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서울 한복판서 사라진 ‘엽총’…뻥 뚫린 경찰 ‘총기보안’

입력 2023.04.20 (15:40) 수정 2023.05.04 (11: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2016년에 발생한 사건입니다.

영상 속 피의자가 경찰관을 향해 난사한 총기는 불법 총기, 그러니까 '분실'된 총기였습니다.

우리나라는 개인의 총기 소지가 불법이죠. 수렵용 총기인 엽총 등 총기류는 이른바 '총포법'에 따라 경찰서에서 보관합니다.

만약 분실됐으면, 담당 경찰서는 그 즉시 수사에 착수하고 수배조치를 내려야 합니다.

■ 서울 한복판에서 '엽총'이 사라졌다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 용산경찰서에 등록된 총기는 모두 170여 정.

그런데 KBS 취재결과, 이 중 총기 두 정의 행방이 묘연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시스템상 등록되어 있는 총기 두 정이 무기고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있는 겁니다.

무기로 쓰일 수 있는 총기가 서울 도심지, 그것도 대통령실 등 주요 기관이 밀집한 용산 한복판에서 행적이 끊긴 겁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사라진 총기 두 정은 수렵용 '엽총'.

이 엽총 소유주 A 씨는 과거 용산구와 서대문구를 오가며 거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A 씨 거주지에 따라 엽총을 관리해야 하는 책임서도 바뀌었고, 용산경찰서와 서대문경찰서가 번갈아 관리했습니다.

현재 경찰 전산상, A 씨 엽총이 최종적으로 등록된 곳은 용산경찰서.


그런데 지난해 여름, A 씨가 용산경찰서에 찾아가 자신의 엽총을 확인하려 했지만 무기고에서 A 씨의 엽총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KBS가 확인해보니 용산서, 이를 몰랐던 게 아닙니다. A 씨 엽총이 '사라진 것'을 인지한 채 '방치'하고 있었던 겁니다.

취재진과 직접 만난 한 용산서 직원은 이렇게 고백했습니다.

"엽총이 분실된 걸 4~5년 전부터 알고서도, 책임을 피하고자 관계자 직원들이 '폭탄 돌리기' 한 것으로 알고 있다"


■"시스템이 완벽하지 않아서 발생"

이 사건에 대한 용산경찰서의 답은 이렇습니다.

"시스템이 완벽하지 않아서 발생한 사건으로 알고 있다"

용산경찰서는 KBS에 "관련 기록을 검색하면서 총기의 위치를 계속해서 파악하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총기 분실 '수배'를 하기 전에 용산서 차원에서 총기를 찾는 과정이 필요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 A 씨에게 경찰서에서 같이 다시 찾아보자고 오늘 전화를 했다"고 말했습니다. 무기고에 먼지 쌓인 총기들이 있는데, 그것들은 총기 번호를 알아보기 힘들다는 이유입니다.

총기 분실은 2016년 사례처럼 강력 사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철저한 관리가 필수입니다.

수년 째 행방불명된 채 서류상으로만 등록된 엽총 두 정, 경찰 '총기보안'의 현 주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서울 한복판서 사라진 ‘엽총’…뻥 뚫린 경찰 ‘총기보안’
    • 입력 2023-04-20 15:40:24
    • 수정2023-05-04 11:39:24
    취재K


지난 2016년에 발생한 사건입니다.

영상 속 피의자가 경찰관을 향해 난사한 총기는 불법 총기, 그러니까 '분실'된 총기였습니다.

우리나라는 개인의 총기 소지가 불법이죠. 수렵용 총기인 엽총 등 총기류는 이른바 '총포법'에 따라 경찰서에서 보관합니다.

만약 분실됐으면, 담당 경찰서는 그 즉시 수사에 착수하고 수배조치를 내려야 합니다.

■ 서울 한복판에서 '엽총'이 사라졌다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 용산경찰서에 등록된 총기는 모두 170여 정.

그런데 KBS 취재결과, 이 중 총기 두 정의 행방이 묘연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시스템상 등록되어 있는 총기 두 정이 무기고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있는 겁니다.

무기로 쓰일 수 있는 총기가 서울 도심지, 그것도 대통령실 등 주요 기관이 밀집한 용산 한복판에서 행적이 끊긴 겁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사라진 총기 두 정은 수렵용 '엽총'.

이 엽총 소유주 A 씨는 과거 용산구와 서대문구를 오가며 거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A 씨 거주지에 따라 엽총을 관리해야 하는 책임서도 바뀌었고, 용산경찰서와 서대문경찰서가 번갈아 관리했습니다.

현재 경찰 전산상, A 씨 엽총이 최종적으로 등록된 곳은 용산경찰서.


그런데 지난해 여름, A 씨가 용산경찰서에 찾아가 자신의 엽총을 확인하려 했지만 무기고에서 A 씨의 엽총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KBS가 확인해보니 용산서, 이를 몰랐던 게 아닙니다. A 씨 엽총이 '사라진 것'을 인지한 채 '방치'하고 있었던 겁니다.

취재진과 직접 만난 한 용산서 직원은 이렇게 고백했습니다.

"엽총이 분실된 걸 4~5년 전부터 알고서도, 책임을 피하고자 관계자 직원들이 '폭탄 돌리기' 한 것으로 알고 있다"


■"시스템이 완벽하지 않아서 발생"

이 사건에 대한 용산경찰서의 답은 이렇습니다.

"시스템이 완벽하지 않아서 발생한 사건으로 알고 있다"

용산경찰서는 KBS에 "관련 기록을 검색하면서 총기의 위치를 계속해서 파악하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총기 분실 '수배'를 하기 전에 용산서 차원에서 총기를 찾는 과정이 필요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 A 씨에게 경찰서에서 같이 다시 찾아보자고 오늘 전화를 했다"고 말했습니다. 무기고에 먼지 쌓인 총기들이 있는데, 그것들은 총기 번호를 알아보기 힘들다는 이유입니다.

총기 분실은 2016년 사례처럼 강력 사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철저한 관리가 필수입니다.

수년 째 행방불명된 채 서류상으로만 등록된 엽총 두 정, 경찰 '총기보안'의 현 주소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