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봉투 의혹’ 파장 확산…여야 대응은 당내 엇박?

입력 2023.04.18 (18: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의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 파문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검찰이 수사에 착수한 가운데 정치권도 대응에 나서고 있는데요. 여야 모두 당 내부에서 다양한 목소리가 분출하고 있습니다.


앞서 어제(17일)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돈 봉투 의혹' 파문에 대해 우선 고개를 숙이고 사과했습니다.

다만, 강제수사권이 없는 만큼 당 자체조사는 하지 않고 검찰 수사를 지켜보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자체 진상조사를 안 하기로 한 점을 두고 비명(비 이재명)계를 중심으로 당내에서 비판이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

민주당 김종민 의원은 오늘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 인터뷰에서 "당의 대응을 보면 상당히 무감각해져 있다. 윤리 기준에 대한 윤리 감각이 엄청 퇴화 됐다"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또 "수사권이 없으니 사실을 정확하게 조사하는 건 어렵지만 적어도 당 차원에서 최선을 다해 사태의 진상을 파악하고 파악된 만큼의 조치나 대응을 하는 자세를 갖춰야 한다"며 자체 진상조사 필요성을 주장했습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검찰이 알아서 하고 검찰 결론이 나면 거기에 맞게 하겠다는 자세는 맞지 않는다. 지도부가 달리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라며 "민주당이 선제 조처를 했어야 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윤리 기준, 도덕성이 정말 엉망이구나'라는 국민불신을 쌓아나가게 되는데 그런 점에서 당 지도부 대응이 조금 안일하다"고 비판했습니다.

같은 당 이상민 의원민주당이 자정기능을 포기했다면서 당의 대처를 직격했습니다.

"어느 조직이든 문제가 생기면 내부에서 1차적으로 조사를 하고 검찰 조사는 그와 별개로 진행하는 것"이라면서, " 내부 조사도 능력이 없어서 안 하는 정당이 국민에게 신뢰를 주겠냐?"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또 "지금이 어느 시대인데 선거와 관련해서 돈 봉투를 주고 받냐"면서 " 민주당이 간판을 내릴 수 있는 상황이고, 이를 돌파하려면 극약처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돈 봉투 의혹'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 국민의힘. 여당 내부에서도 대응책을 놓고는 엇박이 나오는 모습입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긴급현안질의를 하자는 의견이 나왔다가 철회되는 상황이 벌어진겁니다.

윤재옥 원내대표는 오늘(18일) 오전 당 원내대책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법사위에서 현안 질의를 위한 상임위 개최를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는데, 국민의힘 소속 김도읍 법사위원장은 곧바로 선을 그었습니다.

김 위원장은 "수사를 하고 있으면 여당 입장에서는 수사를 제대로 하라고 독려를 하는 것 뿐이지 현안질의를 해봐야 법무부 장관이 출석해서 '개별 사건에 대해서 드릴 말씀은 없고 검찰에서 알아서 할 거다' 이 말밖에 할 게 없다"고 말했습니다.

긴급현안질의를 하자는 의견은 당 대표 측에서 나왔다고 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김기현) 당 대표께서 그런(긴급현안질의) 의견을 내셨고 법사위에서는 현안질의보다는 우리가 검찰 가서 제대로 수사하라고 그렇게 하는 게 맞는다고 해 (현안질의) 신청 절차는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엇박'이 나온 게 아니냐는 평가에는 "당 내에서 서로 토론을 해서 결론을 낸 것이지 엇박자는 아니"라며 "기꺼이 당 대표께서도 수용한 걸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국민의힘에서는 '민주당 돈 봉투 의혹 국정조사' 카드도 검토했었는데, 이 역시 일단은 추진하지 않고 검찰 수사를 지켜보자는 방침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이와 관련해 어제 윤재옥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일단은 검찰 수사 상황을, 민주당이 수사에 제대로 협조하는지 여부를 지켜보겠다"며 국정조사 추진 가능성을 일축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돈봉투 의혹’ 파장 확산…여야 대응은 당내 엇박?
    • 입력 2023-04-18 18:49:36
    취재K

더불어민주당의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 파문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검찰이 수사에 착수한 가운데 정치권도 대응에 나서고 있는데요. 여야 모두 당 내부에서 다양한 목소리가 분출하고 있습니다.


