 일반 국민 100만 명을 대상으로 초거대 AI 활용 방법을 안내합니다.

정부는 AI 확산에 따라 디지털 신질서가 필요한 시기라고 보고 범국가 AI 혁신 제도·문화 정착에 힘쓰겠다고도 밝혔습니다.

AI 법제정비단, AI 윤리포럼 운영을 통해 AI 확산에 따른 윤리 이슈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초거대 AI 개발, 활용 측면에서 지식 재산권, 개인정보, 산업 법령과 같은 규제와 일자리 감소 문제 등을 점검 합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우리 기업의 독자적 초거대 AI 플랫폼을 기반으로 AI 경쟁력을 지속해 강화해나가면서 미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똑똑한 인공지능으로 국민과 함께 디지털 경제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