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반도와 타이완 문제 달라…신중히 처리하길”

입력 2023.04.20 (21:15) 수정 2023.04.21 (08: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은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 타이완 얘기도 했습니다.

"힘에 의한 현상 변경을 반대한다"고 밝힌 겁니다.

중국은 오늘(20일) 말 참견 하지 말라면서 반발했습니다.

베이징으로 갑니다.

조성원 특파원! 중국이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게 타이완 문제인데요...

오늘 한반도 상황과 비교하면서 반박 입장을 냈죠?

[리포트]

남북한은 유엔 가입을 한 주권 국가들이고, 중국과 타이완은 하나이니 달리봐야 한다는 주장인데요.

사실 유엔에 가입하는 것과 상호 주권 국가로 인정하는 건 다른 이야기이기도 합니다만, 그만큼 '하나의 중국'을 고수하는게 핵심 이익이란 점을 강조한 거겠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의 말 들어보시죠.

[왕원빈/중국 외교부 대변인 : "타이완 문제 해결은 중국인 자신의 일입니다. 말참견을 용납하지 않습니다."]

타이완 문제는 중국과 타이완 간의 문제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 문제다, 힘에 의한 현상 변경을 반대한다는 윤 대통령 발언에 대한 반박입니다.

"말참견 말라"는 중국 반응은 지난 2월 박진 외교장관이 유사한 발언을 했을 때와 같지만 다른 나라 정상에게는 이례적입니다.

문재인 대통령 시절 한미 정상회담에서 타이완 해협의 평화와 안정을 언급한 공동성명을 냈을 때 중국은 '불장난'하지 말라고 했고, 지난해 윤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같은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냈을 때는 외교 경로로 항의의 뜻을 전했습니다.

최근 G7 외교장관 회의에서는 타이완 해협 일방적 현상 변경 반대라는 하나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이같은 흐름 속에 윤 대통령이 곧 한미 정상회담을 합니다.

중국은 향후 한미 정상이 내놓을 타이완 메시지가 있을 지 주목하며 대응 수위를 조절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신중하게 처리하라는 오늘 중국 외교부 요구도 그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이태희/자료조사:조영은/그래픽:안재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한반도와 타이완 문제 달라…신중히 처리하길”
    • 입력 2023-04-20 21:15:32
    • 수정2023-04-21 08:08:23
    뉴스 9
[앵커]

윤석열 대통령은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 타이완 얘기도 했습니다.

"힘에 의한 현상 변경을 반대한다"고 밝힌 겁니다.

중국은 오늘(20일) 말 참견 하지 말라면서 반발했습니다.

베이징으로 갑니다.

조성원 특파원! 중국이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게 타이완 문제인데요...

오늘 한반도 상황과 비교하면서 반박 입장을 냈죠?

[리포트]

남북한은 유엔 가입을 한 주권 국가들이고, 중국과 타이완은 하나이니 달리봐야 한다는 주장인데요.

사실 유엔에 가입하는 것과 상호 주권 국가로 인정하는 건 다른 이야기이기도 합니다만, 그만큼 '하나의 중국'을 고수하는게 핵심 이익이란 점을 강조한 거겠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의 말 들어보시죠.

[왕원빈/중국 외교부 대변인 : "타이완 문제 해결은 중국인 자신의 일입니다. 말참견을 용납하지 않습니다."]

타이완 문제는 중국과 타이완 간의 문제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 문제다, 힘에 의한 현상 변경을 반대한다는 윤 대통령 발언에 대한 반박입니다.

"말참견 말라"는 중국 반응은 지난 2월 박진 외교장관이 유사한 발언을 했을 때와 같지만 다른 나라 정상에게는 이례적입니다.

문재인 대통령 시절 한미 정상회담에서 타이완 해협의 평화와 안정을 언급한 공동성명을 냈을 때 중국은 '불장난'하지 말라고 했고, 지난해 윤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같은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냈을 때는 외교 경로로 항의의 뜻을 전했습니다.

최근 G7 외교장관 회의에서는 타이완 해협 일방적 현상 변경 반대라는 하나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이같은 흐름 속에 윤 대통령이 곧 한미 정상회담을 합니다.

중국은 향후 한미 정상이 내놓을 타이완 메시지가 있을 지 주목하며 대응 수위를 조절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신중하게 처리하라는 오늘 중국 외교부 요구도 그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이태희/자료조사:조영은/그래픽:안재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