앞서 어제(17일)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돈 봉투 의혹' 파문에 대해 우선 고개를 숙이고 사과했습니다.

다만, 강제수사권이 없는 만큼 당 자체조사는 하지 않고 검찰 수사를 지켜보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자체 진상조사를 안 하기로 한 점을 두고 비명(비 이재명)계를 중심으로 당내에서 비판이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

민주당 김종민 의원은 오늘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 인터뷰에서 "당의 대응을 보면 상당히 무감각해져 있다. 윤리 기준에 대한 윤리 감각이 엄청 퇴화 됐다"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또 "수사권이 없으니 사실을 정확하게 조사하는 건 어렵지만 적어도 당 차원에서 최선을 다해 사태의 진상을 파악하고 파악된 만큼의 조치나 대응을 하는 자세를 갖춰야 한다"며 자체 진상조사 필요성을 주장했습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검찰이 알아서 하고 검찰 결론이 나면 거기에 맞게 하겠다는 자세는 맞지 않는다. 지도부가 달리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라며 "민주당이 선제 조처를 했어야 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윤리 기준, 도덕성이 정말 엉망이구나'라는 국민불신을 쌓아나가게 되는데 그런 점에서 당 지도부 대응이 조금 안일하다"고 비판했습니다.

같은 당 이상민 의원민주당이 자정기능을 포기했다면서 당의 대처를 직격했습니다.

"어느 조직이든 문제가 생기면 내부에서 1차적으로 조사를 하고 검찰 조사는 그와 별개로 진행하는 것"이라면서, " 내부 조사도 능력이 없어서 안 하는 정당이 국민에게 신뢰를 주겠냐?"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또 "지금이 어느 시대인데 선거와 관련해서 돈 봉투를 주고 받냐"면서 " 민주당이 간판을 내릴 수 있는 상황이고, 이를 돌파하려면 극약처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돈 봉투 의혹'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 국민의힘. 여당 내부에서도 대응책을 놓고는 엇박이 나오는 모습입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긴급현안질의를 하자는 의견이 나왔다가 철회되는 상황이 벌어진겁니다.

윤재옥 원내대표는 오늘(18일) 오전 당 원내대책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법사위에서 현안 질의를 위한 상임위 개최를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는데, 국민의힘 소속 김도읍 법사위원장은 곧바로 선을 그었습니다.

김 위원장은 "수사를 하고 있으면 여당 입장에서는 수사를 제대로 하라고 독려를 하는 것 뿐이지 현안질의를 해봐야 법무부 장관이 출석해서 '개별 사건에 대해서 드릴 말씀은 없고 검찰에서 알아서 할 거다' 이 말밖에 할 게 없다"고 말했습니다.

긴급현안질의를 하자는 의견은 당 대표 측에서 나왔다고 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김기현) 당 대표께서 그런(긴급현안질의) 의견을 내셨고 법사위에서는 현안질의보다는 우리가 검찰 가서 제대로 수사하라고 그렇게 하는 게 맞는다고 해 (현안질의) 신청 절차는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엇박'이 나온 게 아니냐는 평가에는 "당 내에서 서로 토론을 해서 결론을 낸 것이지 엇박자는 아니"라며 "기꺼이 당 대표께서도 수용한 걸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국민의힘에서는 '민주당 돈 봉투 의혹 국정조사' 카드도 검토했었는데, 이 역시 일단은 추진하지 않고 검찰 수사를 지켜보자는 방침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이와 관련해 어제 윤재옥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일단은 검찰 수사 상황을, 민주당이 수사에 제대로 협조하는지 여부를 지켜보겠다"며 국정조사 추진 가능성을 일축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